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주 네트워크와 개항장 목포의 로컬리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19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1897년 대한제국의 첫 칙령개항장인 목포 내 지주의 존재형태와 지주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했던 목포의 상업 및 상인층이 아닌 농업 및 지주층에 주목하여, 지주 네트워크가 개항장 목포의 로컬리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항과 함께 양항(良港) 목포에는 일본 농업회사 및 조선인·일본인 대지주가 모여들었다. 대지주들은 미곡 생산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목포농담회, 목포농회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수취한 미곡 운반을 위해 목포 내 교통·운수시설을 마련하여 지주 자본가로 성장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목포 내 조선인·일본인 대지주들은 목포농담회·목포부협의회에서 활동하면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문재철·서인섭으로 대표되는 목포 내 지주들은 보다 많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농사 개량 및 소작료 징수, 소작쟁의에 대한 대응 등에 지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산업단체 및 회사에도 이후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인‧일본인 지주들은 농업자본의 축적을 넘어 자본의 전환을 꾀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개항장 목포의 지주 자본가는 식민지 근대를 형성하는 주체들 중 하나였다. 이들은 농업단체나 정치·경제 기관에서 활동하면서, 거기에서 형성된 복잡하고 중층적인 네트워크를 토대로 사회‧경제‧문화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개항장 내 형성된 지주 네트워크는 식민지 조선의 특성상 식민성과 근대성 모두를 내포한 채 목포라는 공간의 지역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1897년 대한제국의 첫 칙령개항장인 목포 내 지주의 존재형태와 지주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했던 목포의 상업 및 상인층이 아닌 농업 및 지주층에 주목하...

      이 글에서는 1897년 대한제국의 첫 칙령개항장인 목포 내 지주의 존재형태와 지주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했던 목포의 상업 및 상인층이 아닌 농업 및 지주층에 주목하여, 지주 네트워크가 개항장 목포의 로컬리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항과 함께 양항(良港) 목포에는 일본 농업회사 및 조선인·일본인 대지주가 모여들었다. 대지주들은 미곡 생산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목포농담회, 목포농회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수취한 미곡 운반을 위해 목포 내 교통·운수시설을 마련하여 지주 자본가로 성장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목포 내 조선인·일본인 대지주들은 목포농담회·목포부협의회에서 활동하면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문재철·서인섭으로 대표되는 목포 내 지주들은 보다 많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농사 개량 및 소작료 징수, 소작쟁의에 대한 대응 등에 지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산업단체 및 회사에도 이후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인‧일본인 지주들은 농업자본의 축적을 넘어 자본의 전환을 꾀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개항장 목포의 지주 자본가는 식민지 근대를 형성하는 주체들 중 하나였다. 이들은 농업단체나 정치·경제 기관에서 활동하면서, 거기에서 형성된 복잡하고 중층적인 네트워크를 토대로 사회‧경제‧문화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개항장 내 형성된 지주 네트워크는 식민지 조선의 특성상 식민성과 근대성 모두를 내포한 채 목포라는 공간의 지역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forms of landowners and their networks at Mokpo, the first treaty port of Korean Empire in 1897.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agriculture and the landowner class in order to determine that the landowner network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locality of Mokpo the open port.
      Landowner capitalists who utilized the human networks to find a way to accumulate and converse capital were one of subjects constituting the colonial modernity. Korean and Japanese landowners in Mokpo actively participated in agricultural societies or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es, thereby having a bearing on the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y formed a complex and multi layered relationship and exploited these networks to accept and spread modernity and coloniality.
      Mokpo Agricultural Society(木浦農談會) and Mokpo Department Council(木浦府協議會) ar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social networks that function as human assets of landowners. Their activities in these two organizations show politic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reat landowners in Mokpo well. Landowner networks formed the locality of Mokpo, involving both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Agricultural capitalists in the open port tried to belong to these human networks in order to effectively accumulate and converse capital, thereby contributing to accelerat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the open port. In other words, the agricultural capitalists in Mokpo were in the vanguard of both th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colonial Joseon.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forms of landowners and their networks at Mokpo, the first treaty port of Korean Empire in 1897.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agriculture and the landowner class in order to determine that the landowner networks pla...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forms of landowners and their networks at Mokpo, the first treaty port of Korean Empire in 1897.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agriculture and the landowner class in order to determine that the landowner network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locality of Mokpo the open port.
      Landowner capitalists who utilized the human networks to find a way to accumulate and converse capital were one of subjects constituting the colonial modernity. Korean and Japanese landowners in Mokpo actively participated in agricultural societies or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es, thereby having a bearing on the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y formed a complex and multi layered relationship and exploited these networks to accept and spread modernity and coloniality.
      Mokpo Agricultural Society(木浦農談會) and Mokpo Department Council(木浦府協議會) ar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social networks that function as human assets of landowners. Their activities in these two organizations show politic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reat landowners in Mokpo well. Landowner networks formed the locality of Mokpo, involving both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Agricultural capitalists in the open port tried to belong to these human networks in order to effectively accumulate and converse capital, thereby contributing to accelerat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the open port. In other words, the agricultural capitalists in Mokpo were in the vanguard of both th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colonial Jose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개항장 목포의 공간과 농업 자본가
      • 3. 지주 네트워크와 개항장 목포의 장소성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개항장 목포의 공간과 농업 자본가
      • 3. 지주 네트워크와 개항장 목포의 장소성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천우, "한말·일제하의 지주제 연구 : 암태도 문씨가의 지주로의 성장과 그 변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2 中村資良, "조선은행회사요록" 여강출판사 1986

      3 오미일,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4 오미일, "일제시기 호남재벌 玄俊鎬의 鶴坡農場과 자본축적 시스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5) : 57-103, 2009

      5 이희제, "일제 식민지 시기 지주자본전환의 한 양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6 : 2000

      6 정병준, "암태도소작쟁의 주역의 세 가지 길: 서태석ㆍ박복영ㆍ문재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283-328, 2007

      7 최성환, "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9) : 165-194, 2011

      8 목포백년회, "목포개항백년사" ㈜목포신문사 1997

      9 "매일신보"

      10 "동아일보"

      1 박천우, "한말·일제하의 지주제 연구 : 암태도 문씨가의 지주로의 성장과 그 변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2 中村資良, "조선은행회사요록" 여강출판사 1986

      3 오미일,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4 오미일, "일제시기 호남재벌 玄俊鎬의 鶴坡農場과 자본축적 시스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5) : 57-103, 2009

      5 이희제, "일제 식민지 시기 지주자본전환의 한 양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6 : 2000

      6 정병준, "암태도소작쟁의 주역의 세 가지 길: 서태석ㆍ박복영ㆍ문재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1) : 283-328, 2007

      7 최성환, "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9) : 165-194, 2011

      8 목포백년회, "목포개항백년사" ㈜목포신문사 1997

      9 "매일신보"

      10 "동아일보"

      11 양흥숙, "동아시아 개항장 도시의 로컬리티" 소명출판 2013

      12 한철호, "대한제국기 목포항의 무역구조와 유통권의 변동(1897~1910)" 호남학연구원 (42) : 63-104, 2008

      13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서울대출판부 2004

      14 하원호, "韓末 榮山江流域과 木浦의 상품무역" 고려사학회 (23) : 237-267, 2006

      15 최성환, "開港 初期 木浦港의 日本人과 海上네트워크" 한국학연구소 (26) : 45-82, 2012

      16 배종무, "木浦開港史 硏究" 느티나무 1994

      17 목포지편찬회, "木浦誌" 목포문화원 1991

      18 목포부, "木浦府史(완역)" 목포문화원 2011

      19 목포시, "木浦市史-社會‧産業編" 향토문화원 1990

      20 染川覺太郞, "全羅南道事情誌" 全羅南道事情誌刊行會, 木山印刷所 193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