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란(Bletilla striata)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9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Bletilla striat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Juniperus rigida dominant population,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dominant population, Rhus javanica dominant population, Bletilla striata typical population. Bletilla striata were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coast of south-western regions of the Korean penninsula and it's population was located at an elevation of 4m to 40m.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2.38-6.70%, 0.09-0.27%, 1.81-6.85mg/kg, 1.08-1.72cmol+/kg, 3.56-7.71cmol+/kg, 1.52-3.21cmol+/kg, 5.28-16.95cmol+/kg and 4.60-6.01 respectively.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steep sloped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 than other populations. Rhus javanica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gentle sloped area that has less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 Juniperus rigida dominant population and Bletilla striata typical population were found in the medium sloped area that has medium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 Current status of Bletilla striata habitats is very vulnerable with local development constantly threatening the species’ survival. Thus, concrete conservation plans to protect natural habitats should be set up as soon as possibl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Bletilla striat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Juniperus rigida dominant population, Rhododend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Bletilla striat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Juniperus rigida dominant population,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dominant population, Rhus javanica dominant population, Bletilla striata typical population. Bletilla striata were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coast of south-western regions of the Korean penninsula and it's population was located at an elevation of 4m to 40m.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2.38-6.70%, 0.09-0.27%, 1.81-6.85mg/kg, 1.08-1.72cmol+/kg, 3.56-7.71cmol+/kg, 1.52-3.21cmol+/kg, 5.28-16.95cmol+/kg and 4.60-6.01 respectively.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steep sloped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 than other populations. Rhus javanica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gentle sloped area that has less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 Juniperus rigida dominant population and Bletilla striata typical population were found in the medium sloped area that has medium percentage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 Current status of Bletilla striata habitats is very vulnerable with local development constantly threatening the species’ survival. Thus, concrete conservation plans to protect natural habitats should be set up as soon as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란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고,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란개체군은 노간주나무 우점개체군, 산철쭉 우점개체군, 붉나무 우점개체군, 자란 전형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자란개체군은 주로 한반도의 남서해안을 따라 분포하고 해발고 4-40m의 해안가 낮은 사면의 평균 41.7°의 다소 급한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토양의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함량은 2.38-6.70%, 전질소함량 0.09-0.27%, 치환성 K 1.08-1.72cmol+/kg, 치환성 Ca 3.56-7.71cmol+/kg, 치환성 Mg 1.52-3.21cmol+/kg, 양이온치환용량 5.28-16.95cmol+/kg이며, 토양 pH는 4.60-6.0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철쭉 우점개체군은 경사가 다소 급하고 토양내 양이온치환용량과 pH, 전질소, 유기물함량이 가장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붉나무 우점개체군은 경사가 다소 완만하고 양이온치환용량, pH, 전질소,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간주나무 우점개체군과 자란 전형개체군은 중간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취약종으로 지정된 희귀식물인 자란은 자생지가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 개체군의 생육특성 상 개발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자생지의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란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고,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란개체군은 노간주나무 우점개체군, 산철쭉 우점개...

      본 연구는 자란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고,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란개체군은 노간주나무 우점개체군, 산철쭉 우점개체군, 붉나무 우점개체군, 자란 전형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자란개체군은 주로 한반도의 남서해안을 따라 분포하고 해발고 4-40m의 해안가 낮은 사면의 평균 41.7°의 다소 급한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토양의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함량은 2.38-6.70%, 전질소함량 0.09-0.27%, 치환성 K 1.08-1.72cmol+/kg, 치환성 Ca 3.56-7.71cmol+/kg, 치환성 Mg 1.52-3.21cmol+/kg, 양이온치환용량 5.28-16.95cmol+/kg이며, 토양 pH는 4.60-6.0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철쭉 우점개체군은 경사가 다소 급하고 토양내 양이온치환용량과 pH, 전질소, 유기물함량이 가장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붉나무 우점개체군은 경사가 다소 완만하고 양이온치환용량, pH, 전질소,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간주나무 우점개체군과 자란 전형개체군은 중간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취약종으로 지정된 희귀식물인 자란은 자생지가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는 개체군의 생육특성 상 개발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자생지의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재환,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84-93, 2010

      2 윤종선, "자란 4배체 신품종 '충북 자란' 육성" 한국원예학회 22 (22): 495-498, 2004

      3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4 김무열,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 개체군의 생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78-85, 2006

      5 박혜림,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와 금새우난초(C. sieboldii)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63-71, 2010

      6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 2007

      7 Hill, M.O.,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 1979

      8 소순구, "Studies on the phylogeny and conservation biology of Bletilla striata"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9 Chung, J.D., "Studies on Asymbiotic Germination of Seeds of Bletilla striata" 9 (9): 27-33, 1982

      10 Paek, K.Y., "Stomatal Density, Siz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chids" 36 (36): 851-862, 1995

      1 권재환,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84-93, 2010

      2 윤종선, "자란 4배체 신품종 '충북 자란' 육성" 한국원예학회 22 (22): 495-498, 2004

      3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4 김무열,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 개체군의 생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78-85, 2006

      5 박혜림,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와 금새우난초(C. sieboldii)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63-71, 2010

      6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 2007

      7 Hill, M.O.,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 1979

      8 소순구, "Studies on the phylogeny and conservation biology of Bletilla striata"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9 Chung, J.D., "Studies on Asymbiotic Germination of Seeds of Bletilla striata" 9 (9): 27-33, 1982

      10 Paek, K.Y., "Stomatal Density, Siz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chids" 36 (36): 851-862, 1995

      11 Miller, H.G.,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768-, 1990

      12 Yoo, Y.K., "Regulation of Growth and Flowering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Bletilla striata" 42 (42): 227-232, 2001

      13 Korea Forest Service,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96-, 2008

      14 Judd, W.S., "Plant Systematics. 3rd ed" Sinauer 590-, 2008

      15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ü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631-, 1964

      16 Ter Braak, C. J. F., "NOCO - Reference Manual and User's Guide to Canoco for Windows" Microcomputer Power 352-, 1998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rological an annual report" 1971

      18 Lee, T.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0-, 1993

      19 Kyung, Y.J., "Identification of the Genetic Polymorphism of Bletilla striata Using RAPD" 18 (18): 103-106, 2000

      20 Yoo, Y.K.,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Bletilla striata Habitats" 41 (41): 212-216, 2000

      21 Dierssen, K., "Einfü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241-, 1990

      22 Chung, J.D., "Effec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of Bletilla striata in Vitro" 40 (40): 485-488, 1999

      23 Hill, M.O.,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42 : 47-58, 1980

      24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161 (161): 105-121, 2009

      25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141 (141): 399-436, 2003

      26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85 : 531-553, 1998

      27 Ministry of Environment, "A national research of natural ecosystem in 1989. I-2" Natural degree of a green zone in Chonnam 192-,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