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독일의 통일과정에 관한 연구 = (A) three-dimensional approach to the unification process of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9732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49.25 판사항(4)

      • DDC

        327.4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305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278-29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and assess how integrative factors or conditions affected the unific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integrative factors drawn from a number of theories and models are grouped into eight categories. An analytical framework has been organiz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approach. The three dimensions of the German unification process are: i)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ii) legal and political integration, and iii) international relations integration. Each dimension has its relevant variables of phenomena or events. The variables for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include inauguration of the De Maiziere government in East Germany, the method of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exchange rat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 Marks, and the state treaty for monetary, economic and social union. Variables for legal and political integration include the East German parliamentary election, the unification treaty, the election treaty and parliamentary integration. The variables fo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tegration comprise two fields, i.e.,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law.
      Germany (the Third German Reich) was divided int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FRG or West Germany) and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GDR or East Germany) amid the Cold War ord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German question remained unresolved, and solution of the problem was hampered by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four Allied Powers (U.S., Soviet Union, Great Britain and France) relating to Berlin and to Germany as a whole. While affected by relation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blocs - led respectively by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 the GDR and FRG still laid foundations for reunification through vari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 GDR government attempted to limit those interactions, fearing that increased exchanges and cooperation would undermine the identity of East Germans with the GDR. Despite such ‘demarcation[abgrenzung] policies’, intra-German interactions raised East German dependence on West Germany for commodity supplies, hard currency payments and credits. In particular, facing financial crisis in 1983, the GDR asked the FRG government to guarantee a bank credit of 1.95 billion DM. In return for this credit, the GDR had to improve humanitarian conditions, including easing restrictions on travels for the East and West German people, thus contributing to further expanding their communication and contacts. By watching West German television and visiting West Berlin and Germany, East German citizens became attracted to the free democratic system and economic affluence of the West, causing their identity with and allegiance to the GDR to fade.
      Against this backdrop, the opening of the Hungarian border with Austria in 1989 offered discontent East Germans with an exit route to flee to West Germany. The fall of the Berlin Wall led more East Germans to leave for the West, which in turn accelerated the collapse of the East German economy. While many people were leaving the East, those who remained took to the streets, calling for democratization and travel liberalization. After the Berlin Wall fell, they also asked for unific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Deutsche Mark to the East, which worked as an internal catalyst for speeding up German unification. An overwhelming victory in the East German parliament [Volkskammer] election by the ‘Alliance for Germany’ which had promised the introduction of the Deutsche Mark and early unification reaffirmed East German voters’ preference for accession [Beitritt] to the FRG rather than ‘a third way’ between socialism and capitalism or gradual unification. Accordingly, both East and West German government decided to achieve legal and political integration pursuant to Article 23 of the Basic Law [Grundgesetz], which was the FRG constitution.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was carried out as the first phase of unification via Article 23. The general election result also put pressure on the parties of the 2+4 talks to reach an external agreement on unification before the internal solution made it appear ex post facto. Therefore, the three dimensions of integration were mutually linked and proceeded almost simultaneously.
      From this study on the integration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following assessments can be made with regard to integration theory and factors.
      First, the unification process of Germany can be explained by the approaches of functionalism, neo-functionalism and federalism. From the division of Germany in 1945 until November 1989, West Germany took a functionalist approach by fostering mutual trust through increased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East Germany mostly in non-political functional issues, while easing tensions through a strong commitment to the Western alliance and Ostpolitik towards the Eastern bloc countries. At the end of November 1989, in his ten-point plan for unification, West German Chancellor Helmut Kohl intended to create a ‘supranational organizational framework’ including ‘treaty community’ and ‘confederative structure’ with East Germany. His plan to achieve unification gradually through establishing such joint governing structures was neo-functional. In early 1990, however, due to the continued exodus of East German refugees to the West and East German people’s calls for unification, rapid deterioration of economic conditions in East Germany, and uncertainty about Gorbachev’s domestic power status, Chancellor Kohl opted for early unification. This meant his taking federalist approach by having East Germany accede to the FRG via Article 23 of the latter’s Basic law. Accordingly, German unification was achieved by means of the state treaty for monetary, economic and social union, and the unification treaty between FRG and GDR, and the (two plus four)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Second, in East-West German relations, integrative factors such as ‘exchanges and cooperation’, ‘communication’, ‘mutual dependence’ and ‘economic power’ acted together to promote functional cooperation in various sectors, creating favorable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tra-German cooperation expanded communication and contacts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 citizens and increased dependence of the East on the West.
      Third, seeking freedom and wealth, East Germans shifted their loyalties toward West Germany, and expressed their preference with their feet (exodus), their voices (demonstration) and their ballots (election).
      Fourth, East Germans voted for early unification, anticipating such ‘benefits and compensation’ as better living standards and a stabilized econom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Deutsche Mark and the market economic system.
      Fifth, West German ‘political elites’, including Chancellor Kohl could succeed in achieving unification while the window of opportunity was open through shrewd and skilled negotiations internally (with the East German government as well as with West German states and political parties) and internationally (with the four Allied Powers.)
      Sixth, there was ‘external intervention’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by the four Powers. In particular, strong and persistent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and Gorbachev’s rational and pragmatic decisions made vital contributions to unification without war, pain or strife.
      Seventh, with its continued ‘economic growth’ in the 1980s, West Germany had enough financial ability to carry out both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at the same time. Chancellor Kohl could use economic aid as leverage to gain Gorbachev’s support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external aspects of unification, including Moscow’s consent to allow a unified Germany to maintain membership in NATO.
      With its extensive and intensiv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following lessons fo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the integrative factors that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should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by South Korea in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Second, understanding how West Germany coordinated the different interests of the four Allied Powers to achieve unification on its own terms will be conducive to South Korea’s preparation for its diplomacy with its neighboring powers, the U.S., China, Russia and Japan.
      Third, North Korea has undoubtedly analyzed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and its conclusions are probably reflected in its policy towards the South.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North Korea’s policy attitude and strategies for unification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and assess how integrative factors or conditions affected the unific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integrative factors drawn from a number of theories and models are grouped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and assess how integrative factors or conditions affected the unific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integrative factors drawn from a number of theories and models are grouped into eight categories. An analytical framework has been organiz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approach. The three dimensions of the German unification process are: i)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ii) legal and political integration, and iii) international relations integration. Each dimension has its relevant variables of phenomena or events. The variables for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include inauguration of the De Maiziere government in East Germany, the method of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exchange rat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 Marks, and the state treaty for monetary, economic and social union. Variables for legal and political integration include the East German parliamentary election, the unification treaty, the election treaty and parliamentary integration. The variables fo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tegration comprise two fields, i.e.,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law.
      Germany (the Third German Reich) was divided int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FRG or West Germany) and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GDR or East Germany) amid the Cold War ord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German question remained unresolved, and solution of the problem was hampered by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four Allied Powers (U.S., Soviet Union, Great Britain and France) relating to Berlin and to Germany as a whole. While affected by relation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blocs - led respectively by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 the GDR and FRG still laid foundations for reunification through vari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 GDR government attempted to limit those interactions, fearing that increased exchanges and cooperation would undermine the identity of East Germans with the GDR. Despite such ‘demarcation[abgrenzung] policies’, intra-German interactions raised East German dependence on West Germany for commodity supplies, hard currency payments and credits. In particular, facing financial crisis in 1983, the GDR asked the FRG government to guarantee a bank credit of 1.95 billion DM. In return for this credit, the GDR had to improve humanitarian conditions, including easing restrictions on travels for the East and West German people, thus contributing to further expanding their communication and contacts. By watching West German television and visiting West Berlin and Germany, East German citizens became attracted to the free democratic system and economic affluence of the West, causing their identity with and allegiance to the GDR to fade.
      Against this backdrop, the opening of the Hungarian border with Austria in 1989 offered discontent East Germans with an exit route to flee to West Germany. The fall of the Berlin Wall led more East Germans to leave for the West, which in turn accelerated the collapse of the East German economy. While many people were leaving the East, those who remained took to the streets, calling for democratization and travel liberalization. After the Berlin Wall fell, they also asked for unific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Deutsche Mark to the East, which worked as an internal catalyst for speeding up German unification. An overwhelming victory in the East German parliament [Volkskammer] election by the ‘Alliance for Germany’ which had promised the introduction of the Deutsche Mark and early unification reaffirmed East German voters’ preference for accession [Beitritt] to the FRG rather than ‘a third way’ between socialism and capitalism or gradual unification. Accordingly, both East and West German government decided to achieve legal and political integration pursuant to Article 23 of the Basic Law [Grundgesetz], which was the FRG constitution.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was carried out as the first phase of unification via Article 23. The general election result also put pressure on the parties of the 2+4 talks to reach an external agreement on unification before the internal solution made it appear ex post facto. Therefore, the three dimensions of integration were mutually linked and proceeded almost simultaneously.
      From this study on the integration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following assessments can be made with regard to integration theory and factors.
      First, the unification process of Germany can be explained by the approaches of functionalism, neo-functionalism and federalism. From the division of Germany in 1945 until November 1989, West Germany took a functionalist approach by fostering mutual trust through increased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East Germany mostly in non-political functional issues, while easing tensions through a strong commitment to the Western alliance and Ostpolitik towards the Eastern bloc countries. At the end of November 1989, in his ten-point plan for unification, West German Chancellor Helmut Kohl intended to create a ‘supranational organizational framework’ including ‘treaty community’ and ‘confederative structure’ with East Germany. His plan to achieve unification gradually through establishing such joint governing structures was neo-functional. In early 1990, however, due to the continued exodus of East German refugees to the West and East German people’s calls for unification, rapid deterioration of economic conditions in East Germany, and uncertainty about Gorbachev’s domestic power status, Chancellor Kohl opted for early unification. This meant his taking federalist approach by having East Germany accede to the FRG via Article 23 of the latter’s Basic law. Accordingly, German unification was achieved by means of the state treaty for monetary, economic and social union, and the unification treaty between FRG and GDR, and the (two plus four)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Second, in East-West German relations, integrative factors such as ‘exchanges and cooperation’, ‘communication’, ‘mutual dependence’ and ‘economic power’ acted together to promote functional cooperation in various sectors, creating favorable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tra-German cooperation expanded communication and contacts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 citizens and increased dependence of the East on the West.
      Third, seeking freedom and wealth, East Germans shifted their loyalties toward West Germany, and expressed their preference with their feet (exodus), their voices (demonstration) and their ballots (election).
      Fourth, East Germans voted for early unification, anticipating such ‘benefits and compensation’ as better living standards and a stabilized econom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Deutsche Mark and the market economic system.
      Fifth, West German ‘political elites’, including Chancellor Kohl could succeed in achieving unification while the window of opportunity was open through shrewd and skilled negotiations internally (with the East German government as well as with West German states and political parties) and internationally (with the four Allied Powers.)
      Sixth, there was ‘external intervention’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by the four Powers. In particular, strong and persistent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and Gorbachev’s rational and pragmatic decisions made vital contributions to unification without war, pain or strife.
      Seventh, with its continued ‘economic growth’ in the 1980s, West Germany had enough financial ability to carry out both monetary and economic integration at the same time. Chancellor Kohl could use economic aid as leverage to gain Gorbachev’s support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external aspects of unification, including Moscow’s consent to allow a unified Germany to maintain membership in NATO.
      With its extensive and intensiv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following lessons fo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the integrative factors that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should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by South Korea in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unification.
      Second, understanding how West Germany coordinated the different interests of the four Allied Powers to achieve unification on its own terms will be conducive to South Korea’s preparation for its diplomacy with its neighboring powers, the U.S., China, Russia and Japan.
      Third, North Korea has undoubtedly analyzed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and its conclusions are probably reflected in its policy towards the South.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North Korea’s policy attitude and strategies for unifi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이론에서 제시한 통합요인들을 정리하여 구성한 분석틀에 따라 독일의 통일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일의 통일과정을 내적환경인 화폐·경제 통합과정과 법·정치 통합과정, 외적환경인 국제관계 통합과정 등 3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냉전이라는 국제질서 속에서 전후 처리가 완결되지 못한 채 독일은 분단되었다. 그 결과, 독일의 통일 문제는 독일 전체와 베를린에 대한 전승 4대국의 책임과 권한에 의해 구속 받는 미해결 상태로 남게 되었다. 서독과 동독은 미국과 소련으로 대표되는 동·서진영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도 다방면의 교류협력을 확대함으로써 통일의 토대를 구축해 나갔다. 동독은 서독과의 교류 증진이 동독에 대한 주민들의 정체성을 약화시키게 될 것을 우려하여 ‘제한정책’을 취했다. 그러나 내독교역은 상품 공급, 외환지불, 차관 등에 관한 동독의 서독 의존성과 상호 접촉의 폭을 높이게 되었다. 특히, 1983년 재정위기에 처한 동독은 서독에게 차관제공을 요청했으며, 서독은 차관제공을 계기로 동·서독 주민들의 여행조건 완화 등 인도적 개선을 요구한 결과, 동·서독 주민간의 의사소통과 인적 접촉이 더욱 확대되었다. 동독 주민들은 서독 TV 시청과 서독 방문을 통해 서독의 자유 민주 체제와 경제적 풍요에 대해 동경심을 갖게 되었으며 동독의 체제에 대해서는 정체성과 충성심을 점차 잃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1989년 헝가리 정부의 오스트리아 국경 개방은 불만을 가진 동독 주민들에게 탈출구를 제공했으며, 베를린 장벽의 개방으로 동독 주민들의 서독이주가 급증하였으며, 이로 인해 동독 경제의 붕괴가 가속화되었다. 동독 주민들은 처음에는 여행 자유화를 포함한 민주화를 요구했으나 베를린 장벽의 개방이후에는 통일과 서독 마르크의 도입을 요구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내적 동력을 제공했다. 동독 총선거에서 서독 마르크 도입과 조기통일을 공약으로 내세운「독일동맹」의 승리는 동독 주민의 조기통일 의지를 서독과 국제사회에 확인시켜 주었다.
      화폐·경제 통합, 법·정치 통합, 국제관계 통합 등 3가지 차원의 통합과정은 상호 연계성을 갖고 거의 동시에 진행되었다. 동독 총선거 결과 서독 기본법 제23조에 따른 법·정치 통합의 방향이 결정되었으며, 화폐·경제 통합은 서독 기본법 제23조에 의거한 통일의 첫 단계로서 추진되었다. 또한 동독 총선거 결과는「2+4 회담」참가국들에게 독일 통일을 위한 대외적 측면에 합의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었다.
      총선거를 통해 탄생한 정통성을 갖춘 동독 정부와 서독 정부는 화폐·경제·사회 통합에 관한 국가조약을 체결하였다. 서독의 경제계와 야당에서는「선(先) 경제개혁, 후(後) 화폐통합」이란 단계적 통합을 제안했으나, 콜 수상은 동독 주민의 계속적인 이주와 동독 경제의 붕괴를 막기 위해 ‘화폐·경제의 동시 통합’을 결정했다. 화폐교환 비율과 관련 연방은행 등 경제계 인사들은 동독의 생산성을 감안하여 1:1 임금 교환율에 반대했으나, 콜 수상은 동독 주민들에게 ‘이익과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서독 이주를 억제하고 조기통일에 대한 지지를 유인하기 위해 1:1교환을 정치적으로 결정했다.
      통일조약 협상과정에서 서독법의 동독 적용 문제, 재정균형화 원칙의 동독 확장 여부 등의 쟁점을 둘러싸고 서독 정부는 동독 정부뿐만 아니라 서독의 주정부와 정당들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 쟁점 때문에 통일 자체가 어려워 보일 때도 있었지만, 정치 엘리트들간의 타협을 통해 법·정치 통합을 달성할 수 있었다.
      독일의 통일과정은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가 완전히 매듭지어지지 못했던 유산 때문에 전승 4대국의 독일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종료해야 하는 특별한 과정이 있었다. 통일의 국제관계 측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통일 독일의 나토동맹 가입과 독일-폴란드 국경선 인정 문제가 핵심적인 쟁점이 되었다. 콜 수상은 부시 대통령과의 개인적 친분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나토(NATO)의 성격을 정치적 동맹체로 변화시킴으로써 소련의 안보 우려를 해소해 주는 외교적 조치(나토 런던선언 등)를 취했다. 이러한 안보 우려 해소와 서독의 대소 경제지원 때문에 고르바초프는 통일 독일의 나토 가입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2+4 조약」이 타결될 수 있었다.
      통합이론에서 제시된 통합요인들을 적용하여 만든 분석틀을 통해 독일의 통일과정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분단 시부터 통일 시까지 서독의 통일 정책은 ‘기능주의’에서 ‘신기능주의’를 거쳐 ‘연방주의’ 접근을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분단 시부터 1989년말 까지는 동·서독간의 경제, 문화를 비롯한 비정치적 분야의 교류협력을 확대함으로써 상호 신뢰를 쌓고, 대외적으로 서구동맹과의 결속과 동방정책을 바탕으로 긴장 완화를 이룩하는 ‘기능주의적 접근’을 보였다. 1989년 11월말 콜 수상이 ‘10단계 통일방안’에서 조약공동체와 국가연합적 구조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의 창설을 의도적으로 시도함으로써 ‘신기능주의적 접근’을 보였으며, 1990년에 들어와 동독 주민들의 서독 이주 급증과 통일 요구, 동독 상황의 악화, 고르바초프의 국내정치적 지위 약화 등의 요인 때문에 콜 수상은 기본법 제23조에 규정된 헌법적 근거에 따라 동독이 독일연방에 가입하는 방식으로 통일을 달성함으로써 ‘연방주의적 접근’을 보였다. 둘째, 동·서독 관계에 있어서 ‘교류협력’, ‘커뮤니케이션’, ‘상호의존성’, ‘경제력’ 등의 통합요인들이 상호 작용하여 다방면의 기능적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통일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었다. 교류협력은 동·서독 주민간의 의사소통과 인적 접촉을 확대시키는 한편, 서독에 대한 동독의 의존도를 높였다. 셋째, 동독 주민들은 서독의 자유와 풍요를 기대하여 그들의 ‘충성심’을 서독으로 이전시키고 이러한 의사를 탈출과 시위를 통해 표시하였다. 넷째, 동독 주민들은 서독 마르크와 시장경제체제의 즉각적인 도입과 재정지원을 통해 생활수준의 향상과 동독 상황의 안정 등의 ‘이익과 보상’을 기대하여 조기통일을 선택하게 되었다. 다섯째, 콜 수상을 비롯한 서독의 ‘정치 엘리트’들은 그들의 의지와 능력, 결단력을 바탕으로 동독 정부와 서독의 주정부·정당들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전승 4대국과의 긴밀한 협의와 전략적 협상을 통해 ‘기회의 창’이 열려 있을 때 통일을 달성하였다. 여섯째, 미국과 소련, 영국, 프랑스는 ‘외부 개입’을 통해 독일의 통일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특히 미국의 강력한 지지와 고르바초프의 합리적 선택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일곱째, 서독은 경제성장에 따른 ‘경제력’을 바탕으로 화폐·경제·사회 통합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통일 독일의 나토 가입 등 국제관계 측면 해결을 위한 고르바초프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재정지원을 카드로 사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과정에 관해 중요하고 자세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수립과 통일 과정에 대한 준비, 향후 통일관련 연구를 위해 도움과 시사점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첫째,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집중 발굴하여 우리 정부의 통일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독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장차 통일 과정에서 주변 강대국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전승 4대국의 이해관계를 조정해 나간 국제관계 통합 과정은 한반도 주변 4강의 이해관계를 면밀히 연구하고 통일 시나리오 별로 이들의 정책방향을 예측하여 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북한도 독일의 통일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대남 정책 수립에 반영할 것이므로, 본 연구가 북한의 통일에 대한 인식과 대남전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독일 통일의 사례가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까지 다루지 못한 제한점을 갖고 있지만, 북한의 상황을 예측하고 북한의 통일정책과 대남전략이 어떤 통합요인에 중점을 주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이론에서 제시한 통합요인들을 정리하여 구성한 분석틀에 따라 독일의 통일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일의 통일과정을 내적환경인 화폐·경제 통합과정과 �...

      본 연구는 통합이론에서 제시한 통합요인들을 정리하여 구성한 분석틀에 따라 독일의 통일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일의 통일과정을 내적환경인 화폐·경제 통합과정과 법·정치 통합과정, 외적환경인 국제관계 통합과정 등 3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냉전이라는 국제질서 속에서 전후 처리가 완결되지 못한 채 독일은 분단되었다. 그 결과, 독일의 통일 문제는 독일 전체와 베를린에 대한 전승 4대국의 책임과 권한에 의해 구속 받는 미해결 상태로 남게 되었다. 서독과 동독은 미국과 소련으로 대표되는 동·서진영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도 다방면의 교류협력을 확대함으로써 통일의 토대를 구축해 나갔다. 동독은 서독과의 교류 증진이 동독에 대한 주민들의 정체성을 약화시키게 될 것을 우려하여 ‘제한정책’을 취했다. 그러나 내독교역은 상품 공급, 외환지불, 차관 등에 관한 동독의 서독 의존성과 상호 접촉의 폭을 높이게 되었다. 특히, 1983년 재정위기에 처한 동독은 서독에게 차관제공을 요청했으며, 서독은 차관제공을 계기로 동·서독 주민들의 여행조건 완화 등 인도적 개선을 요구한 결과, 동·서독 주민간의 의사소통과 인적 접촉이 더욱 확대되었다. 동독 주민들은 서독 TV 시청과 서독 방문을 통해 서독의 자유 민주 체제와 경제적 풍요에 대해 동경심을 갖게 되었으며 동독의 체제에 대해서는 정체성과 충성심을 점차 잃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1989년 헝가리 정부의 오스트리아 국경 개방은 불만을 가진 동독 주민들에게 탈출구를 제공했으며, 베를린 장벽의 개방으로 동독 주민들의 서독이주가 급증하였으며, 이로 인해 동독 경제의 붕괴가 가속화되었다. 동독 주민들은 처음에는 여행 자유화를 포함한 민주화를 요구했으나 베를린 장벽의 개방이후에는 통일과 서독 마르크의 도입을 요구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내적 동력을 제공했다. 동독 총선거에서 서독 마르크 도입과 조기통일을 공약으로 내세운「독일동맹」의 승리는 동독 주민의 조기통일 의지를 서독과 국제사회에 확인시켜 주었다.
      화폐·경제 통합, 법·정치 통합, 국제관계 통합 등 3가지 차원의 통합과정은 상호 연계성을 갖고 거의 동시에 진행되었다. 동독 총선거 결과 서독 기본법 제23조에 따른 법·정치 통합의 방향이 결정되었으며, 화폐·경제 통합은 서독 기본법 제23조에 의거한 통일의 첫 단계로서 추진되었다. 또한 동독 총선거 결과는「2+4 회담」참가국들에게 독일 통일을 위한 대외적 측면에 합의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되었다.
      총선거를 통해 탄생한 정통성을 갖춘 동독 정부와 서독 정부는 화폐·경제·사회 통합에 관한 국가조약을 체결하였다. 서독의 경제계와 야당에서는「선(先) 경제개혁, 후(後) 화폐통합」이란 단계적 통합을 제안했으나, 콜 수상은 동독 주민의 계속적인 이주와 동독 경제의 붕괴를 막기 위해 ‘화폐·경제의 동시 통합’을 결정했다. 화폐교환 비율과 관련 연방은행 등 경제계 인사들은 동독의 생산성을 감안하여 1:1 임금 교환율에 반대했으나, 콜 수상은 동독 주민들에게 ‘이익과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서독 이주를 억제하고 조기통일에 대한 지지를 유인하기 위해 1:1교환을 정치적으로 결정했다.
      통일조약 협상과정에서 서독법의 동독 적용 문제, 재정균형화 원칙의 동독 확장 여부 등의 쟁점을 둘러싸고 서독 정부는 동독 정부뿐만 아니라 서독의 주정부와 정당들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 쟁점 때문에 통일 자체가 어려워 보일 때도 있었지만, 정치 엘리트들간의 타협을 통해 법·정치 통합을 달성할 수 있었다.
      독일의 통일과정은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가 완전히 매듭지어지지 못했던 유산 때문에 전승 4대국의 독일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종료해야 하는 특별한 과정이 있었다. 통일의 국제관계 측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통일 독일의 나토동맹 가입과 독일-폴란드 국경선 인정 문제가 핵심적인 쟁점이 되었다. 콜 수상은 부시 대통령과의 개인적 친분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나토(NATO)의 성격을 정치적 동맹체로 변화시킴으로써 소련의 안보 우려를 해소해 주는 외교적 조치(나토 런던선언 등)를 취했다. 이러한 안보 우려 해소와 서독의 대소 경제지원 때문에 고르바초프는 통일 독일의 나토 가입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2+4 조약」이 타결될 수 있었다.
      통합이론에서 제시된 통합요인들을 적용하여 만든 분석틀을 통해 독일의 통일과정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분단 시부터 통일 시까지 서독의 통일 정책은 ‘기능주의’에서 ‘신기능주의’를 거쳐 ‘연방주의’ 접근을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분단 시부터 1989년말 까지는 동·서독간의 경제, 문화를 비롯한 비정치적 분야의 교류협력을 확대함으로써 상호 신뢰를 쌓고, 대외적으로 서구동맹과의 결속과 동방정책을 바탕으로 긴장 완화를 이룩하는 ‘기능주의적 접근’을 보였다. 1989년 11월말 콜 수상이 ‘10단계 통일방안’에서 조약공동체와 국가연합적 구조와 같은 ‘초국가적 기구’의 창설을 의도적으로 시도함으로써 ‘신기능주의적 접근’을 보였으며, 1990년에 들어와 동독 주민들의 서독 이주 급증과 통일 요구, 동독 상황의 악화, 고르바초프의 국내정치적 지위 약화 등의 요인 때문에 콜 수상은 기본법 제23조에 규정된 헌법적 근거에 따라 동독이 독일연방에 가입하는 방식으로 통일을 달성함으로써 ‘연방주의적 접근’을 보였다. 둘째, 동·서독 관계에 있어서 ‘교류협력’, ‘커뮤니케이션’, ‘상호의존성’, ‘경제력’ 등의 통합요인들이 상호 작용하여 다방면의 기능적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통일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었다. 교류협력은 동·서독 주민간의 의사소통과 인적 접촉을 확대시키는 한편, 서독에 대한 동독의 의존도를 높였다. 셋째, 동독 주민들은 서독의 자유와 풍요를 기대하여 그들의 ‘충성심’을 서독으로 이전시키고 이러한 의사를 탈출과 시위를 통해 표시하였다. 넷째, 동독 주민들은 서독 마르크와 시장경제체제의 즉각적인 도입과 재정지원을 통해 생활수준의 향상과 동독 상황의 안정 등의 ‘이익과 보상’을 기대하여 조기통일을 선택하게 되었다. 다섯째, 콜 수상을 비롯한 서독의 ‘정치 엘리트’들은 그들의 의지와 능력, 결단력을 바탕으로 동독 정부와 서독의 주정부·정당들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전승 4대국과의 긴밀한 협의와 전략적 협상을 통해 ‘기회의 창’이 열려 있을 때 통일을 달성하였다. 여섯째, 미국과 소련, 영국, 프랑스는 ‘외부 개입’을 통해 독일의 통일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특히 미국의 강력한 지지와 고르바초프의 합리적 선택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일곱째, 서독은 경제성장에 따른 ‘경제력’을 바탕으로 화폐·경제·사회 통합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통일 독일의 나토 가입 등 국제관계 측면 해결을 위한 고르바초프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재정지원을 카드로 사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과정에 관해 중요하고 자세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수립과 통일 과정에 대한 준비, 향후 통일관련 연구를 위해 도움과 시사점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첫째,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집중 발굴하여 우리 정부의 통일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독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장차 통일 과정에서 주변 강대국의 역할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전승 4대국의 이해관계를 조정해 나간 국제관계 통합 과정은 한반도 주변 4강의 이해관계를 면밀히 연구하고 통일 시나리오 별로 이들의 정책방향을 예측하여 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북한도 독일의 통일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대남 정책 수립에 반영할 것이므로, 본 연구가 북한의 통일에 대한 인식과 대남전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독일 통일의 사례가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까지 다루지 못한 제한점을 갖고 있지만, 북한의 상황을 예측하고 북한의 통일정책과 대남전략이 어떤 통합요인에 중점을 주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2장 통합이론과 독일 통일과정의 분석 = 9
      • 제1절 국제정치 연구에서의 통합이론 = 9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제2장 통합이론과 독일 통일과정의 분석 = 9
      • 제1절 국제정치 연구에서의 통합이론 = 9
      • 1. 연방주의 = 12
      • 2. 기능주의 = 13
      • 3. 신기능주의 = 15
      • 4. 다원주의 = 18
      • 제2절 주요 학자별 통합모델 검토 = 19
      • 1. 요한 갈퉁 (Johan Galtung) = 19
      • 2. 조지프 나이(Joseph Nye) = 20
      • 3. 칼 도이치 (Karl Deutsch) = 22
      • 4. 도날드 푸찰라 (Donald Puchala) = 24
      • 5. 아미타이 에치오니(Amitai Etzioni) = 25
      • 제3절 독일 통일과정의 분석틀 구성 = 27
      • 1. 통합이론과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요인들 = 27
      • 2. 통합요인과 독일 통일의 분석틀 = 32
      • 3. 독일 통일의 분석차원과 절차 = 36
      • 제3장 동·서독 관계와 동독의 붕괴 = 39
      • 제1절 독일의 분단과 동·서독 관계 = 39
      • 1. 동·서독관계의 기본 성격 = 39
      • 2. 동·서독 관계의 변천 = 46
      • 3. 내독관계가 독일 통일과정에 미친 영향 = 71
      • 2절 동독의 붕괴 과정 = 74
      • 1. 대규모 탈출사태 = 74
      • 2. 동독내 시위 확산 = 86
      • 3. 베를린 장벽의 개방 = 91
      • 4. 호네커의 실각과 동독 공산정권의 붕괴 = 93
      • 제3절 서독 정부의 정책과 대응 = 97
      • 1. 서독 정부의 정책 목표 = 97
      • 2. 서독 정부의 대응 조치 = 99
      • 3. 통일방법의 모색 = 105
      • 제4장 독일 통일의 화폐·경제통합과정 = 118
      • 제1절 화폐·경제통합의 방식 논쟁 = 118
      • 1. 단계적 통합론 = 118
      • 2. 동시적 통합론 = 120
      • 3. 화폐통합과 경제·사회 통합의 연계성 = 123
      • 제2절 화폐 교환비율의 책정 = 127
      • 1. 교환비율 책정의 문제점 = 127
      • 2. 적정 교환비율 결정을 위한 고려사항 = 131
      • 3. 적정 교환비율에 대한 독일 연방은행의 입장 = 136
      • 4. 화폐교환 비율의 결정과 평가 = 138
      • 제3절 화폐·경제·사회 통합조약 = 141
      • 1. 화폐통합[Die Waehrungsunion] = 142
      • 2. 경제통합[Die Wirtschaftsunion] = 143
      • 3. 사회통합[Die Sozialunion] = 144
      • 4. 동독 지역에서의 적용 = 145
      • 5. 서독 정부의 조치 = 148
      • 6. 연방은행의 조치 = 149
      • 제4절 화폐·경제·사회 통합의 파급 효과 = 152
      • 1. 동독 산업의 경쟁력 약화 = 152
      • 2. 서독의 재정부담 가중 = 154
      • 3. 실업자 증가 및 이주민 감소 = 155
      • 4. 물가 및 통화량에 미친 영향 = 159
      • 제5절 화폐.경제통합과정에서의 통합요인 평가 = 160
      • 제5장 독일 통일의 법·정치 통합과정 = 166
      • 제1절 동독 총선거와 인민의회 구성 = 166
      • 1. 동독 민주정당의 출현 = 166
      • 2. 동독의 최초 자유 총선거 = 170
      • 제2절 통일조약의 체결 = 176
      • 1. 통일의 헌법적 근거 = 176
      • 2. 통일조약의 협상 과정 = 180
      • 3. 통일조약 협상의 주요 쟁점 = 184
      • 4. 통일조약 내용과 의의 = 190
      • 제3절 동·서독 선거조약 체결과 의회통합 = 192
      • 1. 독일 통일위원회 구성 = 192
      • 2. 독일 통일위원회 공동회의 개최 = 193
      • 3. 선거조약 체결 = 194
      • 4. 동독 인민의회 해산과 연방의회 통합 = 197
      • 제4절 전독 총선거와 통일의회 구성 = 198
      • 1. 동·서독 정당 통합 = 198
      • 2. 전독 총선거 실시 = 199
      • 3. 통일의회 개원 = 200
      • 제5절 법·정치 통합과정에서의 통합요인 평가 = 202
      • 제6장 독일 통일의 국제관계 통합과정 = 207
      • 제1절 독일 통일에 대한 전승 4대국의 입장 = 207
      • 1. 동독의 상황과 서독의 입장 = 207
      • 2. 미국의 입장 = 208
      • 3. 영국의 입장 = 210
      • 4. 프랑스의 입장 = 211
      • 5. 소련의 입장 = 212
      • 제2절 독일 통일의 국제적 쟁점 = 215
      • 1. 통일 독일의 나토 가입 = 215
      • 2. 오데르-나이세 국경선 인정 = 216
      • 제3절. 「2+4 회담」의 진행 과정 = 219
      • 1. 협상틀의 합의 = 219
      • 2.「2+4 회담」에 대한 서독 정부의 목표 = 221
      • 3.「2+4 회담」의 진행과 결과 = 223
      • 제4절 관련조약의 체결 = 236
      • 1. 독·소 우호·친선·협력 조약 = 236
      • 2. 소련에 대한 동독의 경제적 의무 처리 조약 = 237
      • 3. 소련군의 한시적 주둔과 철수에 관한 조약 = 238
      • 4. 서방 3국과 독일간 조약 = 239
      • 제5절 국제관계 통합과정에서의 통합요인 평가 = 240
      • 제7장 결론 = 250
      • 부록 : 독일의 통일과정 연표 = 262
      • 참고문헌 = 278
      • 〈Abstract〉 = 2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