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문주위공간의 세포성 혈관섬유종 : 자기공명영상과 병리소견의 연관 = Cellular Angiofibroma of the Perianal Space: MR Imaging and Pathologic Corre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5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variety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 can occur in the perianal space. Among them, cellular angiofibroma is a rare tumor that belongs to fibroblastic/myofibroblastic tumors of the WHO classification,sometimes called as“ angiomyofibroblastoma-like ...

      A variety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 can occur in the perianal space. Among them, cellular angiofibroma is a rare tumor that belongs to fibroblastic/myofibroblastic tumors of the WHO classification,sometimes called as“ angiomyofibroblastoma-like tumor”. Cellular angiofibroma can be found at various anatomic sites such as the vulva, perineum, genital tract, and inguinal regions with approximately equal gender ratio. This tumor is usually a well-circumscribed mass showing isosignal intensity to muscle on T1-weighted images. On T2-weighted images, cellular angiofibroma may show as a mass with inhomogeneous signal intensity depending on amount of composed spindle cell, collagenous stroma, myxoid matrix,and fat tissue; however it is characterized by low signal intensity due to fibrous tissues. This highly vascular mass shows strong enhancement on post contrast images. Recommended treatment is simple local excision and no recurrence or metastasis have been reported up to d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항문주위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양성 및 악성 종양이 생기며, 그 중 세포성 혈관섬유종은 WHO 분류상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성종의 범주에 속하는 매우 드문 종양으로 혈관근육섬유...

      항문주위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양성 및 악성 종양이 생기며, 그 중 세포성 혈관섬유종은 WHO 분류상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성종의 범주에 속하는 매우 드문 종양으로 혈관근육섬유모세포양 종양으로도 알려져 있다. 세포성 혈관섬유종은 음문부, 회음부, 생식기, 서혜부 등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며, 남녀의 발생 비율은 비슷하다. 이 종양은 경계가 매우 잘 지워지는 종양으로 T1 강조영상에서는 근육과 비슷한 신호강도를 보이며, T2 강조영상에서는 방추형 세포, 콜라겐 기질, 점액성 기질, 그리고 지방 조직 등의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한 신호 강도를 보일 수 있으나, 특히 콜라겐 기질과 방추형 세포의 증식에 의한 저신호강도를 보인다. 조영 증강 후 영상에서는 고혈관성이므로 매우 조영 증강이 잘 되는 양상이다. 치료는 단순국소절제술이며, 치료 후 국소 재발이나, 전이를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o PJ, "MRI features of cellular angiomyofibroma with pathologic correlation" 29 : 1195-1198, 2009

      2 Iwasa Y, "Cellular angiofibrom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51 cases" 28 : 1426-1435, 2004

      3 Nucci MR, "Cellular angiofibroma: a benign neoplasm distinct from angiomyofibroblastoma and spindle cell lipoma" 21 : 636-644, 1997

      4 Samaratunga H, "Cellular angiofibroma of the scrotum" 40 : 330-333, 2008

      5 Sinha R, "Case 106: aggressive angiomyxoma" 242 : 625-627, 2007

      6 Laskin WB, "Angiomyofibroblastomalike tumor of the male genital tract: analysis of 11 cases with comparison to female angiomyofibroblastoma and spindle cell lipoma" 22 : 6-16, 1998

      7 Miyajima K, "Angiomyofibroblastomalike tumor (cellular angiofibroma) in the male inguinal region" 25 : 173-177, 2007

      8 Canales BK, "Angiomyofibroblastoma- like tumors (cellular angiofibroma)" 13 : 177-179, 2006

      9 Fletcher CD, "Angiomyofibroblastoma of the vulva. A benign neoplasm distinct from aggressive angiomyxoma" 16 : 373-382, 1992

      1 Koo PJ, "MRI features of cellular angiomyofibroma with pathologic correlation" 29 : 1195-1198, 2009

      2 Iwasa Y, "Cellular angiofibrom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51 cases" 28 : 1426-1435, 2004

      3 Nucci MR, "Cellular angiofibroma: a benign neoplasm distinct from angiomyofibroblastoma and spindle cell lipoma" 21 : 636-644, 1997

      4 Samaratunga H, "Cellular angiofibroma of the scrotum" 40 : 330-333, 2008

      5 Sinha R, "Case 106: aggressive angiomyxoma" 242 : 625-627, 2007

      6 Laskin WB, "Angiomyofibroblastomalike tumor of the male genital tract: analysis of 11 cases with comparison to female angiomyofibroblastoma and spindle cell lipoma" 22 : 6-16, 1998

      7 Miyajima K, "Angiomyofibroblastomalike tumor (cellular angiofibroma) in the male inguinal region" 25 : 173-177, 2007

      8 Canales BK, "Angiomyofibroblastoma- like tumors (cellular angiofibroma)" 13 : 177-179, 2006

      9 Fletcher CD, "Angiomyofibroblastoma of the vulva. A benign neoplasm distinct from aggressive angiomyxoma" 16 : 373-382,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in Medici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3 0.03 0.178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