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JCI 인증이 내부 직원의 의료서비스 질 향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Hospital Accreditation JCI on the intention of improving Healthcare 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4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증제도(JCI) 인증 병원의 QA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JCI가 질 향상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JCI를 받고자 하는 국내 병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증제도(JCI) 인증 병원의 QA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JCI가 질 향상 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JCI를 받고자 하는 국내 병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의료기관 인증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국부유출, 시간적·인력적 부담은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제반시설이 부족한 중소병원에는 인증절차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JCI가 인증된 의료기관들의 의료서비스 질 향상에 어느 수준으로 기여하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성이 제기되며, 현재 국내에 유행처럼 도입되고 있는 병원들의 JCI의 인증으로 인한 의료의 질 향상 효과 인식에 대한 연구는 그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진료의 접근성과 연속성], [환자평가], [환자진료], [마취 및 수술], [약제관리], [환자안전관리체계], [감염예방 및 관리] 총 7가지 영역에 대한 연구결과, 인지된 유용성에는 [환자평가], [마취 및 수술], [약제관리], [감염관리] 부분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용이성에는 [환자진료], [약제관리] 부분에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부 구성원들의 질 향상 활동의도에는 인지된 용이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조사과정에 있어 전 직군 대상이 아닌 QA 실무자와 간호사를 중심으로 의도를 측정하여 전 직군의 의도까지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JCI 인증으로 인한 개선효과와 의료서비스 질 향상 의도간 직접적인 인과관계까지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korean healthcare organizations have been obtaining Hospital Accreditation(JCI) to join the Global Healthcare industry. But main question that arises is whether QA staffs are willing to do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The propose...

      Many korean healthcare organizations have been obtaining Hospital Accreditation(JCI) to join the Global Healthcare industry. But main question that arises is whether QA staffs are willing to do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The proposed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in the JCI accredited hospitals.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o evaluate the causal model.
      The result indicated that [Assessment of Patients], [Anesthesia and Surgical Care], [Medication Management and Use] and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ns]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Care of Patients] and [Medication Management and Use]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Quality improvement behavioral intention. Bu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 Quality improvement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 means to understand which factors determine the Quality improvement behavioral intention of QA staff to use JCI Accreditation standards and how this may affect future use. In addition, understand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Quality improvement behavioral intention of QA staff may potentially be used in advance system development to predict Hospital accreditation accept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
      • Ⅲ. 연구 설계
      • Ⅳ. 실증분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
      • Ⅲ. 연구 설계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신철호,양윤선, "휴대전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기술 특성 및 신기술 UI 수용과 관련한 사회적 요인이 소비자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TAM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8 (2) : 1 ~ 20, 2011

      2 남장현,현용호, "패밀리레스토랑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품질의 기술수용모델(TAM)적용에 관한 연구 :자발성(Voluntariness)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9 (2) : 149 ~ 167, 2012

      3 권순호 ( Soon Ho Kwon ) ,한달선 ( Dal Sun Han ), "임산부의 의료기관 정보탐색과 성과" 한국병원경영학회 한국병원경영학회지 3 (1) : 219 ~ 237, 1998

      4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무역경영사, 2002

      5 한달선, "의료체계 탐색" 한학문화 한학문화사, 2005

      6 권미영 ( Mi Young Kwon ),정해경 ( Hae Kyung Jung ),최성용 ( Sung Yong Choi ), "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기업경영연구 13 (2) : 51 ~ 65, 2006

      7 강이주,이상엽, "의료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부문별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 (1) : 129 ~ 146, 1997

      8 설재성,설제성, "의료기관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 종사자의의견을 중심으로" 대한병원협회지 2 : 83 ~ 98, 2005

      9 김재열(Kim Jae-Yeol),한우석(Han Woo-Sok), "의료기관평가가 병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21 (6) : 2549 ~ 2580, 2008

      10 한재훈, "의료기관인증제도(JCI)가 의료서비스 질 향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QA 실무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

      1 신철호,양윤선, "휴대전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기술 특성 및 신기술 UI 수용과 관련한 사회적 요인이 소비자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TAM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8 (2) : 1 ~ 20, 2011

      2 남장현,현용호, "패밀리레스토랑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품질의 기술수용모델(TAM)적용에 관한 연구 :자발성(Voluntariness)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9 (2) : 149 ~ 167, 2012

      3 권순호 ( Soon Ho Kwon ) ,한달선 ( Dal Sun Han ), "임산부의 의료기관 정보탐색과 성과" 한국병원경영학회 한국병원경영학회지 3 (1) : 219 ~ 237, 1998

      4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무역경영사, 2002

      5 한달선, "의료체계 탐색" 한학문화 한학문화사, 2005

      6 권미영 ( Mi Young Kwon ),정해경 ( Hae Kyung Jung ),최성용 ( Sung Yong Choi ), "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기업경영연구 13 (2) : 51 ~ 65, 2006

      7 강이주,이상엽, "의료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부문별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 (1) : 129 ~ 146, 1997

      8 설재성,설제성, "의료기관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 종사자의의견을 중심으로" 대한병원협회지 2 : 83 ~ 98, 2005

      9 김재열(Kim Jae-Yeol),한우석(Han Woo-Sok), "의료기관평가가 병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21 (6) : 2549 ~ 2580, 2008

      10 한재훈, "의료기관인증제도(JCI)가 의료서비스 질 향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QA 실무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

      11 이상락, "의료기관의 서비스평가와 고객만족도 조사" 진주산업대학교논문집 26 : 95 ~ 128, 2006

      12 김상만(Kim, Sang-Man),김진남(Kim, Jin-Nam),엄기현(Um, Ki-Hyun),한진태(Han, Jin-Tae), "의료관광에서 지각된 위험과 이용의도와의 관계"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26 (1) : 1 ~ 20,

      13 이학식, "마케팅 조사" 법문사, 2001

      14 박호표(Park Ho-Pyo), "국내 의료관광 목적지 선택속성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25 (1) : 131 ~ 146, 2012

      15 Woodside, A. G., "What is quality and how much does it really matter?" J Health Care Mark 11 (4) : 61 ~ 67, 1991

      16 Aggelidis,Aggelidis, V. P.,Chatzoglou, "Using a modified technologyacceptance model in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8 : 115 ~ 126, 2009

      17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 (8) : 982 ~ 1003, 1989

      18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world wide web" Decision Support Systems 29 (3) : 269 ~ 282, 2000

      19 El-Jardali, F., "The impact of hospital accreditation on quality of care : Perception of lebanese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 (5) : 363 ~ 371, 2008

      20 Salmon, J. W., "The Impact of Accreditation on the Quality of Hospital Care: KwaZulu-Natal Province" Republic of South Africa, Quality Assurance Project, Operation research result, 2003

      21 Wu, J. H., "Tes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valuating healthcare professionals intention to use an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 (2) : 123 ~ 129, 2008

      22 Gefen,Gefen, D., "TAM orJustPlain Habit:A Look atExperiencedOnline Shoppers" Journal of End User Computing 15 (3) : 1 ~ 13, 2003

      23 Crosby, L. A., "Relationship quality in service selling: An interpersonal influence perspectice" Journal of Marketing 54 (3) : 68 ~ 81, 1990

      24 Palmer, H., "Quality improvement/quality assurance taxonomy: A framework, putting rese to work in quality improvement and quality Assuranc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 13 ~ 37, 1993

      25 Adams, D. A.,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 A replication" MIS Quarterly 16 (2) : 227 ~ 247, 1992

      26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 (3) : 319 ~ 339, 1989

      27 Joseph F.H,Jr.Rolph E.Anderson,Willam C.B,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Prentice Hall, 1995

      28 Brook, R. H., "Maintaining Quality of Care, In Health Service Research"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29 J?reskog, K. G., "LISREL8:User’sguide" Scientific Software, 1993

      30 Miller D. C., "Independent determinants of operative mortality for patients with aortic dissections" Circulation 70 (3) : 153 ~ 164, 1984

      31 Sekimoto, M, "Impact of hospital accreditation on infection control programs in teaching hospitals in Japa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 : 212 ~ 219, 2008

      32 Jovanovic, B., "Hospital accreditation as method for assessing quality in healthcare" Archive of Oncology 13 : 156 ~ 157, 2005

      33 Heuer, A. J., "Hospital accredita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Testing the relationship"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26 (1) : 46 ~ 51, 2004

      34 Gefen,Straub,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use of e-mail: 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IS Quarterly 21 (4) : 389 ~ 400, 1997

      35 Donabedian, A.,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Health Administration Press : 1 ~, 1980

      36 McClosky,Mccloskey, D., "Evaluating electronic commerce acceptance with the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4 (2) : 49 ~ 57, 2003

      37 Ellie, S., "Assessing the value of accreditation system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7 (1) : 4 ~ 8, 1997

      38 Kamel, S., "Assessing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banking in egypt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nals of Cases on Information Technology 5 : 1 ~ 25, 2003

      39 Shortell, "Assessing the Impact of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Total Quality Management: Concept versusImplementation" Health Services Research 30 (2) : 377 ~ 401, 1995

      40 Pomey, M. P., "Accreditation: a tool for organizational change in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17 (2-3) : 113 ~ 124, 2004

      41 Davis,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for Empirically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MIT Ph.D,논문, 1986

      42 Myers, B. A., "A guide to medic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inciples" Am Pub Health Assoc : 1 ~, 1969

      43 보건복지가족부, "2009 의료기관 평가지침서 : 2 ~ 3" 2009

      44 김지윤,이선미,조우현, "2007년도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의견조사" 한국의료QA학회지 14 (2) : 89 ~ 100, 2008

      45 현석균, "2004년 의료기관평가기준 및 지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병원협회지 10 : 44 ~ 50, 2005

      46 이선희, "2004년 의료기관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병원협회지 10 : 32 ~ 43,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