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688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 형태사항

        vii, 9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지성애
        참고문헌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Second, What is the major influence from the self 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o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ird, What is the major influence from the subtype self 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o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participants were 208 infants with age of 4 to 6 who attend kindergarten in K province and 195 mothers. This study used four evaluation tools : Using K-PSI-SF for 195 mothers responded self-evaluated their conditions, 'Young Children's sense of Self-Esteem Inventory' and KABC-Ⅱ for responded by 208 children, K-Basc 2 for teachers of each of children's. The collected data from mothers and children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statistics through IBM SPSS 18.0 program.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self-esteem of childre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children and each subtyp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were all subtype of parenting stress which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of children. Inde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each subtyp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personality were all subtype of parenting stress which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acity and each subtyp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personality were only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subtype which h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se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Additionally, self-esteem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Specifically, the relative influence on subtyp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parental distress is tha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Additionally, self-esteem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In the case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of parenting stres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was also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In the case of the child’s difficult of parenting stres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the child’s difficult. Futhermore, self-esteem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the child’s difficul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type self-esteem,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n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ere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Additionally, cognitive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as negative predict variable. Indee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type self-esteem,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intellectual capacity on parental distress of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Additionally, cognitive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as th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In the case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of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Furthermore, the sequential processes ability of intellectual capacity was found as the negative predict variable and social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as th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In the case of difficult child of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difficult child. Additionally, the cognitive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difficult child.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parenting stress of mothers had a correlation to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However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had a part of correlation. At the same time,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had a predictable variable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s the most powerful positive variable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Keyword : Parenting stress, self-esteem,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tellectual capac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Second, What is the major influence from the self esteem of childre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o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ird, What is the major influence from the subtype self 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o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participants were 208 infants with age of 4 to 6 who attend kindergarten in K province and 195 mothers. This study used four evaluation tools : Using K-PSI-SF for 195 mothers responded self-evaluated their conditions, 'Young Children's sense of Self-Esteem Inventory' and KABC-Ⅱ for responded by 208 children, K-Basc 2 for teachers of each of children's. The collected data from mothers and children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statistics through IBM SPSS 18.0 program.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self-esteem of childre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children and each subtyp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were all subtype of parenting stress which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of children. Inde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each subtyp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personality were all subtype of parenting stress which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acity and each subtyp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personality were only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subtype which h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se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Additionally, self-esteem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Specifically, the relative influence on subtyp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parental distress is tha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Additionally, self-esteem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In the case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of parenting stres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was also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In the case of the child’s difficult of parenting stres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the child’s difficult. Futhermore, self-esteem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the child’s difficul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type self-esteem,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n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ere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Additionally, cognitive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as negative predict variable. Indee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type self-esteem,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intellectual capacity on parental distress of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Additionally, cognitive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as th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al distress. In the case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of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Furthermore, the sequential processes ability of intellectual capacity was found as the negative predict variable and social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as th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In the case of difficult child of parenting stres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found as the most powerful positive predict variable on difficult child. Additionally, the cognitive sense of self of child was found to be negative predict variable on difficult child.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parenting stress of mothers had a correlation to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However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had a part of correlation. At the same time,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had a predictable variable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aggression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s the most powerful positive variable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Keyword : Parenting stress, self-esteem,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tellectual capa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가?
      셋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의 대상은 K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 6세 유아 208명과 이들의 어머니 195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도구,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검사도구, 유아 지적능력 검사도구 총 4개의 연구도구를 사용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과 유아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소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자아존중감 간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사이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지적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지적능력 간에는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서만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밝혀졌으며, 부가적으로 유아 자아존중감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고통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이 추가적으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부모-자녀간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지적능력이 추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이 추가적인 영향력을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는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고통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의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지적능력 하위요인의 순차처리 능력으로, 그 다음 유아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사회적 자아 순으로 밝혀졌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의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은 상관관계가 있는 변임임을 밝혀졌고, 지적능력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일부 상관관계가 있는 변임임을 밝혀졌다. 또한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의 공격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이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가?
      셋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의 대상은 K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 6세 유아 208명과 이들의 어머니 195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도구,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검사도구, 유아 지적능력 검사도구 총 4개의 연구도구를 사용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과 유아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소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자아존중감 간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사이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지적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지적능력 간에는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서만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밝혀졌으며, 부가적으로 유아 자아존중감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고통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이 추가적으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부모-자녀간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지적능력이 추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이 추가적인 영향력을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는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고통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의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지적능력 하위요인의 순차처리 능력으로, 그 다음 유아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사회적 자아 순으로 밝혀졌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의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은 상관관계가 있는 변임임을 밝혀졌고, 지적능력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일부 상관관계가 있는 변임임을 밝혀졌다. 또한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의 공격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이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A.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8
      • 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8
      • 2)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구성 요인 10
      • B. 유아 자아존중감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1
      • 1) 유아 자아존중감 11
      • 2) 유아 자아존중감 구성 요인 12
      • 3) 유아 자아존중감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4
      • C.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6
      • 1)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16
      • 2)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7
      • D. 유아 지적능력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8
      • 1) 유아 지적능력 18
      • 2) KABC-Ⅱ 지능검사 20
      • 3) KABC-Ⅱ 이원적인 이론적 기초 21
      • 4) KABC-Ⅱ 지능능력의 하위검사 23
      • 5) 유아 지적능력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23
      • Ⅲ. 연구방법 25
      • A. 연구 대상 25
      • B. 연구 도구 28
      • C. 검사자 훈련 및 검사자 간 일치도 35
      • D. 검사 절차 36
      • E. 자료 분석 39
      • Ⅳ. 결과 및 해석 40
      • A.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 40
      • B.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45
      • C.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53
      • Ⅴ. 논의 및 결론 64
      • A. 요약 64
      • B. 논의 및 결론 66
      • C. 제언 71
      • 참고문헌 73
      • 부록 89
      • 국문초록 91
      • ABSTRACT 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