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묘문화 변화와 분묘기지권에 관한 최근 판례 경향 = Changes in Burial Culture and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on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9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토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 상승과 장묘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국민은 납골당이나 수목장 등의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간편하고 용이하며 위생...

      토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 상승과 장묘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국민은 납골당이나 수목장 등의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간편하고 용이하며 위생적이고 저렴한 비용의 장묘문화가정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타인의 토지 위에 분묘를 설치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으로 용인되는현상으로 여길 수 없으며,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은 우리 사회에서 더는 허용될 수 없다고 볼 것이다. 다만 승낙형이나 양도형 분묘기지권에 있어서 분묘기지권 존립은 허용될 수 있다. 분묘가 존속하는 한 성립된 분묘기지권은 소멸하지 않기 때문에,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의 부담을 안고 있는 토지소유자가 그 분묘기지권자에게 지료조차도 청구할 수 없다는 것은 불합리적이며 형평에 반하는 것이다. 이러한부당함은 장묘문화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도 관계있다고 볼 것이다. 그리고 승낙형 분묘기지권의 경우에도 지료에 관한 약정이 없더라도 유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의 경우에는 당연히 지료는유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법원은 양도형 분묘기지권의 경우에도 토지소유자의 지료지급 청구시가 아니라 분묘기지권이 성립한 때부터 지료를 산정한다고 한다. 결국 분묘기지권의 성립 유형 중 취득시효에 의한 분묘기지권의경우에만 토지소유자의 지료지급 청구가 있는 날부터 지료를 산정하도록 해석하는 것은 승낙형이나 양도형 분묘기지권의 지료 산정시기와 비교하여도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increase in the economic value of land and the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theburial culture, many people are using methods such as the ossuary or the natural burials. It canbe judged that the new method is simple, easy, sanitary, and lo...

      Due to the increase in the economic value of land and the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theburial culture, many people are using methods such as the ossuary or the natural burials. It canbe judged that the new method is simple, easy, sanitary, and low-cost funeral culture has beenestablished. Therefore, it cannot be regarded as a generally accepted phenomenon in our societyto install a graveyards on someone else’s land, and it will be seen that the acquisition of thesite right of graveyards by prescription is no longer acceptable in our society. As long as thetomb remains, the established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does not expire. It is unreasonablethat a landowner who bears the burde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due to the prescriptionfor acquisition cannot even claim a fee from the owner of the tomb site. This injustice is alsorelated to changes in funeral culture and social perception. I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established, it is reasonable to pay the fee even if there is nocontract regarding the fee.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calculate the rent from the time when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established, not when the landowner requests for payment of therent. It is unreasonable to interpret the rent calculation from the date on which the land ownerrequests the payment of fees only in the case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hat is establishedby the prescription of acquis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장사 등에 관한 법률과 분묘기지권 3. 분묘기지권에 관한 위헌심판 4.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과 지료 5. 결론
      • 1. 서론 2. 장사 등에 관한 법률과 분묘기지권 3. 분묘기지권에 관한 위헌심판 4.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과 지료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한장,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분묘관리 개선방안 연구- 장묘제도의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소 12 (12): 323-352, 2019

      2 김용덕, "주석 민법-물권(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9

      3 장병주, "분묘기지권자의 지료지급의무와 그 지급 시기 -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17다22800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4 (24): 219-260, 2021

      4 진상욱, "분묘기지권의 재검토 - 대법원 2017.1.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한국토지법학회 33 (33): 189-222, 2017

      5 전경운, "분묘기지권의 인정근거와 효력에 관한 약간의 고찰" 법학연구원 25 (25): 99-156, 2015

      6 권철,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에 관한 관습법 인정 여부 - 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법학연구원 30 (30): 341-382, 2018

      7 나태영, "분묘기지권에 관한 소고-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2 (22): 89-125, 2018

      8 권태상, "분묘기지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법학연구소 22 (22): 253-289, 2018

      9 곽윤직, "민법주해(Ⅵ)-물권(3)" 박영사 2011

      10 강태성, "물권법" 대명출판사 2020

      1 노한장,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분묘관리 개선방안 연구- 장묘제도의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소 12 (12): 323-352, 2019

      2 김용덕, "주석 민법-물권(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9

      3 장병주, "분묘기지권자의 지료지급의무와 그 지급 시기 -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17다22800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4 (24): 219-260, 2021

      4 진상욱, "분묘기지권의 재검토 - 대법원 2017.1.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한국토지법학회 33 (33): 189-222, 2017

      5 전경운, "분묘기지권의 인정근거와 효력에 관한 약간의 고찰" 법학연구원 25 (25): 99-156, 2015

      6 권철,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에 관한 관습법 인정 여부 - 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법학연구원 30 (30): 341-382, 2018

      7 나태영, "분묘기지권에 관한 소고-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2 (22): 89-125, 2018

      8 권태상, "분묘기지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법학연구소 22 (22): 253-289, 2018

      9 곽윤직, "민법주해(Ⅵ)-물권(3)" 박영사 2011

      10 강태성, "물권법" 대명출판사 2020

      11 이동찬,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에 대한 개선방안-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85 : 123-144, 2019

      12 법률신문, "대법원, “양도형 분묘기지권도 토지사용료 내야” 첫 판결"

      13 오시영, "관습상의 분묘기지권 인정 대법원 판례 검토 - 대법원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동북아법연구소 11 (11): 241-263, 2017

      14 이성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민사법적 고찰 -연고자 개념과 묘지 사전 매매 금지 및 분묘기지권에 대하여-"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2 (22): 127-160,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