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현재 국내 애니메이션산업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유아 애니메이션 집중현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량제의 시행으로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은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활발히 제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80355
서울 :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 애니메이션학과 출판만화 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86 ; 26 cm
지도교수: 한창완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국내 애니메이션산업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유아 애니메이션 집중현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량제의 시행으로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은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활발히 제작...
본 논문은 현재 국내 애니메이션산업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유아 애니메이션 집중현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량제의 시행으로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은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활발히 제작되었다. EBS가 공동으로 제작한 <뽀롱뽀롱 뽀로로>의 사업 성공으로 EBS는 본격적으로 유아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다. 공동 제작은 사업적 수익뿐 아니라 TV방영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작용되면서 다수의 유아애니메이션이 EBS를 통해 방영되며 인기를 끌었다.
지난 10년 동안의 EBS의 편성 내용을 분석한 결과 EBS는 세분화된 수용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영역과 장르를 점차 확장시켰다. 그 결과 EBS에서 ‘유아/어린이’영역의 ‘애니메이션’이 점진적으로 지배적인 장르가 되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시청률과 캐릭터 사업 등의 부가가치 창출의 가능성, 유아 사교육 영역의 높은 교육열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EBS 편성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 애니메이션에 집중현상이 나타나게 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 애니메이션 집중현상은 사회구조적 요인, 문화적 요인 등으로 인해 점화되었고, EBS의 차별화된 편성전략이 집중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아 애니메이션의 사업적 성공 이후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애니메이션의 대기업, 방송사 및 해외 업체 합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공동제작 시스템이 질적으로 발전하였다. 안정된 제작구조 속에 양질의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마켓으로의 진출 또한 활발히 이루어졌다. 유아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부가가치 사업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집중현상이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전반을 장악하고 더 나아가 시장경쟁을 촉진시키면서 아이디어나 캐릭터의 다양성은 점차적으로 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유아 애니메이션이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뿐 만이 아닌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감안했을 때 이 문제점은 반드시 논의되어야 될 부분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EBS의 편성 전략은 유아 애니메이션 성공신화의 발판으로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전반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EBS 편성 전략은 유아를 대상으로 철저하게 기획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전략이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