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기록물은 마을공동체의 활동 및 마을 내·외부에서 생산된 마을과 관련된 모든 정보자료로, 마을 아카이브는 이러한 기록인 동시에 집합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중요성을 인정받�...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마을 기록물은 마을공동체의 활동 및 마을 내·외부에서 생산된 마을과 관련된 모든 정보자료로, 마을 아카이브는 이러한 기록인 동시에 집합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중요성을 인정받�...
마을 기록물은 마을공동체의 활동 및 마을 내·외부에서 생산된 마을과 관련된 모든 정보자료로, 마을 아카이브는 이러한 기록인 동시에 집합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중요성을 인정받아 많은 마을 아카이브가 구축되고 있으나, 예산, 인력, 공간 등 아카이브 운영 전반에 걸쳐 한계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현재 마을 아카이브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마을 아카이브는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지역과 지역민의 삶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재개발 또는 도시재생 등 ‘사라짐’과 얽힌다면 그 가치는 더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마을 아카이브에서 중요한 것이 지속가능한 활성화 방안이라 보고 대천마을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마을 아카이브의 지속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마을 아카이브와 ‘사라지는 지역’ 아카이브 등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마을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내외 마을 아카이브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해방촌 마을 아카이브와 <안녕, 둔촌 주공아파트>(주민주도형), 경기북부 마을아카이브와 성북구 마을기록 아카이브(공공기관형)을 선정해 조사하였고, 해외 사례로 영국의 커뮤니티 아카이브를 분석한 뒤 각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대천마을 아카이브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현재 대천마을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 문제점, 이상(理想)을 파악하였다. 인식 조사 결과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미흡한 거버넌스, 예산, 교육, 홍보/마케팅이 거론되었고, 이 중 거버넌스 모델의 부재가 근본적인 결함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대천마을 아카이브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방안은 앞서 밝혀진 문제점마다 개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중 거버넌스 모델의 부재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 아카이브 파트너십을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