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을 통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공간 분석 = An Analysis on Space found in Postmodern Picture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4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다채롭고 독특한 양상의 공간들을 기존 그림책에서 주로 발견되는 공간적 시각으로서의 유토피아적 관점이 아닌 공간에 관한 새로운 철...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다채롭고 독특한 양상의 공간들을 기존 그림책에서 주로 발견되는 공간적 시각으로서의 유토피아적 관점이 아닌 공간에 관한 새로운 철학적 시각인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그림책과 뚜렷이 차별화된 공간 특성들을 내포하고 있는 포스트모던 그림책 12권을 선정하였으며 그런 다음, 헤테로피아적 관점을 적용하여 공간이 갖는 의미들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에서 갖는 의미를 크게 ‘일탈과 전복으로 해체된 공간 : 균열과 낯설음의 이질적 공간’, ‘타자성이 공존하는 탈영토화된 공간 : 변주된 공간’, ‘리좀적 공간 : 3차원의 환영을 담아놓은 예술적 공간’, ‘카니발적 공간 : 환상적인 쾌락의 공간’의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이상의 결과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독자들, 그리고 다원성과 불확실성 등으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와 관련해 지닐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verse, unique spaces shown in postmodern picture book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utopia that is a view of space usually found in non-postmodern or conventional picture book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h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verse, unique spaces shown in postmodern picture book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utopia that is a view of space usually found in non-postmodern or conventional picture book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which is a new philosophical view of space. For this study, the study selected 12 postmodern picture books in which spaces are depicted so much differently from those found in conventional picture books, and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postmodern spaces from the view of heterotopia.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largely categorized that meaning into four, ‘space destructed through deviation and turnover : heterogeneous space that is cracked and unfamiliar’, ‘space that is deterritorialized with otherness : space of variations’, ‘space that has the very character of rhizome : three-dimensional space that is illusive and artistic’ and ‘space that is carnivallike : space of fantasy and pleasure’. Considering these results,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that its finding may have in relation to the modern society where we exist now and which is best characterized as diversity and uncertainty as well as reader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승미, "현대 패션에 나타난 Fluid Form의 특성 연구" 복식문화학회 19 (19): 805-819, 2011

      2 배영삼, "현대 건축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에 대한 연구: 렘 쿨하스의 최근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9) : 391-396, 1999

      3 홍해은, "헤테로토피아적 인공 자연 풍경의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2015

      4 신예림, "헤테로토피아를 적용한 노후 주거 지역 재개발 계획안" 대한건축학회지 연합회 2008 (2008): 709-712, 2008

      5 장세룡, "헤테로토피아: (탈)근대 공간 이해를 위한 시론" 대구사학회 95 : 285-317, 2009

      6 김민지,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발상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7 Foucault, Michelle,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4

      8 최왕돈,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 대한 건축적 해석" 국민대학교 (19) : 145-156, 2000

      9 박선옥,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이해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5

      10 김희정,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 서승미, "현대 패션에 나타난 Fluid Form의 특성 연구" 복식문화학회 19 (19): 805-819, 2011

      2 배영삼, "현대 건축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에 대한 연구: 렘 쿨하스의 최근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9) : 391-396, 1999

      3 홍해은, "헤테로토피아적 인공 자연 풍경의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2015

      4 신예림, "헤테로토피아를 적용한 노후 주거 지역 재개발 계획안" 대한건축학회지 연합회 2008 (2008): 709-712, 2008

      5 장세룡, "헤테로토피아: (탈)근대 공간 이해를 위한 시론" 대구사학회 95 : 285-317, 2009

      6 김민지,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발상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7 Foucault, Michelle,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4

      8 최왕돈,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 대한 건축적 해석" 국민대학교 (19) : 145-156, 2000

      9 박선옥,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이해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5

      10 김희정,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 전연우,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12 전연우,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 Lauren Child의 『쉿! 책 속 늑대를 조심해!』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3 김상한, "포스트모던 그림책과 독자의 상호작용적 읽기" 청람어문교육학회 (50) : 183-213, 2014

      14 신세니,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5 전연우,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81-207, 2012

      16 사성윤,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17 김영천,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생각해보는 교육과정 연구 :탐구주제와 연구영역들"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31, 2009

      18 강학순, "존재와 공간 하이데거 존재의 토폴로지와 사상의 흐름" 도서출판한길사 2011

      19 고은아, "이야기 꾸미기 활동에서 글 없는 그림책과 명화의 활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이야기 구성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김세희, "유아문학교육" 양서원 2005

      21 Nikolajeva, Maria,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22 구연정, "상상과 실재 사이: 헤테로토피아로서 베를린 -발터 벤야민의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에 나타난 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카프카학회 (29) : 123-142, 2013

      23 정헌이, "비-장소로서의 유토피아: 동시대 미술의 유토피아적 조건" 서양미술사학회 (41) : 313-344, 2014

      24 김수진, "보르헤스 문학의 헤테로토피아" 한국스페인어문학회 (31) : 275-291, 2004

      25 신혜은,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39-59, 2013

      26 구한나, "메타픽션적인 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7 정상준, "디즈니랜드와 헤테로토피아 - 『다니엘서』, 『마법의 왕국』, 『공개화형』" 인문학연구원 72 (72): 227-262, 2015

      28 유진월, "나혜석의 탈주 욕망과 헤테로토피아" 인문과학연구소 (35) : 25-51, 2012

      29 현은자, "그림책의 이해 1" 사계절출판사 2009

      30 정미림, "그림책 읽기에서 드러난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47-73, 2013

      31 김영욱,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 교보문고 2012

      32 김서영, "『악취나는 치즈 맨과 다른 매우 어리석은 이야기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징"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6 (56): 25-42, 2012

      33 Ashcroft, Bill, "Utopianism and Postcolonial Literatures" Taylor & Francis 2016

      34 Doel, Marcus, "Un-glunking Geography; Spatial Science after Dr, "Un-glunking Geography; Spatial Science after Dr. Seuss and Gilles Deleuze" Routledge 2002

      35 Greenway, Betty, "Twice-Told Children’s Tales: The Influence of Childhood Reading on Writers for Adults" Routledge 2013

      36 Tompkins, Willis, "Theatre’s Heterotopias : Performance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Springer 2014

      37 Hellman Pamela, "The role of postmodern picture books in art education" 56 (56): 5-12, 2003

      38 Goldstone Bette,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A new subgenre" 81 (81): 196-204, 2004

      39 Catalano, Dominic, "The Roles of the Visual in Picturebooks: Beyond the Conventions of Current Discours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005

      40 Gonzalez, Marcial, "The Postmodern Turn in Chicanan/o Cultural Studies : Toward a Dialectical Critic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41 Murris, Karin, "The Posthuman Child :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Routledge 2016

      42 Miller, John, "The Globalization of Space : Foucault and Heterotopia" Routledge 2015

      43 Casey, Edward, "The Fate of Place : A Philosophical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44 Grenby, Mattew, "The Cambridge Companion to Children’s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5 Hetherington, Kevin, "The Badlands of Modernity : Heterotopia and Social Ordering" Routledge 2002

      46 Coats Karen, "Teaching children’s literature in a postmodern world" 1 (1): 405-409, 2008

      47 Stam, Robert, "Subversive Pleasures : Bakhtin, Cultural Criticism, and Film"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9

      48 Whitehead, Mark, "Spaces of Sustainability : Geographical Perspectives on the Sustainable Society" Routledge 2007

      49 Edson, Laurie, "Reading Relationally : Postmodern Perspectives on Literature and Ar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50 Dresang, Eliza, "Radical change : Books for Youth in a Digital Age" The H. W. Wilson Company 2008

      51 Reynolds, Kimberly, "Radical Children’s Literature : Future Visions and Aesthetic Transformations in Juvenile Fiction" Springer 2007

      52 Corcoran, Tim, "Psychology in Education" Springer 2014

      53 Nikolajeva, Maria, "Power, Voice and Subjectivity in Literature for Young Readers" Routledge 2009

      54 McHale, Brian, "Postmodernist Fiction" Routledge 2003

      55 Kilduff, Martin., "Postmodernism and organizational research" 22 (22): 453-481, 1997

      56 Siddall, Jane, "Postmodernism and Children’s Picture Books" Edith Cowan University Press 1997

      57 Utz, Richard, "Postmodern and Medievalisms" DS Brewer 2005

      58 Hall, Christine, "Postmodern Picturebooks" Routledge 2008

      59 Arizpe, Everlyn., "Postmodern Picturebooks" Routledge 2008

      60 Allan, Cherie, "Playing with Picturebooks : Postmodernism and the Postmodernesque" Springer 2012

      61 Arizpe, Everlyn, "Picturebooks: Beyond the Borders of Art, Narrative and Culture" Routledge 2014

      62 Wu, Shuxuan, "Negotiations of narratives in postmodern picture book" 4 (4): 806-810, 2014

      63 Keen, Suzanne, "Narrative Form : Revised and Expanded Second Edition" Springer 2015

      64 Waller, Alison, "Melvin Burgess" Palgrave Macmillan 2013

      65 Stewig, John, "Looking at Picture Books" Highsmith Press 1995

      66 Hunt, Peter, "Literature for Children" Routledge 2006

      67 Anstey Michele, "It’s not all black and white" : Postmodern picturebooks and new literacies" 45 : 444-457, 2002

      68 Thacker, Deborah, "Introducing Children’s Literature: From Romanticism to Postmodernism" Routledge 2006

      69 Mantei, Jessica., "Interpreting the images in a picture book : Students make connections to themselves, their lives and experiences" 13 (13): 76-92, 2014

      70 Baillie, Caroline, "Heterotopia: Alternative Pathways to Social Justice" John Hunt Publishing 2012

      71 Filimon, Eliza, "Heterotopia in Angela Carter’s Fiction : Worlds in Collision" Anchor Academic Publishing 2014

      72 Dehaene, Michiel, "Heterotopia and the City: Public Space in a Postcivil Society" Routledge 2008

      73 Saldanha Arun, "Heterotopia and structuralism" 40 : 2080-2096, 2008

      74 Siebers, Tobin, "Heterotopia : Postermodern Utopia and the Body Politic"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75 Perdigao, Lisa, "From Modernist Entombment to Postmodernist Exhumation : Dead Bodies in Twentieth-Century American Fiction" Ashgate Publishing 2013

      76 Segesvery, Victor, "From Illusion to Delusion : Globalization and the Contradictions of Late Modernit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1

      77 Dovey, Kim, "Framing Places : Mediating Power in Built Form" Routledge 2014

      78 Savage, John, "For the Love of Literature : Children &Books in the Elementary Years" McGraw-Hill 2000

      79 Almaas, Hameed, "Facets of Unity : The Enneagram of Holy Ideas" Shambhala Publications 2000

      80 Anderson, Nicole, "Derrida : Ethics under Erasure" Bloomsbury Publishing 2004

      81 Colebrook, Claire, "Deleuze: A Guide for the Perplexed" A&C Blac 2006

      82 Beauchamp, Edward, "Comparative Education Reader" Psychology Press 2003

      83 Finke, Ronald, "Chaotic Cogni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sychology Press 1996

      84 Reiman, Jeffrey, "Abortion and the Way We Value Human Life" Rowman & Littlefield 1999

      85 이선형, "<헤테로토피아>의 탈경계성" 한국드라마학회 (44) : 63-8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