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 탐색 = Navigating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 Implication of School-Wide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체육의 목적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전환돼 왔다. 최근 들어, 미국에서는 청소년 건강발달이 학교체육의 실제적인 목표로써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고강도 신체활동 증진을 ...

      학교체육의 목적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전환돼 왔다. 최근 들어, 미국에서는 청소년 건강발달이 학교체육의 실제적인 목표로써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고강도 신체활동 증진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학교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중재 효과 분석을 통해 학교체육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국내 학교체육의 건강교육은 건강체력 측정과 처방 등과 같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북미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살펴보며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신체활동의 의의를 3가지 근거(비만 초점 건강 정책의 한계, 신체활동과 건강의 관계, 청소년 신체활동 실태 문제)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교기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모형이 되는 Whole-of-School 모형에 관해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들(SPARK, CATCH, LEAP, CSPAP, HOPE, SPEM, 그리고 SHL)의 개발배경, 구조 및 특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국내 학교체육에서 건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K-12 physic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over the decades to meet society’s needs. Recently, health promotion has became an important topic in K-12 physical education. School-wide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have b...

      The purpose of K-12 physic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over the decades to meet society’s needs. Recently, health promotion has became an important topic in K-12 physical education. School-wide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as a mean of justif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navigate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First, a historical review of justif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was discussed. Second, scientific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examined. Third, the Whole-of-School model as a way of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was reviewed. Fourth, the seven research-based school-wide physical activity programs(SPARK, CATCH, LEAP, CSPAP, HOPE, SPEM, and SHL) were reviewed. Lastly,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was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왜 신체활동인가?
      • Ⅲ. 체육과 건강교육 실행모형
      • Ⅳ. 북미 학교기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왜 신체활동인가?
      • Ⅲ. 체육과 건강교육 실행모형
      • Ⅳ. 북미 학교기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 Ⅴ. 학교체육과 건강교육의 방향과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