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 자아존중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가?
셋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의 대상은 K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 6세 유아 208명과 이들의 어머니 195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도구,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검사도구, 유아 지적능력 검사도구 총 4개의 연구도구를 사용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과 유아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소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자아존중감 간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사이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지적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지적능력 간에는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서만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밝혀졌으며, 부가적으로 유아 자아존중감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고통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이 추가적으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부모-자녀간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지적능력이 추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었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이 추가적인 영향력을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들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는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인 부모의 고통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고통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의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지적능력 하위요인의 순차처리 능력으로, 그 다음 유아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사회적 자아 순으로 밝혀졌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의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대한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의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유아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은 상관관계가 있는 변임임을 밝혀졌고, 지적능력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일부 상관관계가 있는 변임임을 밝혀졌다. 또한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의 공격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이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