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기업의 친환경 혁신성과 간 관계에서 경계확장역량의 역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85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급격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기후변화, 환경오염, 자원고갈 등 전지구적 환경 문제는 기업의 친환경 경영활동의 중요성을 크게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친환...

      최근 급격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기후변화, 환경오염, 자원고갈 등 전지구적 환경 문제는 기업의 친환경 경영활동의 중요성을 크게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친환경 프로세스 및 제품 개발 등의 방법으로 기업의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이면에는 기업의 친환경 경영활동이 막대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켜 기업의 수익률을 낮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기업의 전통적 경영목표인 이익창출이 우선 된다면 새로운 친환경 경영 아이디어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경영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영활동의 친환경성과 이익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혁신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 연구들은 신제품 개발의 맥락에서 고객 및 공급기업의 혁신 참여 활동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가 친환경 제품 개발 및 프로세스개선활동에도 일조하리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기업의 혁신성과 간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다. 또한, 친환경 경영의 맥락에서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혁신성과 간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음은 물론 그 실증 결과도 상호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1) 연구가 부족한 친환경 경영 맥락에서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기업의 친환경 혁신간 관계를 재차 검증하고, (2)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친환경 혁신 간 인과관계를 저해하는 잠재적 요인을 논리적으로 설명함과 동시에 저해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기업 특유의 역량으로서 관계확장역량 (relationship boundary spanning)과 지식확장역량 (knowledge boundary spanning)으로 이루어진 경계확장역량 (boundary spanning capability)을 제안하고 개념화를 시도하며, (3) 경계확장역량이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기업의 친환경 혁신 간 인과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실증한다.
      본 연구는 국내 101개 제조기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고객 및 공급기업의 참여가 기업의 친환경 제품 및 공정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의 관계확장역량이 공급기업 참여와 친환경 혁신 간 관계를 완전 매개, 고객참여와 친환경 혁신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지식확장역량은 고객 참여와 친환경 혁신 간 관계를 부분 매개, 고객 참여와 친환경 공정혁신 간의 관계는 완전 매개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와 기업 혁신성과 간 관계를 친환경 맥락에서 재차 검증하여 이론과 실증결과 간에 존재하는 간극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친환경 맥락에서 공급기업 및 고객참여와 혁신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기업의 경계확장역량을 제안하고 이를 개념화 및 조작화한 최초의 연구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고객 및 공급기업 참여를 통한 친환경 혁신성과를 창출하려는 기업에게 기업이 갖추어야 할 내재적 역량 개발에 대한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rapidly rising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pollution, and natural resource exhaustion give prominence to the importance of corporate green management. Facing pressures from regulators and other market entities, companies are...

      Today’s rapidly rising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pollution, and natural resource exhaustion give prominence to the importance of corporate green management. Facing pressures from regulators and other market entities, companies are putting efforts in implementing green management in the forms of developing green products and improving production processes. Nevertheless, there exists skepticism in that green management means increased amount of spending and care by companies, which hurt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m. Consequently, companies are limited in devising ideas for green management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o protect their financial interests. To make green management sustainable, companies urgently need green innovation that balances the companies’ economic gain and the society’s environmental value.
      New product development (NPD) literature proposes that customer and/or supplier involvement is an important facilitator of companies’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also logical to argue that customer and/or supplier involvement help companies achieve green innovation. Nevertheless, empirical finding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upplier involvements and innovation performance are not always in agreement. In addition,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upplier involvement and green innovation is limited in numbers and scope. Furthermore, empirical findings about that causal relationship are inconsistent across different studies.
      To fill the abovementioned research gaps,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re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upplier involvement and company’s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green management context, (2) to conceptualize company’s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as a company-unique capability, and propose the mediating role of the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upplier involvement and green innovation performance, and (3) to empirically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company’s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upplier involvement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data via survey questionnaire from 101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all of which are engaged in green management, and tested the research hypotheses utilizing regression analysis. The test results show that: (1) customer and supplier involvement positively influence the green innovation performances; (2) supplier and customer involvemen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3) the knowledge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 involvement and green innovation performances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and (4) the relationship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upplier involvements and green innovation.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body of knowledge by reaffirming the customer/supplier involvement-innovation performance link in the green management context and hence narrow the discrepancy found across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and operationalize a company’s boundary spanning capability and to theorize and empirically test the mediating role of it in the customer/supplier involvement-green innovation performance link. Final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companies with a guideline for developing intrafirm capability necessary for successful green innov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