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부르키나파소와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의 결과 최초 시행된 선거의 결과와 전직 집권당 소속의원의 당선 원인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22736
광주 : 전남대학교, 2018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 NGO협동과정 Glob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Master Program , 2018. 8
2018
영어
361.7
광주
126 ; 26 cm
지도교수: Minho Yeom
I804:24010-0000000595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부르키나파소와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의 결과 최초 시행된 선거의 결과와 전직 집권당 소속의원의 당선 원인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
이 연구의 목적은 부르키나파소와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의 결과 최초 시행된 선거의 결과와 전직 집권당 소속의원의 당선 원인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 핵심 문제는 개혁 과정에서의 권력 구조와 최초 선거 결과에 대한 이해 관계자의 시각이다. 먼저, 이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해 시민 사회와 정당에 대한 이해를 위해 이행기와 정치적 민주화의 개념을 다루었다. 그 다음에는 관련 문서 분석과 이해 관계자 면담 분석을 통해 두 나라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 배경 이유를 제시했다. 또한 두 나라 사례 비교를 통해 유권자의 대안 선택을 보장하기 위해 이행기 과정에서 감시해야 할 이해 관계자의 허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민주화 운동 이후 치러지는 최초선거의 경우, 정치적 민주화 과정에서 권력구조가 선거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자의 행동, 의도,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두 나라에서 치러진 서로 다른 최초의 선거가 이행기 행태에서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민주화 운동 이후 최초 선거결과가 정치적 민주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민주화를 강화하는 데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핵심 단어: 부르키나파소, 시민 사회, 민주적 선거, 민주화 운동, 정치적 민주화, 정당, 대한민국, 이행기 과정.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utcomes of the founding elections in Burkina Faso and South Korea and the reason that led to the election of a former ruling party member. There is two core research content; the power structure during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utcomes of the founding elections in Burkina Faso and South Korea and the reason that led to the election of a former ruling party member. There is two core research content; the power structure during the reform making process, and the stakeholders perspectives on the election result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accesses the concept of Transitional Process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to help conceptualize the focus on civil society and political parties. Then a documents analysis and a stakeholders-centered analysis frame the reasons behind the results for both countries and cross-analyzed them to identify the loopholes in stakeholders that need to be monitored during the transitional process to ensure the creation of an alternative choice for the electorate. This study concludes that in cases of “founding election” the power structures during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affect the election as much as actors’ behaviors, intentions, and interrelations. It also shows that different founding elections can lead to similar outcomes, therefore, the type of transition as less weight on the results. Finally, the results of the founding elections might not seem impactful for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however they are of high importance for consolidation of the democratization proc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