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486564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1. 8
2011
한국어
707 판사항(22)
광주
Analysis on school education of cultural art in administration case by volunteer organizations
v, 86 장 ; 31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오지향
참고문헌: p. 61-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학교의 운영사례를 알아보고 실태를 파악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관련 연구자료를 통해 독일, 미국, 영국, 프랑스의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지원사업에 참여한 5명의 예술강사와 1명의 학교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남 완도 A초등학교는 학년 별 시수조정이 되어야 하며, 악기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예술강사들의 복지 차원에까지 좀 더 일관성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광주 B중학교는 학교 측에서 악기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예술강사의 복지적인 부분의 지원이 필요하다. 미국의 블루프린트 프로젝트와 비교하면, 예술강사의 연수를 확대시키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에만 머무는 것이 아닌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에 적합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예술강사들은 수업의 질을 높이고 직접적으로 수업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에 참여한 광주 C초등학교는 예술강사의 모집방법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적으로 확대시켜야 하며,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강사들을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예술강사가 모니터링과 컨설팅에 참여하고, 초등학교에 이어 중학교로 연계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필요하다. 영국의 세인트 메릴리번 학교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일반 공립학교에서도 모든 학생이 각자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예술교육의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남 D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지원사업의 기간을 5개월에서 1년으로 확대시키는 방안과 예술강사 연수 프로그램에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아의 발달심리에 관한 연수과정이 필요하다. 전남 E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연령별로 정원이 너무 많기 때문에 수업을 위한 적절한 배정이 필요하며, 예술강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상·하반기 2번의 연수 필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측의 추후 관리가 필요하다. 프랑스의 유아학교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유아문화예술교육은 조금 늦은 편이지만,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확대되어 유치원 뿐 만 아니라 여러 사회복지센터에서도 누구나 쉽게 참여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각각의 지원사업의 운영사례를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 본래의 취지와 목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광주의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는 광주·전남지역의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