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매가 동반되지 않은 파킨슨병의 사건관련전위 = Event-related Potential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out Dement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53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운동장애를 주증상으로 하는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 PD)환자에서 인지기능장애가 동반된다고 한다. P300이라고 불리워지는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는 인간에 있어서 정보...

      목적 : 운동장애를 주증상으로 하는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 PD)환자에서 인지기능장애가 동반된다고 한다. P300이라고 불리워지는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는 인간에 있어서 정보처리와 관련된 활동을 반영하며, 인지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PD환자에서 ERP검사를 실시한 결과 ERP성적이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와 인지기능과 상관없이 운동장애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본 교실의 ERP 검사의 정상치를 구하고 PD환자에서 인지기능 장애와 상관없이 ERP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36명의 치매가 동반되지 않은 PD환자군과 대조군 43명에서 odd-ball paradigm을 이용하여 ERP검사를 실시하여 각 파형의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T-test로 검증하였다.
      결과 : 대조군에서 ERP 각 파의 잠복기는 N1이 86.5±5.8msec, P2가 162.9±31.5msec, N2는 223.0±58.5msec, P3이 347.4±28.2msec였으며, 각 파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잠복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N2와 P3은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PD환자군의 ERP성적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D환자군의 P3잠복기와 이환기간, 교육의 정도, H-Y stage의 정도 및 복용하고 있는 약용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ERP의 잠복기는 연령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PD환자의 ERP는 PD의 특징적인 임상증상과는 무관하고 인지기능에만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normal values of each component of event-related potentials(ERP) and to find electro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arkinson's disease(PD) patients without cognitive dysfunction and controls. 36 PD patients withou...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normal values of each component of event-related potentials(ERP) and to find electro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arkinson's disease(PD) patients without cognitive dysfunction and controls. 36 PD patients without dementia and 43 control subjects without cognitive impairments were examined with auditory oddball paradigm to elicit ERP. Neurological variables such as disease duration, Hoehn and Yahr stag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f Korean version score(MMSE-K), and medications were also analyzed in PD patients.
      In controls, N1 latency was 86.5 ± 5.8 msec, P2 162.9 ± 31.5 msec, N2 223.0 ± 58.5 msec, and P3 347.4 ± 28.2 msec. Latencies of each component increased with age and increments of N2 latency(1.17 msec/yr) and P3 latency(1.07 msec/y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D group, latency of N1 was 85.6 ± 10.9 msec, P2 169.8 ± 23.8 msec, N2 234.5 ± 67.5 msec, and P3 344.8 ± 92.0 msec.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3 latency and any of neurological variables in PD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ncy of the ERP between PD patients and controls.
      Above findings suggest that latencies of ERP change with age and ERP relates to the cognitive functions, not to the characteristic symptoms of P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