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영생관 -칼빈의 요한문헌 주석을 중심으로 = Eternal Life in the Light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Centered on Calvin`s Commentaries on John`s Gospel and Let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8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혁신학은 영생의 언약과 그 성취로서의 의의 전가를 말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생명신학이라고 불릴 수 있을 것이다. 개혁신학자들은 성경적 영생의 개념을 언약신학적 관점에서 전개하면...

      개혁신학은 영생의 언약과 그 성취로서의 의의 전가를 말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생명신학이라고 불릴 수 있을 것이다. 개혁신학자들은 성경적 영생의 개념을 언약신학적 관점에서 전개하면서 그 속죄론적 의의에 주목한다. 영생은 언약의 약속으로 주신 선물로서 성도가 하나님의 자녀며 후사로서 영원히 사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삶의 양태라기보다는 법정적인 의의 전가의 성격이 강하다. 칼빈은 요한복음 주석을 통하여서 영생의 개념을 기독론적 관점에서 파악한다. 영생은 대속의 의를 다 이루시고 이제 그 다 이루신 의를 전가해 주시는 중보자 그리스도의 은혜의 가치에 상응한다. 하나님의 자녀로서 누리는 영생은 중보자 그리스도께서 보좌 우편 즉 "우리 밖에서(extra nos)" 그리고 동시에 "우리 안에서(intra nobis)" 중보사역을 계속하심으로써 그분과 연합하여 교제하고 교통하며 사는 성도의 삶을 일컫는다. 칼빈은 주님의 중보로 말미암아 그분의 빛이 우리 안에서 은혜와 진리로 함께 역사함을 강조한다. 빛이 임하며 하나님을 알게 되고 동시에 하나님의 은총을 누리게 된다. 이는 십자가에서 다 이루신 그리스도의 영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칼빈은 요한문헌 주석에서 영생의 존재적, 인식적, 도덕적 의미를 강조한다. 영생은 하나님의 자녀가 됨이며, 그분의 영을 받아서 하나님과 자신을 앎이며, 그분의 뜻대로 분별하여 거룩한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칼빈은 영생의 언약적 의미를 이렇게 역동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이후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길을 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formed theology, since it is based on a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and on eternal life as its gift, can be called Life theology. Reformed theologians have tried to deploy and deepe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Reformed theology, since it is based on a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and on eternal life as its gift, can be called Life theology. Reformed theologians have tried to deploy and deepe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s of eternal life by investigating it from their covenantal and salvation-historical perspective. In doing this, they have shown their predominant concern for the merit of Christ imputed to the believers through His continuous mediation. In his commentary on John`s Gospel and Letters Calvin shows hi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eternal life. Eternal life refers to the price of Christ`s grace to impute his fulfilled righteousness. It designates Christian life living in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ith Christ who mediates "beyond us (extra nos)" and "within us (in nobis)." Calvin takes special notice of Christ`s working as living light in explaining both the noetic and salvific affection(affectus) of His Spirit, full of grace and truth (Jn. 1:14, 17). Based on this position, Calvin here explores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thical significances of eternal life. Overall, for Calvin, eternal life embraces becoming true children of God, knowing God and themselves, and living a Christian life according to God``s will. In this way Calvin explores a dynamic concept of Reformed life theolog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