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양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95908

      • 저자
      • 발행사항

        김해 : 가야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 간호학전공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2.8 판사항(6)

      • DDC

        610.7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vi, 89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정림
        권말부록: 설문지 ;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사결과 통지서
        참고문헌: 장 60-73

      • 소장기관
        • 가야대학교 분성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간호업무성과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간호업무성과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시와 G시에 소재한 10개의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2월 1일부터 2월 25일까지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토록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및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간호업무성과 차이는 t-test, ANOVA, Scheffé test로,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및 간호업무성과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의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2.73세로 50세이상이 34.9%로 가장 많았고, 결혼상태는 기혼이 72.1%, 종교는 있음이 53.9%로 많았다. 교육정도는 3년제 졸업이 59.7%,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1.3%, 임상경력은 15년 이상이 39.5%, 현재병원 경력은 5년 미만이 75.2%, 근무형태는 고정근무가 48.4%, 월급여는 250만원 미만이 68.6%, 자기계발 학습활동 참여횟수는 연 1회 이상이 60.1%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3.40±0.57점, 셀프리더십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7±0.46점, 사회적 지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34±0.49점,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5점 만점에 3.70±0.42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은 결혼상태(t=2.527, p=.012), 자기계발 학습활동(F=6.037,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19.169, p<.001), 결혼상태(t=5.080, p<.001), 종교(t=2.021, p=.044), 교육정도(F=4.050, p=.019), 직위(F=7.411, p<.001), 임상경력(F=10.444, p<.001), 근무형태(F=9.800, p<.001), 월급여(t=2.273, p=.024), 자기계발 학습활동(F=9.551,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는 직무스트레스(r=-.223,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셀프리더십(r=.546, p<.001), 사회적 지지(r=.325,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셀프리더십(r=.23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β=.415, p<.001), 연령(β=.251, p=.001), 사회적 지지(β=.206, p<.001), 직무스트레스(β=-.159, p=.001), 직위(β=.102, p=.047)로 나타났고(F=21.116 ,p<.001),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8.4% 였다.
      본 연구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성과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요양병원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escriptive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job stres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s and Nursing Performance and to find out factors which influence Nursing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study...

      This descriptive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job stres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s and Nursing Performance and to find out factors which influence Nursing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study subjects were nurses working at 10 long-term care hospitals in B city and G city. The survery has been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5, 2018.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rectly completed by the nurses and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2.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Job stres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s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with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s among job stres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s an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The correlations among job stres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s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influence factor of Nursing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nurses was 42.74 and 34.9% of nurses were aged over 50. 72.1% of nurses were married and 53.9% of nurses had religion. As for level of education, 59.7% of nurses were graduated from three-year course colleges. 71.3% of nurses were general duty nurses and the percentage of nurses with over 15 year clinical careers was 39.5% and the percentage of nurses whose working tenures in the present hospitals with below 5 years was 75.2%. 48.4%of nurses were working on fixed duties The monthly pays of 68.6% of nurses were below 2,500,000 wons. 60.1% of nurses have participated in study activities for self development more than once a year.
      Second, in the study, job stress was 3.40±0.57 out of 5 points, self-leadership was 3.77±0.46 out of 5, social supports was 3.34±0.49 out of 5 and Nursing Performance was 3.70±0.42 out of 5.
      Third, self-leadership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marriage(t=2.527, p=.012) and study activities for self development(F=6.037, p=.003).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gtic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age(F=19.169, p<.001), marriage(t=5.080, p<.001), religion(t=2.021, p=.044), education(F=4.050, p=.019), position(F=7.411, p<.001), clinical career(F=10.444, p<.001), duty type(F=9.800, p<.001), montly pay(t=2.273, p=.024) and study activities for self development(F=9.551, p<.001). Otherwise the study showed that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ad no relation with social supports.
      Fourth, Nursing Performa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r=-.223, p<.001) while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r=.546, p<.001) and social supports(r=.325, p<.001). It also showed that social suppor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r=.237, p<.001).
      Fifth, the factors which had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were self-leadership(β=.415, p<.001), age(β=.251, p=.001), socical supports(β=.206, p<.001), job stress(β=-.159, p=.001) and position(β=.102, p=.047)(F=21.116 ,p<.001), which could explain Nursing Performance at the ratio of 48.4%.
      In conclusion, the result was obtained that Nursing Performance was higher as job stress was lower and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s were higher. Therefore, as a way to promote Nursing Performance, the constant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which may reduce job stress and promote self-leadership and socical supports of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용어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용어정의 5
      • Ⅱ. 문헌고찰 8
      • 1. 요양병원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8
      • 2. 요양병원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12
      • 1) 직무스트레스 12
      • 2) 셀프리더십 15
      • 3) 사회적 지지 18
      • Ⅲ. 연구방법 22
      • 1. 연구설계 22
      • 2. 연구대상 22
      • 3. 윤리적 고려 23
      • 4. 연구도구 23
      • 5. 자료수집방법 26
      • 6. 자료분석방법 27
      • 7. 연구의 제한점 28
      • Ⅳ. 연구결과 29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간호업무성 과 정도 32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셀프리더십, 사회 적 지지, 간호업무성과의 차이 34
      •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 간호업무성 과간의 관계 39
      • 5.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 Ⅴ. 논의 44
      • Ⅵ.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60
      • Abstract 74
      • 부 록 78
      • 1. 설문지 78
      • 2. IRB승인 88
      • 3. 감사의 말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