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Daehuksan Island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8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지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사리, 비리, 심리, 소사리 등의 주로 남서사면과 계곡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상관형으로는 상록활엽수림이며, 군락구조는 4층 구조로서 높이는 교목층이 12-14m이며 평균 식피율은 교목층 95%, 아교목층 45%, 관목층 51%, 초본층 58%로 나타났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후박나무림의 식생단위는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후박나무-섬바디군집, 후박나무-밤일엽군집, 후박나무군락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후박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마을, 소사리, 마리 등의 마을주변에서, 붉가시나무군락은 대흑산도 문암산 정상부근과 비리마을 상부지역에서 분포하였다. 동백 나무림의 식생단위는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동백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사리마을, 심리 마을 주변 저지대 및 구릉지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교목층의 식생이 교란된 지역이 많았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 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58.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흑산도의 주요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 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이며, 향후 이들 군락이 기후변화, 인위 적인 간섭, 자연천이 요인들에 의하여 각 군락의 종 구성 변화가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of 2014 to January of 2017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38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of 2014 to January of 2017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38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8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Peninsula, a comparasion study was conducted.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e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It forms a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valleys of the Daehuksan Island Yeri, Sari, Simri and Sorasi village. The investigated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Machilus thunbergii. It forms a community in and around towns, mostly in Daehuksan Island Yeri, Sorasi and the Mari village. The investigated Quercus acut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Quercus acuta, and it forms a community in the top of Mt. Munam and the upper part of Viri village. The investigated Camellia joponic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Camellia joponica, and it was distributed around Daehuksan Island Sari, Simri village, and lowlands and the hilly area. However, there were many areas where tree vegetation was disterbed due to human interference.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58.0% of the total forest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홍선, "한반도 자생 상록활엽수림도감" 풀꽃나무 2004

      2 진영규,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림에 대한 군락분류" 한국생명과학회 15 (15): 767-771, 2005

      3 진영규,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분포대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3

      4 국립수목원,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 1. 남해안아구" 대신기획 694-, 2004

      5 오장근,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분포하는 상록 광엽수림의 비교 연구" 木浦大學校 大學院 1995

      6 최병기, "한국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7 전철현, "제주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8 (28): 221-238, 2016

      8 김문홍, "제주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14 (14): 39-48, 1991

      9 김문홍, "제주도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일본동경대학 2000

      10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1 송홍선, "한반도 자생 상록활엽수림도감" 풀꽃나무 2004

      2 진영규,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림에 대한 군락분류" 한국생명과학회 15 (15): 767-771, 2005

      3 진영규,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분포대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3

      4 국립수목원,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 1. 남해안아구" 대신기획 694-, 2004

      5 오장근,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분포하는 상록 광엽수림의 비교 연구" 木浦大學校 大學院 1995

      6 최병기, "한국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7 전철현, "제주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8 (28): 221-238, 2016

      8 김문홍, "제주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14 (14): 39-48, 1991

      9 김문홍, "제주도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일본동경대학 2000

      10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11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12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하)" 향문사 914-, 2003

      13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901-, 2003

      14 이우철,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412-, 2002

      15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Ⅰ" 교학사 885-, 2006

      16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Ⅰ" 교학사 975-, 2006

      17 이정현, "상록활엽수 3종의 한반도분포 및 자생북한계지" 한국식물분류학회 40 (40): 267-273, 2010

      18 김종홍, "무인도서 내 자생하는 난대 수종의 보전 실태와 대책" 한국자연보전협회 108 : 12-20, 1999

      19 김중현, "덕적군도 내 무인도서의 관속식물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0 (20): 1-23, 2011

      20 김철수,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연구" 한국생태학회 12 (12): 145-160, 1989

      21 국립공원관리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상)" 국립공원관리공단 283-328, 2009

      22 오장근,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41-95, 2009

      23 김하송,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대흑산도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8 (28): 203-219, 2016

      24 김철수,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식생"

      25 전라남도,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의 식생" 276-281, 1995

      26 김종원, "녹지생태학 2판" 월드 사이언스 340-, 2006

      27 오구균,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459-476, 1993

      28 박종철,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5 (5): 29-41, 2010

      29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웹서비스[전자자료]"

      30 이지혜, "가거도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75-86, 2010

      31 金琮鴻, "韓半島 常綠闊葉樹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8

      32 Tang, C.Q, "Structure and Regeneration Dynamics of Three Subtropical Midmontane Mois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Southwestern China, with Special Reference to Bamboo in the Forest Understories" 37 : 2701-2714, 2007

      33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865-, 1964

      34 Geldenhuys, C.J, "Floristic and Structural Composition of Hanglip Forest in the South Pansberg, Northern Transvaal" 165 : 9-20, 1993

      35 Miura, M., "Effects of Sprouting and Canopy states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Sapling Population in an Old-grow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183 : 387-400, 2003

      36 Nakao, K,, "Assessing the Impact of Land use and Climate change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of Quercus acuta in Japan" 212 (212): 229-24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