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VR을 활용한 시각예술에서의 상호작용성 분석 = In visual arts using VR: An interaction analysis interaction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9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등장하기 시작한 VR기기를 활용한 창작물에서 나타나는 창작도구로서의 확장가능성을 상호작용성의 관점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고대 동굴벽화에 나타난 심리적 ...

      본 연구는 최근 등장하기 시작한 VR기기를 활용한 창작물에서 나타나는 창작도구로서의 확장가능성을 상호작용성의 관점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고대 동굴벽화에 나타난 심리적 상호작용과 미디어아트에서 표현되는 물리적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고찰했다. 이어 틸트 브러쉬 등 VR기기를 활용한 퍼포먼스와 시각예술에서의 VR작품, VR방송 콘텐츠 등의 사례들에 나타난 상호작용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VR매체 혹은 도구에 의한 창작물들은 창작의 공간적 영역과 감상방식, 그리고 창작자의 표현 방식을 확장함으로써 기존의 시각적 표현이 주는 상호작용성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창작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특히 VR기기에 의한 창작물은 기존 시각예술과 미디어콘텐츠 장르가 지닌 상호작용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인터랙티브 창작의 영역을 여는 잠재력과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인 VR창작콘텐츠를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창작자와 감상자 간 상호작용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recent appearance of expandability as a tool in creative works using VR devices in terms of interactivity. To this end, we considered concepts of psychological interaction, beginning with cave paintings and physical int...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recent appearance of expandability as a tool in creative works using VR devices in terms of interactivity. To this end, we considered concepts of psychological interaction, beginning with cave paintings and physical interactions expressed in media art.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interactivity of performances using VR devices such as tilt brushes, VR works in the visual arts, and VR broadcast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ons made with VR media or tools are pioneering new areas of creation that reach beyond the boundaries of interaction provided by existing visual expressions by expanding spatial and creative aspects of creation and creators’ forms of expression. Creations made with VR devices, in particular, have the potential and expandabil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teractivity that currently exist in visual art and media content genres and open up new areas of interactive creation. We believe tha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VR creative content, which is still in its infancy, and propose interactive implications for creators and view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VR을 활용한 시각예술 사례 4. VR창작물의 상호작용성 분석 5. 결론
      •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VR을 활용한 시각예술 사례 4. VR창작물의 상호작용성 분석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흥재, "현대사회와 문화예술" 푸른길 2012

      2 정소연, "현대미술에 나타난 상호작용성의 전개 양상과 그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구 : 본인의 관객 참여형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3 "한국 VR아트연구소"

      4 "티파니 리"

      5 노준, "중국_문화콘텐츠의 VR재현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융합디자인학대학원 2018

      6 최창열, "제4차 산업혁명과 e-비즈니스 기업의 발전전략과 시사점" 국제e-비즈니스학회 18 (18): 39-54, 2017

      7 허태호, "전시관람을 위한 VR 콘텐츠 구현 및 유용성 연구" 57-59, 2015

      8 이승연, "재전유를 통한 사유 확장 표현 연구-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9 김영은, "입체 영상 표현과 관객의 특성에 기반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제작 및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10 김재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1 이흥재, "현대사회와 문화예술" 푸른길 2012

      2 정소연, "현대미술에 나타난 상호작용성의 전개 양상과 그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구 : 본인의 관객 참여형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3 "한국 VR아트연구소"

      4 "티파니 리"

      5 노준, "중국_문화콘텐츠의 VR재현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융합디자인학대학원 2018

      6 최창열, "제4차 산업혁명과 e-비즈니스 기업의 발전전략과 시사점" 국제e-비즈니스학회 18 (18): 39-54, 2017

      7 허태호, "전시관람을 위한 VR 콘텐츠 구현 및 유용성 연구" 57-59, 2015

      8 이승연, "재전유를 통한 사유 확장 표현 연구-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9 김영은, "입체 영상 표현과 관객의 특성에 기반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제작 및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10 김재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11 "위키피디아"

      12 전병태, "예술분야 융합 트렌드 및 지원방안 연구-예술과 과학의 융합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13 김선영, "예술로 읽는 4차 산업혁명" 별 2018

      14 엘리안 스트로스베르, "예술과 과학" 을유문화사 2001

      15 홍성욱, "예술, 과학과 만나다" 이학사 2007

      16 장은희, "사이버멀미 통합 모델: 가상현실 사용자의 불편감 현상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45 (45): 251-279, 2018

      17 "브로큰브레인"

      18 강석태, "미술 전시에 참여한 창작자와 감상자의상호작용 경험의 의미" 교육연구소 24 (24): 659-678, 2018

      19 마샬 맥루언,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20 "문화기술-염동균작가 인터뷰"

      21 이원곤,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 새로운 예술의 전개를 위한 지평"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22 이지언, "디지털 아트(Digital Art) 미학 연구 : 퍼스(C. S. Peirc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3 유지혜, "디지털 시대의 미술에 있어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에 관한 연구 : 미술작품과 작품의 소통공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4 박연숙, "듀이(J.Dewey)의 경험 미학과 예술 교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5 이규정, "공간 증강현실 기반의 융합형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공연예술에 사용된 이미지 영상을 중심으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1 (21): 672-688, 2016

      26 오승환, "가상현실을 통한 문화재복원 융합 확장성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465-472, 2015

      27 정동훈, "가상현실에 관한 사용자 관점의 이론과 실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3-29, 2017

      2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의 현황과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29 이금실, "가상현실 기반 관광체험미디어의 어포던스 특성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05-118, 2017

      30 안소현, "가상현실 관광콘텐츠의 감각과 정보품질이 플로우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31 "https://blog.naver.com/wrecksy/"

      32 Williams, P., "Virtual reality and tourism: fact or fantasy?" 16 (16): 423-427, 1995

      33 김윤정, "VR콘텐츠의 멀미유발요인 감소를 위한 연출법 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2 (12): 27-45, 2016

      34 이상욱, "VR영상콘텐츠의 미학적 발전 가능성 연구" 영화연구소 9 (9): 247-271, 2016

      35 "VR아트 이재혁작가 그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36 양병석, "VR(virtual reality)기술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교육의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37 장형준, "VR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2018

      38 김익재, "VR 기술 동향" 21 (21): 51-60, 2016

      3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VR 경험의 새로움이란 무엇인가? VR을 바라보는 문화적 관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40 Sherman, W. R., "Understanding virtual reality: Interface, application, and design" Morgan Kaufmann 283-, 2002

      41 오건덕,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의 시각적 구성요소가 체험자의 시각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광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8

      42 한종성, "HMD를 이용한 VR 관광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0-47, 2015

      43 전경란, "HMD 기반 가상현실 영상의 시각적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3 (13): 66-83, 2017

      44 김선영, "4차산업시대, 예술의 길" 봄봄스토리 2020

      45 "3D입체영상콘텐츠 제작기술과 활용"

      46 "2019 경기콘텐츠진흥원 테크콘서트 Vol. 3"

      47 정동훈, "(혼자 공부하는) 가상현실 개념사전 : VR도 모르면서 포켓몬을 잡는다고?" 21세기북스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