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요 우울증에서 종양괴사인자-베타 유전자의 다형성 = Gene Polymorphism of Tumor Necrosis Factor Beta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9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주요 우울증은 역학적 유전연구 등을 통하여 유전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분자 유전학적 연구로 유전자 다형성과 질병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와 면역계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 중 TNF-β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여 주요 우울증과의 유전학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DSM-IV에 의하여 주요 우울증으로 진단된95명을 환자군으로 선정하였고 가톨릭조혈모세포정보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상 한국인 202명의 자료를 정상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전혈에서 DNA를 추출하고 TNF-β 유전자 부위를 증폭한 후 제한효소 Nco Ⅰ으로 절단하여 555bp와 185bp의 절편을 갖는 TNFB*1과 Nco Ⅰ절단부가 없는 740bp의 절편 TNFB*2등 2가지 대립유전자의 제한효소절편길이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x²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주요 우울증과 정상 대조군 간에 TNFB유전자인 TNFB*1/1, TNFB*1/2 및 TNFB*2/2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두 군 간에 TNFB*1 과 TNFB*2 두 대립유전자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주요 울울증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 TNFB*1과 TNFB*2의 두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TNFB 유전자다형성과 주요 우울증과의 유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변인을 포함하여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 주요 우울증은 역학적 유전연구 등을 통하여 유전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분자 유전학적 연구로 유전자 다형성과 질병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정신질환...

      연구목적 :
      주요 우울증은 역학적 유전연구 등을 통하여 유전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분자 유전학적 연구로 유전자 다형성과 질병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와 면역계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 중 TNF-β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여 주요 우울증과의 유전학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DSM-IV에 의하여 주요 우울증으로 진단된95명을 환자군으로 선정하였고 가톨릭조혈모세포정보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상 한국인 202명의 자료를 정상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전혈에서 DNA를 추출하고 TNF-β 유전자 부위를 증폭한 후 제한효소 Nco Ⅰ으로 절단하여 555bp와 185bp의 절편을 갖는 TNFB*1과 Nco Ⅰ절단부가 없는 740bp의 절편 TNFB*2등 2가지 대립유전자의 제한효소절편길이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x²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주요 우울증과 정상 대조군 간에 TNFB유전자인 TNFB*1/1, TNFB*1/2 및 TNFB*2/2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두 군 간에 TNFB*1 과 TNFB*2 두 대립유전자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주요 울울증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 TNFB*1과 TNFB*2의 두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TNFB 유전자다형성과 주요 우울증과의 유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변인을 포함하여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known to have high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main focus of recent genetic studi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has been concentrated on association studie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and disease, since molecular gene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immunogenetic influences by analyzing polymorphism of TNFB gene, which is involved in interaction of immune system and CNS.
      Method : 95 persons who had been diagnosed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ere assigned as patient group and, 202 data obtained from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bank,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used as normal controls in this study.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thereafter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igested by Nco Ⅰ.After that procedure, we obtained and assess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wo alleles, TNFV*1 which has 555bp and 185bp fragments and carries the Nco Ⅰ restriction site, and TNFB*2 of 740 bp fragment lacks the Nco Ⅰ restriction site. All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with two-tailed Fisher's exact test.
      Results :
      1) The frequencies of TNFB*1/1, TNFB*1/2, and TNFB*2/2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control group.
      2) The frequencies of TNFB*2 and TNFB*1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We did not verified the differences of frequency in TNFB*1/TNFB*2 gene between the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normal control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re is no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gene polymorphism of TNFB. We do suggest that further systematic studies including various clinical variables should be conducted.
      번역하기

      Objective :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known to have high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main focus of recent genetic studi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has been concentrated on association studie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and disease, since m...

      Objective :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known to have high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main focus of recent genetic studie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has been concentrated on association studie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and disease, since molecular gene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immunogenetic influences by analyzing polymorphism of TNFB gene, which is involved in interaction of immune system and CNS.
      Method : 95 persons who had been diagnosed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ere assigned as patient group and, 202 data obtained from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bank,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used as normal controls in this study.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thereafter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igested by Nco Ⅰ.After that procedure, we obtained and assess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wo alleles, TNFV*1 which has 555bp and 185bp fragments and carries the Nco Ⅰ restriction site, and TNFB*2 of 740 bp fragment lacks the Nco Ⅰ restriction site. All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with two-tailed Fisher's exact test.
      Results :
      1) The frequencies of TNFB*1/1, TNFB*1/2, and TNFB*2/2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control group.
      2) The frequencies of TNFB*2 and TNFB*1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We did not verified the differences of frequency in TNFB*1/TNFB*2 gene between the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normal control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re is no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gene polymorphism of TNFB. We do suggest that further systematic studies including various clinical variables should be conduc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TNFB유전자 형별분석
      • 3.통계분석
      • 서 론
      • 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TNFB유전자 형별분석
      • 3.통계분석
      • 결 과
      • 고 찰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