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754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97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llusional visual narrative of stage design

      • 형태사항

        xiii, 182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주연
        국·영문초록수록
        부록: 전문가 인터뷰용 설문지
        참고문헌: p. 163-169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5155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ace where the play is performed is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has a relational connection with humans in various ways. In the past, stage Design was an expression focused on realistic and concrete reproducibility based on th...

      The space where the play is performed is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has a relational connection with humans in various ways. In the past, stage Design was an expression focused on realistic and concrete reproducibility based on themes, stories, and narratives, but in modern times, the spatial, creative, and symbolic expressions of the new meanings created by designers and the cultural and visual interpretation abilities of the audience have become possible.
      However, although expressive expansion and technical media of stage Design have been actively attempted, there are few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ories for new visualization, technological evolution, collaboration, and utilization, and a small number of prior studies previously conducted in Korea. In addition, there is little research as an expression method for visual narrative. Therefor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features, I tried to present various features and types of visual narratives by organizing and focusing on the features and elements of visual illusion, and then restructuring them.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illusion of stage Desig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ome problem consciousness.
      First, what will you maximize the illusion of the subject, story, and narrative?
      Second, why is illusion important in stage art?
      Third, what stimulates the change of the audience, and the various styles of illusion
      What can you deliver?
      Fourth, what expressions should be used in stage Design to enable visual stimulation, simultaneous synchronicity of space and time, and a new welcome experie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background of this problem consciousness, and through this study, the diversity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s can be seen in stage Design,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experiencing illusion throug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igital and media will become clear.

      In order to theorize various visual narratives for illusion, discussions were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visual narratives and what can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by using theories research method.

      The first ‘Isochronic Type’ showed a tendency to agree on time, realism of space, and sympathetic among the elements of illusion.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has a visual narrative structure of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of a linear structure with an emphasis on genre form, and 'Speciality of space and time' for reinterpreting viewpoints and functions of time and space. It appeared as a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 of 'variation of internal combustion' for narrative expansion.

      The second ‘Convergence Type’ tended to be the center of contact among design and technology, communication between media, differentiation of physical elements, recognition of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and directing of association.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y appear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and have a visual narrative structure through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of symbolic formative media and understanding responses. It appeared as a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 of 'expansion of open structure that communicates communication between media' and 'multiplicity of variation, superposition of debounding for cognition and association'.

      The third ‘transformation type’ showed cognitive and reminiscent of the welcome elements, differentiation of physical elements, fluidity of media, and trend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appears as a complex new transformation through multiplication and differentiation. It was shown as a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 of 'openness of movement for fluidity' and 'symbolism of multisimism for differentiation of physical elements of visual transformation'.

      The fourth “dismantling type” showed the trend of three-dimensional communication through design and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for technolo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nd boundary among the welcoming elements.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y appear as structural and functional complexities, and are heterogeneously composed and formed with new meanings and actions. Based on the message of the formative language and the visual narrative structure of the interpretive integrated language, the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Expandability of Multi-layering for Relational Deconstruction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nd 'Expansion of Variability for Boundary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Design' Appeared

      The fifth 'relationship type' tended to be cognitive and associative, virtual space, and mutually comprehensive communication among the welcoming elements, and when the above result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expansion of space appeared, and multi-channel and It appeared as a visual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emotional reaction,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onstruction for mutual relational virtual space' and 'participation and sharing for comprehensive communication'.

      In sum, it shows the theme, story, narrative and technological evolution with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expansion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of stag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media. While many stage Designs focus on a few concepts from the aforementioned types, they actually appear to cross between the five types. In addition, the presented type is only a conceptual tool as a new approach, not a tool for showing or separating into a stage Design space.

      The visual and narrative expression for the illusion of the most ideal stage Design is based on five types of sensuous expressions: work, directing, narrative, concept, design, movement, and non-verbal language. It is expressed in a new form of multiple layers and multiple layers.

      Stage Design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audience shares more information and allows interactive (between the subject of movement and the audience) communication. The dual structure of Story and Discourse is directed to the audience by welcoming the specialty of space and the narrative of time according to the story through various expressions by narrative, through the combination of experimental visual narrative I was able to know that I was delivering it.

      The visual narrative approach to maximize the illusion is the basis for a new approach and experience to the changes and values of stage Design required by society, culture, performances, and the public.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극(劇)이 행해지는 공간은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장소로서 상호 간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과 관계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무대미술은 주제, 스토리, 내러티브 중심의 사실적, 구체적 ...

      극(劇)이 행해지는 공간은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장소로서 상호 간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과 관계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무대미술은 주제, 스토리, 내러티브 중심의 사실적, 구체적 재현성에 치우친 표현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관객들의 문화적, 시각적 해석 능력과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창작한 새로운 의미의 공간적, 창조적, 상징적 표현이 가능해졌다. 박정화·김주연,「키네틱아트를 통한 극공간디자인 연출 사례」,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no.3, 2018, pp. 221-228
      그로인해 무대미술의 표현적 확장과 기술적 매체가 적극적으로 표현, 시도되고 있으나, 여전히 새로운 시각화와 기술적 진화 및 협업, 활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립된 이론이 미비하고, 국내에서 기연구된 소수의 선행 연구와 비주얼내러티브를 위한 표현 방법으로써의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체계적 접근을 통해 연구의 역할과 환영의 특징 및 비주얼내러티브 구조, 표현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이를 다시 구조화한 후 다양한 특징과 비주얼내러티브 유형을 제시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무대미술의 환영에 대한 이론적 이해에서는 몇 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주제, 스토리, 서사의 환영을 무엇으로 극대화할 것인가?
      두 번째, 왜 무대미술에서 환영이 중요한가?
      세 번째, 관객의 변화를 무엇으로 자극하고, 다양한 양식(樣式)적 환영을
      무엇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네 번째, 시각적 자극과 시공간의 동시성 및 새로운 환영 경험이 가능하기 위해 무대미술에서 어떤 표현을 활용하여야 하는가?
      위의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 연구를 통해 무대미술에서 비주얼내러티브 표현의 다양성을 알 수 있고, 디지털, 미디어 간 협업과 소통을 통해 환영을 경험하는 목적과 효과가 분명해지리라 생각한다.

      환영을 위한 다양한 비주얼내러티브의 개념화를 위해 근거 이론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비주얼내러티브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관객들에게 무엇을 전달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등시유형’은 환영 요소 중 시간의 일치와 공간의 사실 중심으로 경향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장르적 형식이 강조된 선형적 구조의 표현과 재현의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가지며 있다. 또한 시공간의 시점 및 기능의 재해석을 위한 ‘시·공간의 특수’ 와 내러티브 확장을 위한 ‘내연의 변주‘ 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융합유형‘은 환영 요소 중 디자인과 기술의 접점, 매체 간 소통, 물리적 요소의 차별화, 종합적 인지,연상 중심으로 경향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서로 결속하고 연결의 관계성 안에서 나타나며, 상징적 조형 매체와 이해적 반응의 재현과 표현으로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디자인과 디지털, 미디어의 기술적 접점을 통해 매체 간 소통을 전달하는 ’열린 구조의 확장’ 및 다중적 변이, 인지와 연상을 위한 ’탈 경계의 중첩‘ 으로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이 나타났다.

      세 번째 ’변형유형‘은 환영 요소 중 종합적 인지, 연상과 물리적 요소의 차별화, 매체의 유동 중심으로 경향이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증식과 분화를 통해 복잡한 새로운 변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형 언어, 해석적 언어와 맥락적 메시지 및 해석과 재현의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바탕으로 흔적과 변형의 매체 유동을 위한 ’움직임의 개방’ 및 시각적 전환의 물리적 요소의 차별화를 위한 ‘다중심의 상징‘ 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해체유형‘은 환영 요소 중 경계의 관계에서의 기술을 위한 디자인 을 통한 입체적 소통의 경향이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구조적, 기능적 복합성으로 표현되어 새로운 의미와 작용으로 인한 이질적 구성으로 형성한다. 또한 조형 언어의 메시지와 해석적 통합 언어의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바탕으로 관계적 해체를 위한 ’다층화의 확장’ 및 기술적 디자인의 경계 관계를 위한 ‘외연의 가변‘ 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관계유형‘은 환영 요소 중 종합적 인지, 연상과 가상공간 및 상호 관계적 경향이 나타났고,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공간의 확대로 표현되었다. 또한 멀티채널과 정서적 반응, 소통의 경험, 체험을 바탕으로 한 비주얼내러티브 구조와 상호 관계적 가상공간의 ’통합적 구축’ 및 종합적 소통을 위한 ‘참여와 공유‘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무대미술에서는 비주얼내러티브를 통해 표현의 확장과 기술적 매체 발달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각의 환영이 표현되고 있고, 더불어 주제, 스토리,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무대미술 공간에서 꾸준한 기술적 진화가 행해지고 있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무대미술은 앞에서 언급한 유형 중에 몇 가지의 컨셉에 중점을 두고 있으면서도, 실제적으로는 다섯 가지 유형 사이를 넘나들며 나타난다. 또한 제시된 유형은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서의 개념적 도구일 뿐이지, 무대미술 공간에 편중되도록 나타내거나 분리시키려는 도구는 아니다. 가장 이상적인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 표현은 다섯 가지 유형의 감각적 표현을 작품, 연출, 내러티브, 컨셉, 디자인, 움직임, 비발성적 언어 등을 기반으로 독립적, 병행적, 혼합적, 변이적, 다중적, 다층적인 새로운 양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무대미술은 관객이 보다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종합적 (공간, 매체, 관객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야기(Story)와 담화(Discourse)의 이원적 구조를 바탕으로 매체의 결합, 내러티브에 의한 다양한 표현 방식은 비주얼내러티브를 통해 공간의 특수성과 스토리에 따른 시간의 서술성을 환영으로서 관객에게 연출되고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bid, p. 228

      환영을 극대화하기 위한 비주얼내러티브 접근은 사회, 문화, 공연, 대중이 요구하는 무대미술의 변화와 가치에 새로운 접근 방식과 경험을 할 수 있는 바탕이 되며, 디지털, 미디어적 소통으로 관객은 좀 더 다양한 양식적 환영을 체험할 수 있는 경험 확대의 가능성을 결론으로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i
      • 목차 vi
      • 그림 목차 ix
      • 표 목차 xii
      • I. 서론 1
      • 국문 요약 i
      • 목차 vi
      • 그림 목차 ix
      • 표 목차 xii
      • I.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3
      • 1.1.1 연구의 배경 3
      • 1.1.2 연구의 목적 7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0
      • 1.2.1 연구의 방법 10
      • 1.2.2 연구의 범위 11
      • 1.2.3 연구의 구성 체계도 12
      • 1.3 선행 연구의 고찰 13
      • 1.3.1 선행 연구의 분석 13
      • 1.3.2 연구의 차별화 방안 18
      • 1.4 용어의 정의 19
      • II. 무대미술에서의 환영 21
      • 2.1 극과 무대미술 23
      • 2.1.1 극의 개념 및 특성 23
      • (1) 극의 정의 23
      • (2) 극의 특징 25
      • (3) 극의 시대적 변천 26
      • 2.1.2 무대미술의 개념 및 특성 31
      • (1) 무대미술의 정의 31
      • (2) 무대미술의 특성 33
      • (3) 무대미술의 시대적 변천 35
      • 2.2 무대미술에서 환영의 개념 37
      • 2.2.1 환영의 개념 37
      • 2.2.2 무대미술에서 환영의 개념 40
      • 2.2.3 무대미술에서 환영의 변화 양상 45
      • 2.3 무대미술에서 나타나는 환영의 특성 48
      • 2.3.1 ‘동시성’ 52
      • 2.3.2 ‘상호작용성’ 53
      • 2.3.3 ‘가변성’ 55
      • 2.3.4 ‘개방성’ 56
      • 2.3.5 ‘차별성’ 57
      • 2.3.6 소결 59
      • III. 무대미술의 환영과 비주얼내러티브 62
      • 3.1 무대미술의 비주얼내러티브 64
      • 3.1.1 내러티브의 개념 64
      • 3.1.2 비주얼내러티브의 개념 69
      • 3.2 무대미술의 비주얼내러티브 표현 73
      • 3.2.1 비주얼내러티브 구조 73
      • 3.2.2 무대미술의 비주얼내러티브 표현 양상 79
      • 3.3 무대미술의 환영과 비주얼내러티브 관계성 89
      • 3.3.1 분석의 개요 90
      • 3.3.2 작품 사례분석 92
      • 3.3.3 소결 122
      • IV.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 유형화 124
      • 4.1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 유형 126
      • 4.1.1 등시(等時) 유형 126
      • 4.1.2 융합(融合) 유형 127
      • 4.1.3 변형(變形) 유형 129
      • 4.1.4 해체(解體) 유형 131
      • 4.1.5 관계(關係) 유형 132
      • 4.1.6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 유형화 종합 134
      • 4.2 평가 및 검증 137
      • 4.2.1 평가의 개요 137
      • 4.2.2 평가의 분석 138
      • 4.3 소결 147
      • V. 결론 150
      • 5.1 연구의 결론 152
      • 5.2 유형의 활용 154
      • 5.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60
      • 참 고 문 헌 163
      • <부록 1> 전문가 인터뷰용 설문지 170
      • ABSTRACT 17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신성열, "「노장의 예술철학」", 한국학술정보, 2010

      3 김용석, "「깊이와 넓이 4막 16장」", 휴머니스트, 2010

      4 지은숙, "로봇, 뮤지컬을 만나다」", 휴먼큐브, 2014

      5 천병희, "「아리스토텔리스 시학」", 문예출판사, 2010

      6 이정우, "「철학으로 매트릭스 읽기」", 이룸, 2003

      7 김동규, "「하이데거의 사이_예술론」", 그린비, 2009

      8 오승환, 이봉희 , "「트랜스미디어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8권 4 호, 2007

      9 이원곤,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10 박일호, "「매체의 전환 미적경험의 확장」", 현대미술학회, 제12권, 2008

      1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신성열, "「노장의 예술철학」", 한국학술정보, 2010

      3 김용석, "「깊이와 넓이 4막 16장」", 휴머니스트, 2010

      4 지은숙, "로봇, 뮤지컬을 만나다」", 휴먼큐브, 2014

      5 천병희, "「아리스토텔리스 시학」", 문예출판사, 2010

      6 이정우, "「철학으로 매트릭스 읽기」", 이룸, 2003

      7 김동규, "「하이데거의 사이_예술론」", 그린비, 2009

      8 오승환, 이봉희 , "「트랜스미디어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8권 4 호, 2007

      9 이원곤,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10 박일호, "「매체의 전환 미적경험의 확장」", 현대미술학회, 제12권, 2008

      11 정민수,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의 재매개」",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12 호, 2008

      12 박영선, "「가상공간 언어와 미디어 아트의 관계」", 한국기초조형학회, 제8 권 3호, 2007

      13 김규정, "「디지털 영상에서 동적 환영성의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7권 3호, 2006

      14 김수영, "「공연예술분야의 새로운 문화 권력의 생성」",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19권 2호, 2018

      15 이은아, "「디지털 이미지에서의 재현 비재현의 문제」", 현대미술학회, 제21 권 2호, 2017

      16 안진근, 한정엽, 한정엽, 안진근, "「혼합현실공간(MRS)의 미디어환경 특성연구」", 한국콘텐츠 학회, 제10권 11호, 2010

      17 원하연, "「프로젝션미디어의 융합디자인의 사례연구」", 예술과미디어학회, 제14권 2호, 2015

      18 권두영, 오지숙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관객참여 공연극 구현", 디자인연 구소, 제14권 3호, 2015

      19 이규옥, "「디지털 정보 환경에 의한 영상 공간의 확장」", 한국기초조형학회, 제5권 4호, 2004

      20 변혁, "「다중영상 시스템으로 구현한 무대 위의 큐비즘」",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2호, 2016

      21 양승무, 이정희 , "「공연예술 VR콘텐츠에 대한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통권 14집, 2016

      22 유영재,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공연콘텐츠의 사례분석연구", 한국융합 학회, 제8권 5호, 2017

      23 김정현, "「오프닝 공연의 미디어 퍼포먼스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 문화학회, 제21권 3호, 2015

      24 지혜원, "「영상매체로 재매개된 공연의 라이브니스의 재구성」", 인문콘텐츠 학회, 43호, 2016

      25 이규정, "「공간 증강현실 기반의 융합형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 회, 제21권 5호, 2016

      26 양선우 , 임찬, 임찬, 양선우 , "「인터액티브 미디어 기반 공연 무대 콘텐츠 제작 연구」", 인 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7권 6호, 2017

      27 조종학, 조종학, "「첨단 미디어 기법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디 자인무화학회, 제21권 2호, 2015

      28 조종학, "「첨단 미디어 기법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디 자인문화학회, 제21권 2호, 2015

      29 김명우, 김명우,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오브젝트 및 공간 표현 연구」", 한국디 지털디자인학회, 제1권 1호, 2011

      30 성정환, 임정아 , "「뮤지컬에 적용된 디지털 공연 기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4권 6호, 2013

      31 임수연, "「가상현실 기술을_이용한_뉴미디어아트의_사례_분석_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7권 1호, 2017

      32 박은하 , 윤준성, "뉴 미디어 퍼포먼스와 스토리텔링 기반의 중첩과 봉합 한국」", 기초조형학회, 제17권 1호, 2016

      33 고은하 , 이정교, "「다목적 공연장에서 연극 전용 무대로의 전환에 관한 연 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9권 4호, 2014

      34 최영주, "「멀티미디어 공연에서 비디어를 활용한 리얼리티 구축하기」", 한 국연극학회, 제1권 53호, 2014

      35 김효, 김효, "「대중예술에 있어서 흥행성과 예술성의 문제」, 한국연극학회", 통권 29집, 2006

      36 최영주, ", 「멀티미디어 공연에서 비디오를 활용한 리얼리티 구축하기」", 한 국연극학회, 제1권 53호, 2014

      37 한효정, "「디지털 환경에서 조형적 요소를 이용한 감성반영 공간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04

      38 김희경, 남정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 텐츠", 통권20집, 2015

      39 박숙영, "「인터랙티브 아트의 존재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통권23집, 2009

      40 노선 , 이재중 , 박진완, "Ÿ , 「라이브 프로젝션 매핑 공연을 위한 실시간 VJing 시스템 구현」",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6호, 2013

      41 김소영, "「상상계의 이미지로 재현되는 욕망의 아날로그」, 한국예술연구소", 간디자인학회, 제7권 42호, 2012

      42 박상현, 박신민 , "「재매개 관점에서 본 무대 공간에서의 미디어 퍼포먼스 특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 2호, 2008

      43 박신민, "「재매개 관점에서 본 무대공간에서의 미디어 퍼포먼스 특성 연 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제8권 2호, 2008

      44 서연화, "「비주얼 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 사례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 회", 통권23집, 2016

      45 김동호, 전석 , 전석 , 이재운 , 이재운 , 김동호, "「디지털 퍼포먼스에서 신체, 디지털 분신 그리고 통 합된 세계의 관계」",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6권 5호, 2015

      46 박남진, "「전시공간과 공연공간의 시 공간 특성 비교와 융합 가능성에 관 한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제17권 2호, 2014

      47 노영해, "「1세기 첨단 디지털 기술이 활용된 바그너 오페라 공연의 현황」, 음악논단", 통권26집, 2011

      48 백로라, 백로라, 백로라, "「현대 공연학 이론의 주요쟁점과 미디어테크놀로지 연극」, 한국 연극학회", 통권34집, 2008

      49 신혜영, 신혜영,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인터페이스 분류에 따른 인지적 의미에 관 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5권 2호, 2014

      50 김은영, "「현실과 환상을 가로지르는 콘텐츠의 재매개화_<미생>의 재매개 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1권 1호, 2017

      51 박수연 , 이재규, "「재매개에 따른 뉴미디어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12권 4호 통권 46호, 2017

      52 오태원,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관점에서 본 현대예술의 상호작용 성」, 한국과학예술포럼", 통권33집, 2018

      53 권아람, "「멀티미디어 라이브 퍼포먼스의 상호매체성과 메타성 연구」, 한 국기초조형학회, 제18권 5호", 통권18집, 2017, 2015

      54 서정미, "「인터랙티브 키네틱 아트에서 프랙탈 자기유사성에 대한 연구 -Andreas Muller의 For All Seasons를 중심으로」", 한국정보디자인학 회, 제13권 1호, 2010

      55 최영주, "「멀티미디어 공연에서 비디오를 활용한 리얼리티 구축하기_샤우뷔 네의 <햄릿>과 리니아 드 솜드라의 <아마릴로>를 중심으로」", 한국연극 학, 제53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