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 1980년대 한국 정부의 외국방송 전파월경 통제 : ‘북한의 전파방해’ 논란과 한일 간 외교교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4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파월경’에 대한 국가의 대책이 기본적으로 일종의 변경지대라 할 수 있는 전파월경과 그에 따른 전파의 섞임(混信), 그리고 그에 대한 시청취자들의 경험에 ‘기술적 국경’...

      이 연구는 ‘전파월경’에 대한 국가의 대책이 기본적으로 일종의 변경지대라 할 수 있는 전파월경과 그에 따른 전파의 섞임(混信), 그리고 그에 대한 시청취자들의 경험에 ‘기술적 국경’을 세우는 구성적 행위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외국방송의 전파월경을 둘러싼 국제분쟁의 두 사례-북한의 1975년 ‘TV방해전파’ 및 1979년 ‘통혁당목소리’ 방송과 1979년 이후 ‘한일 주파수조정회의’에서의 외교교섭-를 중심으로 1970, 1980년대 한국 정부의 전파월경 해결역량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권위주의적 군사정부의 통제하에서 TV채널의 수나 콘텐츠의 다양성이 제한받았던 1960, 1970년대 한국의 일반대중들이 다양한 방송콘텐츠에 대한 갈증을 풀 수 있는 주요한 통로 중의 하나는 한반도로 유입되는 여러 해외방송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이었지만, 국가 간 전파월경 문제를 해결할 근거인 국제협약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시 한국 정부는 해외방송의 전파월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직된 내셔널리즘적 사고의 자장 안에서 국내적 해결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법적인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세계화의 역학은 외국방송의 전파월경에 대한 한국 정부의 통제방식을 뒤바꾸어 놓았다. 1975년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회의에서 의결된 ‘중파방송 지역협정’은 전파분쟁 당사국 간의 긴밀한 협의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전파방해’와 ‘통혁당목소리’ 방송 사례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주로 북한을 비난하기 위한 정치적인 레토릭에 머무는 수준이었다면, 지역협정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직후부터 ‘합법적인 전파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정례화된 ‘한일 주파수조정회의’는 양국 간의 외교교섭을 통해 전파분쟁 해결의 실무적 실마리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두고, 또 이를 통해 전파월경해결의 국가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본 연구는 1970년대 후반 ‘중파방송 지역협정’가입 이후 한국 정부의 전파월경 문제에 대한 통제 방식/역량의 변화가 한국 사회가 저작권법이라는 글로벌한 법률 체계에 기반을 두고 미디어 콘텐츠의 월경적인 유통을 통제하는 글로벌한 통제 패러다임으로 편입되고 있었음을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명백한 사례라고 평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started with a sense that the state’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are basically to establish a ‘technical border’. In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diversity of TV channels and contents was limited un...

      The study started with a sense that the state’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are basically to establish a ‘technical border’. In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diversity of TV channels and contents was limited under the authoritarian military government, one of the main ways for the Korean public to quench the thirst for various broadcasting contents was to receive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With no international agreement in place to resolve the issue of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between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focused on domestic solutions in the lull of rigid nationalistic thinking to solve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However, the dynamics of globalization at a legal level since the mid-1970s have reversed the Korean government’control over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FINAL ACTS of the Regional Administrative LF/MF Broadcasting Conference (Regions 1 and 3), which was resolved at the 1975 ITU Conference in Geneva, required close consultation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in the radio conflict. However, i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North Korea’s radio interference’ and ‘Unification Party’s Voice’ Broadcasting was mainly a political rhetoric to denounce the North, ‘the South Korea-Japan Frequency Coordination Conference’ has achieved practical resolution through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Korean government’s control method/competence over the issue of the spill-over of foreign broadcasting after joining the ‘MF Broadcasting Regional Agreement’ in the late 1970s was incorporated into a global control paradigm that controls the trans-boundary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a global legal system called copyright la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1970년대 시청자의 욕구와 남해안의 전파월경, 그리고 정부의 대책
      • 3. 1978년 ‘중파방송 지역협정’ 발효와 ‘북한 방해 전파’ 논란
      • 4. 1980년대 전파월경 관련 한일 양국 간 외교교섭
      • 5. 요약 및 논의
      • 1. 머리말
      • 2. 1970년대 시청자의 욕구와 남해안의 전파월경, 그리고 정부의 대책
      • 3. 1978년 ‘중파방송 지역협정’ 발효와 ‘북한 방해 전파’ 논란
      • 4. 1980년대 전파월경 관련 한일 양국 간 외교교섭
      • 5.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아일보, "횡설수설"

      2 장훈, "한국형 발전국가의 정치경제사" 인간사랑 2018

      3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한국언론법령전집"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1982

      4 송재극, "한국방송총람" 나남 913-1736, 1991

      5 한국방송공사(편), "한국방송60년사" 한국방송공사 1987

      6 윤상길, "한국 텔레비전 방송기술의 사회문화사" 5-39, 2011

      7 최이숙, "전후 1950년대 탈식민 도시 부산 그리고 라디오"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3 (23): 47-95, 2015

      8 한국전자공업진흥회, "전자공업20년사" 한국전자공업진흥회 1981

      9 김성민, "일본을 禁하다 : 금제와 욕망의 한국대중문화사, 1945-2004" 글항아리 2017

      10 김광옥, "일본위성방송의 문화적 성격" 한국통신학회 1991

      1 동아일보, "횡설수설"

      2 장훈, "한국형 발전국가의 정치경제사" 인간사랑 2018

      3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한국언론법령전집"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1982

      4 송재극, "한국방송총람" 나남 913-1736, 1991

      5 한국방송공사(편), "한국방송60년사" 한국방송공사 1987

      6 윤상길, "한국 텔레비전 방송기술의 사회문화사" 5-39, 2011

      7 최이숙, "전후 1950년대 탈식민 도시 부산 그리고 라디오"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3 (23): 47-95, 2015

      8 한국전자공업진흥회, "전자공업20년사" 한국전자공업진흥회 1981

      9 김성민, "일본을 禁하다 : 금제와 욕망의 한국대중문화사, 1945-2004" 글항아리 2017

      10 김광옥, "일본위성방송의 문화적 성격" 한국통신학회 1991

      11 주간방송, "일본서의 KBS 수신상태"

      12 이창현, "일본 직접위성방송의 전파침입(spill over)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12 (12): 163-186, 1990

      13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일본 직접위성방송의 국내시청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0

      14 최명, "일본 직접위성방송의 국내시청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14 (14): 173-197, 1992

      15 경향신문, "일본 그림자(2): 부산항의 TV오염"

      16 이인석, "이인석 회고록, 유료방송 50년에 살다" 한미디어북 2015

      17 부산일보, "유선TV방송 수신, 5無許업자 고발"

      18 동아일보, "아시아放送연맹 이스탄블總會, 라디오·TV두作品 佳作入選"

      19 부산일보, "사설: 전파방해의 조사제의"

      20 부산일보, "사설: 대남심리전의 격화"

      21 부산일보, "북괴서 KBS 전파방해"

      22 부산일보, "북괴 전파방해 항의"

      23 동아일보, "부산, 일본TV시청 많다"

      24 동아일보, "방송은 ‘구국의 소리’, 북한, 통혁당 이름바꿔 한국민족민주전선으로"

      25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방송용어사전" 한국방송개발원 1990

      26 송재극, "방송기술의 변천" 127-147, 1995

      27 吉見俊哉, "문화연구" 동국대학교 2008

      28 문화공보부, "문화공보30년" 문화공보부 1979

      29 김동성, "무질서 비디오시장에 음반법 개정 회오리" (81) : 180-184, 1991

      30 부산일보, "대마도에 전파등대"

      31 조선일보, "대남 흑색방송으로 북괴 계속 허위선전"

      32 윤상길,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과 對日라디오방송: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과 수렴" 한국언론학회 15 (15): 5-43, 2019

      33 동아일보, "남녘TV에 日本映像활개"

      34 이성민, "기독교방송의 설립과정과 초기 성격에 관한 연구 : 1948~1960 :냉전시기 라디오 방송환경과 선교방송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35 Morris-Suzuki, T.,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 변경에 서서 역사를 바라보다" 휴머니스트 193-215, 2004

      36 동아일보, "그게 이렇지요, ‘국경’없는 뉴미디어"

      37 이상원, "국제 직접위성 방송의 전파월경에 대한 국제법적 통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38 金貞惠, "韓國 靑少年들의 日本 衛星 放送 視聽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39 金明玉, "韓國 CATV 도입활성화를 위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3

      40 동아일보, "釜山에 日TV視聽率 높다"

      41 경향신문, "通信의 하이웨이 6月3日 韓·日間 스캐터開通"

      42 권오홍, "統革黨放送의 全貌" (122) : 121-126, 1979

      43 김군선, "日本의 直接放送衛星과 그 文化的 영향에 관한 考察" 1 (1): 147-165, 1984

      44 洪常晳, "日本衛星放送의 越境(Spill Over) 현상과 國內 對應戰略에 관한 연구 : 서울·釜山地域 受容者 調査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新聞放送大學院 1990

      45 崔圭甲, "日本 衛星放送의 視聽과 文化的 影響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46 金成珉, "ローカルな禁止」と「グローバル化」の力學: 1980年代韓國における「日本大衆文化禁止」と國際著作権問題" 3 (3): 103-113, 2009

      47 동아일보, "‘日本바람’이 부는가<3>, 부산안방에 ‘연가’ 흐른다, TV전파에 실려 ‘모방문화’ 밀물처럼"

      48 유재용, "afkn키드의 미국 들여다보기" 나남 2007

      49 부산일보, "TV시청료 챙겨"

      50 Winikachul, T., "Siam-mapped : A history of the geo-body of a nation" Univ. Hawaii Press 1994

      51 Eckstein, L., "Postcolonial piracy" 23 : 161-177, 2016

      52 Sassen, S., "Losing control? Sovereignity in an age of globaliz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53 Chatterjee, P., "Lineages of political society : Studies in postcolonial democrac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54 중앙방송국, "KBS연감’73" 중앙방송국 1973

      55 경향신문, "ITU회의서 통혁당 방송싸고 남북한 대결예상"

      56 동아일보, "ITU周波數登錄委 北傀에公翰보내"

      57 申鉉旭, "I.T.U.와 韓國과의 關係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78

      58 ITU, "Final Acts of the Regional Administrative LF/MF Broadcasting Conference (Regions 1 and 3) - Geneva, 1975"

      59 박용규, "AFKN-TV의 특성과 문화적 영향(1957~1996)"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101-134, 2014

      60 황창규, "80년대의 도전: 한국TV"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 313-340, 1979

      61 원우현, "80년대의 도전: 한국TV"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 160-211, 1979

      62 윤상길, "1980년대 정부의 일본TV방송 전파월경 대책과 부산사회의 반응"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0) : 441-480, 2020

      63 윤상길, "1980년대 전반기 한국 유선비디오방송 ‘붐’의 미디어사적 맥락" 언론정보연구소 57 (57): 44-78, 2020

      64 윤상길, "1970년대 한국 유선방송의 이행기적 양상" 언론정보연구소 56 (56): 5-42, 2019

      65 윤상길, "1960년대 중후반기 박정희 정부의 유선방송 일원화 사업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63 (63): 46-79, 2019

      66 윤상길,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언론정보연구소 56 (56): 5-51, 2019

      67 이성민, "1950년대 대출력 송신소 건설을 둘러싼 담론과 방송현실" 한국언론학회 16 (16): 5-4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3 1.53 2.10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