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박근혜정부의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 평가 - 정책 도입 원년(2013년)의 성과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6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가‘공약가계부’에서 제시한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았다. 지하경제 양성화 첫해(2013년) 실적은 당초 목표를 초과달성하기는 하였으나, 이것이 제도개편 및 세무조사 강화에 따른 일시적 결과일 경우 향후 지속적인 세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정부의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 평가를 위한 다섯 가지 점검사항(정책목표, 정책수단, 지속가능성, 상충문제, 부작용)을 바탕으로 정책목 표의 재정립, 정책수단의 전환, 정책상충의 조정 등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현 정부의 지하 경제 양성화 정책은 탈세 감소와 세수 증대 목표 간의 상충문제에 있어서 치명적인 논리상 모순을 가 지며, 정책수단도 징벌제 위주로서 유인책이 약하다는 취약성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이 지속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하경제 양성화 목표를 세수증대 목 표로부터 분리 접근하여 정책목표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고액 탈세자 적발 위주의 징벌적 제재수 단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성실납세를 위한 적극적 유인책을 도입하고 거래 투명성을 확대하면서 정 직한 국민이 신뢰·존경받는 범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수단을 전환하는 동시에, 지하 경제 양성화 정책과 저소득·서민층 보호 정책을 별개의 정책으로 구분함으로써 정책 간 상충 및 혼선 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방향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가‘공약가계부’에서 제시한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았다. 지하경제 양성화 첫해(2013년) ...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가‘공약가계부’에서 제시한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았다. 지하경제 양성화 첫해(2013년) 실적은 당초 목표를 초과달성하기는 하였으나, 이것이 제도개편 및 세무조사 강화에 따른 일시적 결과일 경우 향후 지속적인 세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정부의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 평가를 위한 다섯 가지 점검사항(정책목표, 정책수단, 지속가능성, 상충문제, 부작용)을 바탕으로 정책목 표의 재정립, 정책수단의 전환, 정책상충의 조정 등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현 정부의 지하 경제 양성화 정책은 탈세 감소와 세수 증대 목표 간의 상충문제에 있어서 치명적인 논리상 모순을 가 지며, 정책수단도 징벌제 위주로서 유인책이 약하다는 취약성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이 지속가능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하경제 양성화 목표를 세수증대 목 표로부터 분리 접근하여 정책목표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고액 탈세자 적발 위주의 징벌적 제재수 단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성실납세를 위한 적극적 유인책을 도입하고 거래 투명성을 확대하면서 정 직한 국민이 신뢰·존경받는 범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수단을 전환하는 동시에, 지하 경제 양성화 정책과 저소득·서민층 보호 정책을 별개의 정책으로 구분함으로써 정책 간 상충 및 혼선 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방향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Policy of Legalization of Underground Economy” proposed by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3. In the first year, it seems that the policy has attained the yearly target, but it is highly doubtful whether it may be continuously successful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five check points(policy objectives, policy methods, sustainability, trade-off problem, and adverse reaction), this paper tries to search for desirable policy directions for success. In conclusion, it suggests to re-establish the policy objectives so as to reconvert from tax-collect purpose into honest tax-payment atmosphere, to transform the policy methods, and to adjust trade-off problems by separ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Policy of Legalization of Underground Economy” proposed by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3. In the first year, it seems that the policy has attained the yearly target, but ...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Policy of Legalization of Underground Economy” proposed by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3. In the first year, it seems that the policy has attained the yearly target, but it is highly doubtful whether it may be continuously successful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five check points(policy objectives, policy methods, sustainability, trade-off problem, and adverse reaction), this paper tries to search for desirable policy directions for success. In conclusion, it suggests to re-establish the policy objectives so as to reconvert from tax-collect purpose into honest tax-payment atmosphere, to transform the policy methods, and to adjust trade-off problems by sepa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초록
      • Ⅰ. 머리말
      • Ⅱ. 지하경제의 개념 및 규모
      • Ⅲ. 지하경제 양성화 실적
      • Ⅳ. 지하경제 양성화의 부작용
      • 한글초록
      • Ⅰ. 머리말
      • Ⅱ. 지하경제의 개념 및 규모
      • Ⅲ. 지하경제 양성화 실적
      • Ⅳ. 지하경제 양성화의 부작용
      • Ⅴ. 지하경제 양성화 정책 평가 및 정책적 제언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주성, "한국 조세구조의 특징과 개혁방향: 소비세제를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113-124, 2012

      2 조영무, "지하경제 확대 빨간불 켜졌다, 시론"

      3 관세청, "지하경제 양성화 추진 실적(1~5월)"

      4 안종석, "지하경제 규모의 측정과 정책 시사점" 한국조세연구원 2010

      5 염명배, "지방경영시대에 적합한 지방자치단체의 ‘플레이스-마케팅(P-M)’ 전략 연구" 5 (5): 153-185, 2000

      6 2최중경, "증세에 지름길은 없다, 시론"

      7 국회예산정책처, "우리나라 지하경제 규모"

      8 현진권, "복지재원조달 정책수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33-261, 2014

      9 염명배,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 및 재정현안 과제"

      10 기획재정부,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재정지원 실천계획(공약가계부)"

      1 전주성, "한국 조세구조의 특징과 개혁방향: 소비세제를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113-124, 2012

      2 조영무, "지하경제 확대 빨간불 켜졌다, 시론"

      3 관세청, "지하경제 양성화 추진 실적(1~5월)"

      4 안종석, "지하경제 규모의 측정과 정책 시사점" 한국조세연구원 2010

      5 염명배, "지방경영시대에 적합한 지방자치단체의 ‘플레이스-마케팅(P-M)’ 전략 연구" 5 (5): 153-185, 2000

      6 2최중경, "증세에 지름길은 없다, 시론"

      7 국회예산정책처, "우리나라 지하경제 규모"

      8 현진권, "복지재원조달 정책수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33-261, 2014

      9 염명배,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 및 재정현안 과제"

      10 기획재정부,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재정지원 실천계획(공약가계부)"

      11 김종석, "박근혜 정부, 증세를 말하기 전에…, 다산칼럼"

      12 김명전, "독버섯처럼 퍼지는 지하경제 끝은 어디"

      13 국세청, "국민참여 탈세감시, 비정상적 납세관행 정상화의 디딤돌 - 탈세제보·차명계좌 신고·바른세금 지킴이 운영 성과"

      14 국세청, "국민이 신뢰하는 공정한 세정’ 구현을 위한 2014년 국세행정 운영 방안" 1-19, 2014

      15 국세청, "국민의 참여와 관심이 탈세를 막을 수 있다 - 국민 참여 탈세감시제도 활성 화 추진"

      16 관세청, "관세청, 대외거래 악용 지하경제 척결 시동 - 지하경제 양성화 추진단 발대식 거행"

      17 Schneider, F, "Shadow Economies in Highly Developed OECD Countries: What are the Driving Forces" 2012

      18 Buehn, A, "Shadow Economies around the World: Novel Insights, Accepted Knowledge, and New Estimates" 19 : 139-171, 2011

      19 Rosen, Harvey S, "Public Finance" McGraw-Hill 2010

      20 기획재정부, "2013∼2017 국가재정운용계획"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제도경제학회 -> 한국제도∙경제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81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