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중국 아동의 비교 = Effects of Perception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and Stress among School-aged Childre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38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 학령기 아동 각각 18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자료수집은 2009년 4월부터 7월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 c2 test, 평균값, t-test, Pearson correlation, 효과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영역에서 중국 아동이 한국 아동보다과잉기대적 태도로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영역에서 중국 아동은 한국 아동보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중국 아동이 한국 아동보다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중국 아동이 한국 아동보다 많이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한국과 중국 아동이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간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와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에는 한국 아동과 중국 아동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보다 사회적 지지가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에는 한국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다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중국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중국 아동까지 확대하여 간호연구의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임상에서 만나는 중국인 부모, 자녀관계를이해하는 데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다문화 시대에 서로 상대방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사회적, 문화적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와 한국과 중국 학령기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임상정보 제공 등의 네트워크 형성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한국과 중국 학령기 아동 각각 18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자료수집은 2009년 4월부터 7월에 ...

      한국과 중국 학령기 아동 각각 18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자료수집은 2009년 4월부터 7월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 c2 test, 평균값, t-test, Pearson correlation, 효과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영역에서 중국 아동이 한국 아동보다과잉기대적 태도로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영역에서 중국 아동은 한국 아동보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중국 아동이 한국 아동보다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중국 아동이 한국 아동보다 많이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한국과 중국 아동이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간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와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에는 한국 아동과 중국 아동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보다 사회적 지지가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에는 한국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다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중국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중국 아동까지 확대하여 간호연구의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임상에서 만나는 중국인 부모, 자녀관계를이해하는 데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다문화 시대에 서로 상대방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사회적, 문화적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와 한국과 중국 학령기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임상정보 제공 등의 네트워크 형성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희, "한국형 부모양육태도 검사를 이용한 학령전기 아동 아버지의 양육태도" 아동간호학회 14 (14): 79-89, 2008

      2 박소영,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대한가정학회 43 (43): 71-84, 2005

      3 남윤주,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2 (12): 1-16, 2008

      4 정현희,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1-19, 2004

      5 Moon,S.J,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6 Han, M. H.,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17 : 173-188, 1996

      7 Min, H. Y.,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behavior and coping behaviors on parent-related stress in school aged children" 37 (37): 1-12, 1999

      8 Kim,K.J,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ive parental attitudes on self-concep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3 : 35-52, 1985

      9 Roh,S.J, "The differ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ow it affects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Keimyung University 2004

      10 Kang,S.M, "Stress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2000

      1 김영희, "한국형 부모양육태도 검사를 이용한 학령전기 아동 아버지의 양육태도" 아동간호학회 14 (14): 79-89, 2008

      2 박소영,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대한가정학회 43 (43): 71-84, 2005

      3 남윤주,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2 (12): 1-16, 2008

      4 정현희,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1-19, 2004

      5 Moon,S.J,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6 Han, M. H.,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17 : 173-188, 1996

      7 Min, H. Y.,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behavior and coping behaviors on parent-related stress in school aged children" 37 (37): 1-12, 1999

      8 Kim,K.J,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ive parental attitudes on self-concep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23 : 35-52, 1985

      9 Roh,S.J, "The differ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ow it affects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Keimyung University 2004

      10 Kang,S.M, "Stress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2000

      11 Holahan, C. J.,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longitudinal analysis" 90 : 365-370, 1987

      12 Kaplan, H. B., "Social support and health" 15 : 47-58, 1983

      13 Bandura,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14 Kim,M.J,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behavior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3

      15 Da,H.M, "Relationship of upbringing given by parents to self-confidence, self-esteem,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of their children" 18 : 483-486, 2002

      16 Feng, Q. J., "On the social support, ways of response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school children" 12 : 123-128, 2010

      17 Schunk,D.H,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73 : 93-105, 1981

      18 Kim,S.J,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tress-coping behavior among childre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19 Yu, X. X., "Investigation on stressors of pupils in Guilin city" 28 : 908-910, 2007

      20 박영신,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8 (8): 105-135, 2002

      21 Lazarus,R.S,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44 : 2-19, 1993

      22 Lee,S.H, "Difference of brilliant intellect child and general child: Achievement goal, social support, stress and school life reference" Hanyang University 2003

      23 Han, M. H.,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scale for children in Korea" 33 (33): 49-64, 1995

      24 Zhang,Y, "Brief research on social support of the students in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Liaoning Teachers University 2004

      25 Bowlby,J, "Attachment and loss: Retrospect and prosect" 52 : 664-678, 1982

      26 Yang,Y.M, "A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the rearing style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2007

      27 Park,K.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aegu University 2000

      28 Zhang,Y.C, "A study on after school life and academic stress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 Inha University 2009

      29 Li,F.Y,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aring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mothers: Centered on yanbian and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02

      30 Jung,D.W, "A 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hildren’s school stress and maladjustments" Korea University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10-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동간호학회 -> 한국아동간호학회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동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KCI등재
      2010-08-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아동간호학회지 -> 아동간호학회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아동간호학회 -> 아동간호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Child Health Nursing ->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alth Nursi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9 1.49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