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을 위한 비대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unseling Undergraduat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1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대면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상담전공 학부생의 자기성장을 위한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A대학 31명의 상담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대면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상담전공 학부생의 자기성장을 위한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A대학 31명의 상담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 결과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10회기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전문가 평정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사전-사후 t검증을 통해 자기성장과 대인관계능력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장 및 표현능력과 타인이해 및 관계에 대한 자신감이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또한, 자기성찰 보고서를 탐색한 결과 집단상담 실습에 대한 참여자들의 적극적 참여와 만족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어렵다고 여겨졌던 집단상담 실습 프로그램을 비대면 환경을 고려하여 개발하고 그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실습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참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situations where face-to-face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in situations where face-to-face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conducted on 31 undergraduate Counseling major, After 10 sessions of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n it was completed by receiving expert evalu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self-growth and interpersonal ability through pre- and post- t test of the program. In particular, self-assert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confidence in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s of others showed remarkable chang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reflection pap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counseling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actice program that was considered difficult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identified its educational potent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ence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more effective practice operation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20 : 19-40, 1995

      2 오윤석,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 연구 : 대면 집단상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401-409, 2020

      3 고대곤, "화상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집단 상담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7 (7): 213-223, 2007

      4 김형태,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효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965-978, 2007

      5 김득준, "이러닝 연구동향과 학습효과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4 (4): 26-34, 2019

      6 송영수, "오프라인 대학에서 ARCS 모델을 적용한 이러닝 코스 개발및 교육 만족도 분석" 3 (3): 24-49, 2009

      7 김은하, "상담전공 학부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치료적 요인 분석"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45-256, 2016

      8 김경희, "상담전공 대학원생이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자기성장의 의미" 한국상담학회 15 (15): 195-215, 2014

      9 고윤희,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805-839, 2014

      10 이혜진, "대학생용 자기성장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4 (14): 609-626, 2013

      1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20 : 19-40, 1995

      2 오윤석,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 연구 : 대면 집단상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401-409, 2020

      3 고대곤, "화상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집단 상담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7 (7): 213-223, 2007

      4 김형태,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효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965-978, 2007

      5 김득준, "이러닝 연구동향과 학습효과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4 (4): 26-34, 2019

      6 송영수, "오프라인 대학에서 ARCS 모델을 적용한 이러닝 코스 개발및 교육 만족도 분석" 3 (3): 24-49, 2009

      7 김은하, "상담전공 학부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치료적 요인 분석" 한국웰니스학회 11 (11): 245-256, 2016

      8 김경희, "상담전공 대학원생이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자기성장의 의미" 한국상담학회 15 (15): 195-215, 2014

      9 고윤희,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805-839, 2014

      10 이혜진, "대학생용 자기성장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4 (14): 609-626, 2013

      11 박선우,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재활심리학회 24 (24): 723-738, 2017

      12 김계현, "교육상당에서의 효과성 연구와 메타분석" 교육연구소 3 (3): 131-155, 2002

      13 Keller, J. M.,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3-433, 1983

      14 Rogers, C. R., "Implicationsand Theory" Houghton Mifflin 1951

      15 강물레, "ARCS 동기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2 (22): 83-104, 2006

      16 Holmes, C. M., "A preliminary comparison of online andface-to-face process groups" 33 (33): 241-26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