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지상파 방송보도 프레임 분석 : 2013년 장성택 처형 사건을 중심으로 = A Study of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News Framing with regards to North Korea`s socio-political agen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0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3년 북한의 정치적 실세였던 장성택 처형이라는 북한 내 큰 정치사회적 사건과 그 이후 동향에 대해 지상파 프라임 타임 뉴스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구성 방식을 사용하여 국민...

      이 연구는 2013년 북한의 정치적 실세였던 장성택 처형이라는 북한 내 큰 정치사회적 사건과 그 이후 동향에 대해 지상파 프라임 타임 뉴스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구성 방식을 사용하여 국민들에게 전달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언론에 의해 재생산되는 북한에 대한 시각과 남북 관계를 바라보는 태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기간 동안 지상파 방송3사(KBS, MBC, SBS)의 저녁 뉴스에서 보도된 북한 관련 뉴스들을 내용 분석한 결과, 장성택 처형 사건 및 그 이후 북한 동향에 대한 보도들은 대부분 심층적인 취재와 분석보다는 단편적이고 일화중심적이며, 인간적 흥미에 중점을 둔 프레임으로 전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사들은 안보 위협 프레임과 갈등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북한의 정치 현실을 구성함으로써, 김정은의 공포 정치, 폭력적 리더십, 남북 간 대치, 한반도 긴장, 불안정한 북한 사회 등 통제불가능한 북한의 이미지와 함께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야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공통점 외에 방송사별 프레임 사용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KBS는 안보위협 프레임을, MBC 갈등 프레임을, SBS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gauge the reality-shaping effects of South Korean broadcasters by analyzing the news framing with regards to its divided neighbor, North Korea, in the aftermath of Jang Song-thaek`s execution. During the study period, “KBS 9 ...

      This study attempted to gauge the reality-shaping effects of South Korean broadcasters by analyzing the news framing with regards to its divided neighbor, North Korea, in the aftermath of Jang Song-thaek`s execution. During the study period, “KBS 9 o`clock News”, “MBC News Desk”, and “SBS 8 o`clock News” aired an aggregate 483 North Korea-related news. Majority of the re-ported news were based on anecdotal sources and framed toward the human interest angle. A big chunk of North Korea`s reality was also framed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threat posed by Kim Jong-un`s regime and general political hostility deemed from the North, such framing serving to explain the military standoff between the countries. It is true that the three terrestrial net-works reported more minutely on the mood and happening of North Korea following Jang`s death, but overall frame they used were toward vilification of Kim Jong-un and his rule of terror and the threat to South`s security that he and the instability in the North caused. Individually, KBS news most often utilized the se-curity/threat framing, MBC resorted most often to conflict fram-ing, and the only truly commercial network SBS concentrated on human-drama angle fram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애, "한국 언론의 대북관 비교 연구" 6 (6): 193-219, 2002

      2 김경희,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61-387, 2011

      3 이준웅,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 북한관련 정보추구와 통일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이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에 미치는 영향" 51 : 223-253, 2000

      4 박주연,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87-408, 2013

      5 박경숙,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의약 분업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11-340, 2002

      6 김현경, "정책 판단 그르치는 북한 로열패밀리 보도"

      7 김동윤, "정권시기별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 관련 보도양상과 프레임: 보수지와 진보지, 그리고 지역지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48-87, 2015

      8 이성춘, "전후 분단 국가의 언론정책" 한국언론연구원 1995

      9 이강수, "이영희 선생 회갑 기념논문집" 두레 1989

      10 윤영철, "언론환경의 변화와 보도의 다양성: 반공(반북)이데올로기 지형의변화와 그 한계" 11-40, 1992

      1 이영애, "한국 언론의 대북관 비교 연구" 6 (6): 193-219, 2002

      2 김경희,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61-387, 2011

      3 이준웅,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 북한관련 정보추구와 통일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이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에 미치는 영향" 51 : 223-253, 2000

      4 박주연,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87-408, 2013

      5 박경숙,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의약 분업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11-340, 2002

      6 김현경, "정책 판단 그르치는 북한 로열패밀리 보도"

      7 김동윤, "정권시기별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 관련 보도양상과 프레임: 보수지와 진보지, 그리고 지역지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48-87, 2015

      8 이성춘, "전후 분단 국가의 언론정책" 한국언론연구원 1995

      9 이강수, "이영희 선생 회갑 기념논문집" 두레 1989

      10 윤영철, "언론환경의 변화와 보도의 다양성: 반공(반북)이데올로기 지형의변화와 그 한계" 11-40, 1992

      11 이준웅,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대북 정책에 대한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48 (48): 28-56, 2004

      12 김택환, "어? 신문이 달라졌네: 정상회담 이후 한국신문의 북한보도 태도" 76 : 111-122, 2000

      13 김동익, "비판 없는 북한 보도를 경계한다" 76 : 99-110, 2000

      14 하승희,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222-241, 2012

      15 주창윤, "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방송영역" 2000

      16 김영욱, "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신문을 중심으로" 28-55, 2000

      17 한동섭, "북한관련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 지형과 실천방식" 1 (1): 250-294, 2001

      18 이완수, "북한 핵실험 이슈에 대한 언론의 의제구성" 한국언론정보학회 56 (56): 175-193, 2011

      19 윤호진, "북한 핵 관련 한국 언론의 보도방식과 논조 분석"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75-98, 2003

      20 장용훈, "북한 취재 어떻게 이뤄지나: 장성택 처형 보도를 중심으로" 130 : 87-93, 2014

      21 강남준, "북한 위성방송에 대한 남한시청자 반응조사" 한국방송공사 2000

      22 배진아, "방송의 통일 이념 실천에 관한 주요 관계자의 인식" 한국방송학회 23 (23): 126-167, 2009

      23 박정순, "뉴스의 객관성과 이념성: 남북화해시대의 남북 언론의 대립과 변화" 29 : 6-42, 2000

      24 김은이, "뉴스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언론의 위해 식품 보도 태도" 한국소통학회 (17) : 234-257, 2012

      25 정재철, "남한 방송의 북한 보도 생산자 연구: KBS와 MBC 북한 문제 담당기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8 (48): 135-152, 2009

      26 유선영, "남북한 문화차이와 언론" 한국언론재단 2000

      27 김정탁, "남북통일과 언론" 95-138, 1991

      28 유선영, "남북교류 시대 북한보도" 한국언론연구원 1998

      29 한겨레, "남북관계 개선 필요성 재확인한 장성택 실각"

      30 경항신문 사설, "김정은 정권의 야만성과 우리의 대응자세"

      31 Gitlin, T.,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Lef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32 Hallin, D., "The Uncensored War: The Media and Vietna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33 Price, V., "Switching trains of thought : The impact of news frames on readers’cognitive response" 24 (24): 481-506, 1997

      34 Tuchman, G.,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Free Press 1978

      35 Iyengar, S.,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36 Goffman, E., "Framing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Harper & Row 1974

      37 Entman, R, "Framing U.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Contrast in narratives of Karl and Iran Air incident" 41 : 6-27, 1991

      38 Semetko, H. A., "Framing European Politics: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50 : 93-109, 2000

      39 Riffe, D, "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