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유멘탈모델 형성을 위한 협업과 상호작용 기반 통합 학습 플랫폼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5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래사회에서 학생이 마주할 문제는 다양한 분야와 여러 집단이 복잡하게 연계된 융합적인 문제로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의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IT 기...

      미래사회에서 학생이 마주할 문제는 다양한 분야와 여러 집단이 복잡하게 연계된 융합적인 문제로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의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IT 기술이 고도화되어 지식이 네트워크화되는 미래정보사회에서는 초등학생의 수준부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공유와 협업 활동을 할 수 있는 학습환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유멘탈모델을 형성하기 위한 학습 플랫폼을 제안하고, 협업, 자기주도학습, 상호작용, 학업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개발하였다. 구축한 학습 플랫폼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사용성과 학습 만족도가 높아 제안하는 학습 플랫폼이 공유멘탈모델 형성을 위한 협력학습모델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of the future that students will encounter is a converging problem in which various fields and groups are intricately linked. To solve thi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particular, IT technology is...

      The problem of the future that students will encounter is a converging problem in which various fields and groups are intricately linked. To solve thi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particular, IT technology is advanced and knowledge is networked. In the future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 need for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yp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can be performed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petencies. In this study, a learning platform was proposed to form a shared mental model for elementary students. The learning platform integrates collaborativ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interaction, and learning managemen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learning platfor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us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high. It was analyzed that the learning platform effectively supports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form a shared mental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공유멘탈모델
      • 3. 학습 플랫폼 설계 및 구현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공유멘탈모델
      • 3. 학습 플랫폼 설계 및 구현
      • 4. 연구방법
      • 5. 연구결과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희인,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 - 초등과학교육 중심의 분석 -" 교과교육연구소 19 (19): 645-667, 2015

      2 심재권, "초등학생을 위한 문장의 정서 분류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4 (24): 243-254, 2020

      3 성혜성, "자발적 참여에 의한 초등온라인학습공동체에서의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의 특징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2 (32): 327-354, 2016

      4 함윤희,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6 (36): 1-31, 2020

      5 송해덕, "웹 2.0 기반 디지털 교과서 학습지원도구 설계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9-38, 2015

      6 임경화, "온라인학습플랫폼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훈련 모델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1 (11): 75-86, 2019

      7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협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239-267, 2017

      8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9 이정민,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영향관계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4 (24): 1-23, 2016

      10 전수인, "온라인 대학 영어 수업에서의 Padlet 학습 활용 방안 및 학습 태도 고찰"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78-391, 2020

      1 채희인,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 - 초등과학교육 중심의 분석 -" 교과교육연구소 19 (19): 645-667, 2015

      2 심재권, "초등학생을 위한 문장의 정서 분류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4 (24): 243-254, 2020

      3 성혜성, "자발적 참여에 의한 초등온라인학습공동체에서의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의 특징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2 (32): 327-354, 2016

      4 함윤희,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6 (36): 1-31, 2020

      5 송해덕, "웹 2.0 기반 디지털 교과서 학습지원도구 설계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9-38, 2015

      6 임경화, "온라인학습플랫폼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훈련 모델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1 (11): 75-86, 2019

      7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협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239-267, 2017

      8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9 이정민,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영향관계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4 (24): 1-23, 2016

      10 전수인, "온라인 대학 영어 수업에서의 Padlet 학습 활용 방안 및 학습 태도 고찰"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78-391, 2020

      11 김은미, "실시간 양방향 소통을 통한 이러닝 학습 지원 플랫폼의 구축"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49-254, 2019

      12 조은성, "소위 Cronbach's alpha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한국상품학회 38 (38): 9-20, 2020

      13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14 임철일,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 사용성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27-157, 2009

      15 강명희, "구글플러스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취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75-302, 2015

      16 강혜련, "공유멘탈모델의 선행요인 및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2003

      17 한정원, "공유멘탈모델, 정보교류체제, 팀 효능감과 팀 성과와의 관계" 한국상업교육학회 30 (30): 47-80, 2016

      18 장필순, "공군 조종사의 팀 멘탈모델 연구 - 교관조종사와 훈련조종사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항공경영학회 14 (14): 113-139, 2016

      19 윤명훈, "갈등 유형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멘탈모델과 정보교류체제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20 (20): 83-112, 2018

      20 안성아, "간호대학생의 팀 공유정신,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751-766, 2018

      21 장진아, "“온라인 학습 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22 (22): 274-291, 2018

      22 Joan R. Rentsch, "What You Know is What You Get from Experience" SAGE Publications 19 (19): 450-474, 1994

      23 Kausalai Kay Wijekumar, "The role of computer tools in experts’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Elsevier BV 23 (23): 664-704, 2007

      24 John E. Mathieu, "The influence of shared mental models on team process and performa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5 (85): 273-283, 2000

      25 R Klimoski, "Team mental model: construct or metaphor?" SAGE Publications 20 (20): 403-437, 1994

      26 Janice Langan-Fox, "Team Mental Models: Techniques, Methods, and Analytic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42 (42): 242-271, 2000

      27 한동욱, "SNS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94-503, 2014

      28 Janis A. Cannon-Bowers, "Reflections on shared cognition" Wiley 22 (22): 195-202, 2001

      29 William B. Rouse, "On looking into the black box: Prospects and limits in the search for mental model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00 (100): 349-363, 1986

      30 이상은,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123-153, 2019

      31 Johnson-Laird PN, "Mental Models: Towards a Cognitive Science of Language, Inference, and Consciousness" Harvard Univ Press 1983

      32 Tristan E. Johnson, "Measuring Sharedness of Team-Related Knowledge: Design and Validation of a Shared Mental Model Instrument" Informa UK Limited 10 (10): 437-454, 2007

      33 Cannon-Bowers, J. A., "Individual and Group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34 Jonassen D. H.,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2006

      35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36 Brown, A. L.,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Thinking Skills. Contributions to Human Development" Karger 1990

      37 Lee. S. J.,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shared-cognition based function-focused care education model for interprofessional caregivers in nursing home" Korea University 2018

      38 Jung, J. E., "Collaborative classes with Microsoft Teams solutions" 23 (23): 241-259, 2020

      39 GAVRIEL SALOMON, "Cognitive Effects With and Of Computer Technology" SAGE Publications 17 (17): 26-44, 1990

      40 Lee, J. J., "A Trends of Sharing Platform for Intelligent Learning Contents" 15 (15): 30-3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2 2.25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