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treaming on students achievement focused on ability grouping in mathema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8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공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후, 수준별 수업의 학업성...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공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후, 수준별 수업의 학업성취도 효과를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수학교과에서 공변량 분석 후, 수준별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위 및 하위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효과크기는 매우 미미하였다. 공변량 분석 전, 수준별 이동수업 실시에 따른 성적차이는 상위 및 하위집단에서 유의하였다. 그러나 공분산분석 후, 성적차이는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중위수준의 집단은 공변량 분석 후에도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적차이가 났으나, 효과크기는 매우 작은 편이었다. 결론적으로 수학교과에서 수준별 이동수업은 중간수준의 집단에서 긍정적인 성적차이가 나타났지만 크기가 작았으며, 상위, 하위 집단은 유의미한 성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동질집단 편성이 이질집단 편성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 가설이 증명되지 않은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사전에 예상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세밀한 준비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measured the effects of streaming on students performances of the mathematics score based on PISA 2009.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to measure the effect size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chieve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

      This study measured the effects of streaming on students performances of the mathematics score based on PISA 2009.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to measure the effect size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achieve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ing by ability into different classes on mathematics outcomes with PISA 2009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mid-level ability grouping into different classe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bility grouping classes and non-ability grouping classes. The effect size, however, was very small. In high and low level of students achievement, grouping by ability into different classes had n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ability grouping is not a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s in mathema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호, "학업성취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교육개발원 2006

      2 백병부,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보충수업의 교육적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 경기도교육청, "학생의 학습선택권과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한 수준별 이동수업 내실화 기본계획" 경기도교육청 2006

      4 김병성, "학교효과론 : 연구방법․실천모듈" 학지사 2001

      5 박현정, "학교교육의 질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9 (9): 91-110, 2008

      6 홍후조, "학교 맞춤형 교과교실제 운영 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2

      7 김대석,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한국과 핀란드의 PISA 2006 과학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7-112, 2010

      8 성기선,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KEDI 교육정책포럼 : 한국교육의 현실과 대안(2)" 한국교육개발원 2001

      9 김소영,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3-256,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1 양정호, "학업성취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교육개발원 2006

      2 백병부,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보충수업의 교육적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 경기도교육청, "학생의 학습선택권과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한 수준별 이동수업 내실화 기본계획" 경기도교육청 2006

      4 김병성, "학교효과론 : 연구방법․실천모듈" 학지사 2001

      5 박현정, "학교교육의 질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9 (9): 91-110, 2008

      6 홍후조, "학교 맞춤형 교과교실제 운영 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2

      7 김대석,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한국과 핀란드의 PISA 2006 과학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7-112, 2010

      8 성기선,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KEDI 교육정책포럼 : 한국교육의 현실과 대안(2)" 한국교육개발원 2001

      9 김소영,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3-256,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11 조석희, "중학교 수월성 교육정책의 효율적 추진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6

      12 주소연, "준비된 수준별 수업: 수학․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및 수준별 수업 활성화 방안 공청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3 송경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사교육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교육 특성에 대한 패널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301-326, 2010

      14 佐蕂 學,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살림터 2011

      15 김은영, "수준별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력과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12): 223-245, 2009

      16 이재돈, "수준별 이동식수업이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2 (2): 71-97, 2006

      17 황여정,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14 (14): 71-101, 2008

      18 김준엽,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분석, 김양분 외(편), 주요 교육정책 성과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9

      19 김홍원, "수준별 이동수업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20 진경애,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평가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1 박선화, "수준별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22 성열관, "수준별 교육과정의 감환된 의미로서 영어, 수학 이동수업의 효과성 검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67-189, 2008

      23 조인진,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16 (16): 473-492, 1998

      24 김소영, "수준별 교육과정(이동수업) 운영의 효과성 탐색 : 다층자료 분석모형 이용" 교육연구소 12 (12): 135-158, 2011

      25 배호순,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국내외 연구성과의 메타분석" 17 (17): 279-313, 2000

      26 정택희, "수업외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7

      27 서울시교육청, "서울교육 변화와 전망" 서울시교육청 2008

      28 김희삼,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의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2 (32): 27-59, 2009

      29 佐藤 學,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북코리아 2003

      30 김재춘, "다시 생각해 본 수준별 교육과정 :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편성, 운영논의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15 (15): 19-50, 1997

      31 김달효, "능력별 집단편성의 비판적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6

      32 김천기,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2005

      33 김재춘, "교육과정 개발의 연구 영역 탐색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371-388, 2004

      34 박정,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23-41, 2008

      35 김천기,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수정의 논리와 문제점 : 전라북도 평준화 수정안을 중심으로" 33 (33): 309-321, 1995

      36 채창균, "고교평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63-179, 2006

      37 교육인적자원부, "[단행본]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38 Spring, J., "The American Public School, 1742-1990" Longman 1990

      39 박정, "TIMSS 2003 결과분석 논의, 교육과정평가원(편),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성과와 과제 : 2003 TIMSS와 PISA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원 2004

      40 OECD, "PISA 2009, In PISA 2009 Results: What Makes a School Successful? Resources, Policies and Practices(Volume IV)" OECD Publishing 2010

      41 OECD, "PISA 2009 Technical Report" OECD Publishing 2012

      42 OECD,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Mathematics and Science (Volume I)" OECD Publishing 2010

      43 OECD, "PISA 2009 Results : Overcoming Social, In PISA 2009 Results: Overcoming Social Background: Equity in Learning Opportunities and Outcomes (Volume II)" OECD Publishing 2010

      44 Raudenbush, S. 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second Edition" Sage Publications 2002

      45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 업무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