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복싱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특이성 원칙에 입각한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함으로써 복싱 국가대표 선수들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905625
원주 :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6
2006
한국어
698.33 판사항(4)
강원특별자치도
ix, 128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103-1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복싱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특이성 원칙에 입각한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함으로써 복싱 국가대표 선수들이...
본 연구의 목적은 복싱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특이성 원칙에 입각한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함으로써 복싱 국가대표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상위에 입상하여 국위를 선양하는데 있다. 또한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유도, 레슬링, 태권도 등의 종목으로 확대하여 각 종목에 맞는 효과적인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복싱에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수차례의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복싱의 특이성에 부합되는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태릉선수촌에서 합숙훈련 중인 국가대표 복싱선수 11명이며,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조직적응 국면(2주), 최대근력향상 국면(6주), 파워전환 국면(4주) 등 총 12주간 국면별로 훈련을 실시하였고, 그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두 차례의 측정을 하였다. 사전, 사후 측정에서의 관찰변인들은 체격을 비롯한 일반적 검사항목인 기초체력과 복싱의 특이적 운동능력을 대변할 수 있는 전문체력 등이 측정·평가되었다.
주기화 원리에 입각한 최대근력 트레이닝, 파워서킷 트레이닝을 적용한 개발된 프로그램은 최대 근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무산소성 파워 능력, 유연성, 민첩성, 근지구력, 그리고 요근의 굴근과 신근의 균형적 근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기초체력 항목뿐만 아니라 복싱의 경기력을 진단하는 전문체력 측정항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주목 할 결과는 최대근력이 모두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과 대퇴위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힘과 속도를 강조한 폭발적인 파워 위주의 최대근력 훈련은 최대근력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최대근력의 향상은 근비대가 아닌 FT(속근)섬유의 동원능력 또는 근 활동과 관련된 모든 근육들의 통합적 수축, 즉 근 협응력의 개선을 통해서도 이루어 질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체중증가에 민감한 체급 종목에도 이러한 최대근력 훈련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본 프로그램에서처럼 각 종목의 특이성과 주기화 원리에 입각한 근력 운동 프로그램이 각 스포츠 종목별로 확대되어 적용된다면 대부분 선수들의 체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Korean boxers contribute to enhancing national prestige as well as obtain higher ranking in international games by verifying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rength training program based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Korean boxers contribute to enhancing national prestige as well as obtain higher ranking in international games by verifying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rength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principle of sports specific training which is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in Boxers. In addition, this study hopes to develop and apply an effective strength training program suited for each sport by expanding the study into Judo, Wrestling, Tae kwon do, etc on the basi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as wel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trength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specifically for Boxing through literature on Boxing, a series of meetings with experts and experienced coach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1 boxers who were training at Tae Reung National Training Center. The newly developed-program was applied to them for a total of 12 weeks in three phases; anatomical adaptation phase(2 weeks), maximum strength phase(6 weeks), conversion to power phase(4 weeks). The applied effects were tested over two times(pre and post test). Variables of observation in pre and post tests were measured and estimated by a general strength test which is a general test of items including physique and specific strength which are the specific to Boxing.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which was applied to maximum strength training and power-circuit training based on a periodization system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anaerobic power, flexibility, agility, muscle endurance, and balanced development of flexor and extensor in low back as well as maximum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improved effect on the items of specific strength which diagnoses the athletic performance in Boxing as well as the test items of general strength. The most noteworthy result in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e boxers' weight and femoral reg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pite of the improvement of every maximum strength. Judging from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for maximum strength aiming at explosive power which emphasizes force and speed elevates maximum strength, and such elevation of maximum strength can be achieved by stimulation of the fast-twitch muscle fiber or unified contraction of all the muscles connected with muscle activity, that is, improvement of muscle coordination. Especially, it means that such maximum strength train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weight sports that are sensitive to an increase in weight.
Consequently, it is judged that expanding and applying strength training based on sports specific and periodization system to each sport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boxers' physical strengt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