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3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321명의 교시였다. 자료수집 도구로써 한국 공동체 의식 검사(정진경, 1999)와 유아교사의 역할 수행 척도(주연희, 2004)가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에 있어 연령, 경력, 결혼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역할수행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공동체 의식과 역할 수행 간에는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역할 수행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 의식 하위척도들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 집단과 어린이집 교사 집단 안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321명의 교시였다. 자료수집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과 역할수행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321명의 교시였다. 자료수집 도구로써 한국 공동체 의식 검사(정진경, 1999)와 유아교사의 역할 수행 척도(주연희, 2004)가 사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동체 의식에 있어 연령, 경력, 결혼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역할수행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공동체 의식과 역할 수행 간에는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역할 수행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 의식 하위척도들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 집단과 어린이집 교사 집단 안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sense of community and role performance of Korean preschool teachers. The Subjects were 321 preschool teachers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As research tools, Scale for a sense of community(Jung, 1999) and Preschool teacher's role performance scale(Ju, 2004)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 teachers' commun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age, career experience, marital statu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Second, upper group in terms of a sense of commun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ole performance level than lower group. Third, a sense of community related positively and moderately to role performance. Finally,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in kindergarten teach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day-care center reachers.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sense of community and role performance of Korean preschool teachers. The Subjects were 321 preschool teachers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sense of community and role performance of Korean preschool teachers. The Subjects were 321 preschool teachers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As research tools, Scale for a sense of community(Jung, 1999) and Preschool teacher's role performance scale(Ju, 2004)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 teachers' commun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age, career experience, marital statu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Second, upper group in terms of a sense of commun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ole performance level than lower group. Third, a sense of community related positively and moderately to role performance. Finally,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in kindergarten teach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day-care center reachers.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숙, "한국인의 공동생활 및 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통합적 고찰" 3 (3): 83-96, 1997

      2 정진경,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 5 (5): 19-30, 1999

      3 김성곤, "학교행정 의사결정에 교사들의 참여에 관한 연구" 1985

      4 박상신, "학교의 의사결정에 대한 교사의 참여도와 헌신도의 관계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5 조운주, "초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하는 장학요원의 역할과 자질" 15 (15): 150-167, 1998

      6 신제구, "조직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23 (23): 139-155, 1999

      7 윤강숙, "유치원교사의 자기 돌아보기" 2001

      8 임재택,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7 (7): 1-14, 2001

      9 이진희,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 헌신성" 29 (29): 197-214, 1996

      10 류칠선, "유치원 교사들의 집단 반영적 자기성찰 증진을 위한 재교육자의 역할수행 연구" 6 (6): 107-124, 2000

      1 김혜숙, "한국인의 공동생활 및 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통합적 고찰" 3 (3): 83-96, 1997

      2 정진경,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 5 (5): 19-30, 1999

      3 김성곤, "학교행정 의사결정에 교사들의 참여에 관한 연구" 1985

      4 박상신, "학교의 의사결정에 대한 교사의 참여도와 헌신도의 관계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5 조운주, "초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하는 장학요원의 역할과 자질" 15 (15): 150-167, 1998

      6 신제구, "조직구성원의 집단주의 성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23 (23): 139-155, 1999

      7 윤강숙, "유치원교사의 자기 돌아보기" 2001

      8 임재택,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7 (7): 1-14, 2001

      9 이진희,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 헌신성" 29 (29): 197-214, 1996

      10 류칠선, "유치원 교사들의 집단 반영적 자기성찰 증진을 위한 재교육자의 역할수행 연구" 6 (6): 107-124, 2000

      11 양옥승, "유치원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16 (16): 22-40, 1999

      12 나 정, "유아교육의 기능 변화와 유아교사 양성 정책" 18 (18): 137-158, 2001

      13 이희경, "유아교사의 역할 Q-set 개발 연구" 4 (4): 27-54, 2000

      14 최영남, "유아교사의 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1998

      15 윤영애, "유아교사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임상장학모형개발" 2002

      16 주연희, "유아 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련변인의 영향분석" 2004

      17 정현숙, "예비 및 초임유아교사의 교사로서의 자아상 형성 과정" 2002

      18 주연희,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초임교사의 지원 및 요구" 7 (7): 105-132, 2003

      19 이승복, "신임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1998

      20 변창진,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분석" 중앙적성출판사 1994

      21 백은주, "발달적 장학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발달과정" 2002

      22 박은혜,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 교육" 16 (16): 175-192, 1996

      23 Lortie, "교직과 교사의 삶 University of Norgre Dame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75 19901981

      24 이은화, "교육개혁과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발전과제" 15 (15): 11-42, 1998

      25 강상이, "교사발달 측면에서 본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2002

      26 박배후, "공동체의식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1995

      27 노길영, "경력 유치원 교사를 통해 본 교사 발달의 제요인 및 유형" 2000

      28 Madsen,L.M, "This is life as a beginning teacher:A descriptive study of teacher indu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00

      29 Cho,B.K,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in Korea" 2 : 19-36, 1997

      30 Aron, "Statistics for Psychology" Prentice-Hall Inc 1994

      31 McMillan,D.G, "Sense of Community" 14 : 6-24, 1986

      32 Hair,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Prentice-Hall Inc 1995

      33 Taylor,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Edited by A"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73, 1992

      34 Troman, "Models of good teacher defining and redefining teacher quality" Open Univ 1996

      35 Galloway, "Growth contion for teacher development" 19 (19): 262-265, 1980

      36 Jalongo&, "Exploring your role:a practitioner's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ntice-Hall Inc 2000

      37 Hillery,G.A, "Definition of community:Areas of agreement" 20 : 118-, 1955

      38 McIntyre,A, "After virtu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1

      39 Tasi,C, "A survey study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 concern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1990

      40 Heck, "21세기 교사의 역할" 도서출판 원미사 Original Work Published 1984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