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태진,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2 장국종, "조선농업사1", 백산자료원, 1998
3 조영준, "역주, , 시폐", 아카넷, 2013
4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2007
5 김왕직, "조선후기 건축경제사", 한국학술정보, 2005
6 김선호, "공인계의 발생에 대하여", 력사과학 년 3호, 1985
7 이경엽, "길쌈두레의 구성과 기능",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25, 1993
8 남미혜, "조선시대 양잠업 연구", 지식산업사, 2009
9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10 조재곤, "한국 근대사회와 보부상", 혜안, 2001
1 이태진,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2 장국종, "조선농업사1", 백산자료원, 1998
3 조영준, "역주, , 시폐", 아카넷, 2013
4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2007
5 김왕직, "조선후기 건축경제사", 한국학술정보, 2005
6 김선호, "공인계의 발생에 대하여", 력사과학 년 3호, 1985
7 이경엽, "길쌈두레의 구성과 기능",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25, 1993
8 남미혜, "조선시대 양잠업 연구", 지식산업사, 2009
9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10 조재곤, "한국 근대사회와 보부상", 혜안, 2001
11 이영학, "한국 근대 연초산업 연구", 신서원, 2013
12 김삼기, "조선시대 제지수공업 연구", 민속원, 2006
13 고동환, "조선후기 市廛의 구조와 기능", 역사와 현실 44, 2002
14 권인혁, "조선시대 화폐유통과 사회경제", 경인문화사, 2011
15 정수환,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경인문화사, 2013
16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17 이헌창, 조영준, "「조선후기 貢價의 체계와 추이」", 韓國史硏究 142, 2008
18 이정신, "고려시대의 특수행정구역 所연구", 혜안, 2013
19 전석담, 홍희유, 허종호, "조선에서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이성과 현실, 1989
20 조영준, "조선후기 조직의 賻儀와 경제적 성격", 奎章閣 40, 2012
21 권인혁, "15세기 후반 저화제의 동요와 포화유통", 朴永錫敎授華甲紀念韓國史學 論叢(상), 1992
22 김선호, "17-18세기 공인집단의 형성과 그 확대(2)", 력사과학 1987년 4호, 1987
23 김정자, "正祖代通共政策의 施行에 관한 硏究",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0
24 박흥기, "난전(亂廛)의 통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신문화연구 113, 2008
25 최윤오, "朝鮮後期土地所有權의 발달과 地主制", 혜안, 2006
26 최완기, "朝鮮時代鐘路에서의 生産活動과 그 意味", 史學硏究55 56, 1998
27 우대형, "조선후기 穀物市場의 통합에 관한 재검토",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 연구소 세미나 발표, 2016
28 고동환, "조선후기 交通發達과 全國的市場圈의 형성", 문화역사지리 8, 1996
29 양정필, "근대 개성상인의 상업적 전통과 자본 축적",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2012
30 이헌창,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 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31 백승철, "16세기 부상대고(富商大賈)의 성장과 상업활동", 역사와 현실 13, 1994
32 김미성, "18세기 관청 하급실무직의 貢人權운영 사례 연구", 지역과 역사 40, 2017
33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의 인구추세와 도시문제 발생」",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 28, 1998
34 이지원, "16 17세기 전반 貢物防納의 構造와 流通經濟的性格", 李在龒博士還曆 紀念韓國史學論叢, 1990
35 홍순민, "조선시대 궁녀의 계보학 , 조선 전문가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0
36 고동환,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 –면주전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32, 2008
37 김희호, 이정수, "18∼19세기 流通資産의 매매를 통해 본 商業構造변화", 朝鮮 時代史學報 43, 2007
38 김미성, "18∼19세기 노동력 조달 전문 軍契貢人의 형성과 운영", 朝鮮時代史學 報 70, 2014
39 정석우, 조익순, "(조선시대 회계문서에 나타난) 사개송도치부법의 발자취", 박영 사, 2006
40 한상권, "영조 정조의 새로운 상업관과 서울 상업정책 ,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41 박인택, "제9장 농촌사회에서의 선물교환: 1834∼1956 , 맛질의 농민들", 일조각, 2001
42 신해순, "17세기 전후 동반 소속 하급 京衙前制度의 변화 -書吏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報 40, 2010
43 남미혜, "15 16세기 服飾奢侈의 유행과 국가의 대응책 -紗羅綾緞을 중심으로-", 梨花史學硏究 27, 2000
44 김현숙, "조선 여성의 선물 교환 실태와 緣網-19세기 중반 호서지역을 중심으 로-", 朝鮮時代史學報 75, 2015
45 김동철, "19세기 후반 동래상인의 존재와 활동 -都中洪在昇, 朴時奭, 李塤의 사 례-", 지역과 역사 38, 2016
46 이영훈, 조영준, 정승모, "조선후기 서울 布廛이 남긴 기록의 조각들 -‘정승모 문 서’의 소개와 분류-", 古文書硏究 48, 2016
47 이영훈, "농촌 미곡시장과 전국적 시장 통합, 1713~1937 ,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출판부, 2004
48 고동환, "자본주의 맹아론과 조선후기 상업 변동 -강만길 《朝鮮後期商業資本 의 發達》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147, 2009
49 조영준, "조선후기 서울 포전(布廛)의 인적 구성과 거래 실태 –삼베 구매 방식 의 유형화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62, 2016
50 Owen Miller, "시전-국가 간 거래와 19세기 후반 조선의 경제위기: 綿紬廛문서 를 중심으로 ,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경제체제론의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문 화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