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문화컨텐츠 소비에 대한 촉진 및 저해요인의 분석 = Analysis of Promoting and Prohibiting Factors Affecting the Consumption of East Asian Cultural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51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주요 문화 확산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 소비자들의 문화수용 요인과 문화컨텐츠 소비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수용요인을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및 국제화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문화/국제화 자본이 문화컨텐츠 소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와 심리적 거리감과 자국중심주의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3국의 경쟁우위전략을 발굴하려고 목적하였다. 국가별로 대표적인 문화컨텐츠로 한국의 드라마, 중국의 영화,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화자본, 사회자본, 국제화자본,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에 일본>한국>중국의 순서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국제화 자본과 심리적 거리감은 3국의 문화컨텐츠 소비에 일관적으로 유의한 긍정과 부정적 영향력을 각각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문화컨텐츠 공통적으로 국제화자본이 가장 높은 긍정적 영향을 행사하였고, 심리적 거리감이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Korea, Japan,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an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ithmajor focu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globalization capital. For this purpose, through a survey of respondents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 verified whether the three capitals positiv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and ethnocentrism negatively impact the consumption. And then we sought to deriv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of the three countries. As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by country, we chose Korean drama, Chinese movie, and Japanese anima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Japan led Korea and China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xt, we found that globalization capital and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ty had a significant psotive and negative impacts, respectively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Finally, we found that globaliz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mpact, while psychological distance exerted themost negative impact on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across the three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 Ⅲ. 연구 방법론
      • Ⅳ. 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 Ⅲ. 연구 방법론
      • Ⅳ. 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돈문, "한국사회의 계급과 문화: 문화자본론 가설들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33, 2005

      2 김은실, "초국가적 문화현상으로서의 겨울연가와 새로운 문화 수용/번역가로서의 아시아여성의 부상" 2004

      3 최명규, "제품 평가에 있어서의 제조국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 제품-제조국 이미지 일치, 소비자 자기민족중심주의, 제품관여도를 중심으로" 5 (5): 17-32, 1994

      4 최유진, "일본드라마 수용자 팬덤 현상에 대한 연구 : 드라마 수용의 '즐거움(Pleasure)'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경희, "외국상표 의류에 대한 소비자 쇼핑성향 연구(제2보) : 의복관여, 자민족중심주의, 원산지효과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21 (21): 120-132, 1997

      6 황화철, "심리적 거리와 국가 이미지가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세범, "브랜드 글로벌성(Brand Globalness)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 자민족중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기업경영학회 13 (13): 221-238, 2006

      8 서우석, "네트워크화된 문화소비자와 문화자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94-137, 2010

      9 박찬웅, "경쟁의 사회적 구조 : 기업내 신뢰의 사회적 연결망과 개인의 조직내성과" 33 (33): 789-817, 1999

      10 안우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한 학부모의 교육열 탐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29-50, 2005

      1 조돈문, "한국사회의 계급과 문화: 문화자본론 가설들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33, 2005

      2 김은실, "초국가적 문화현상으로서의 겨울연가와 새로운 문화 수용/번역가로서의 아시아여성의 부상" 2004

      3 최명규, "제품 평가에 있어서의 제조국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 제품-제조국 이미지 일치, 소비자 자기민족중심주의, 제품관여도를 중심으로" 5 (5): 17-32, 1994

      4 최유진, "일본드라마 수용자 팬덤 현상에 대한 연구 : 드라마 수용의 '즐거움(Pleasure)'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경희, "외국상표 의류에 대한 소비자 쇼핑성향 연구(제2보) : 의복관여, 자민족중심주의, 원산지효과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21 (21): 120-132, 1997

      6 황화철, "심리적 거리와 국가 이미지가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7 김세범, "브랜드 글로벌성(Brand Globalness)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 자민족중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기업경영학회 13 (13): 221-238, 2006

      8 서우석, "네트워크화된 문화소비자와 문화자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94-137, 2010

      9 박찬웅, "경쟁의 사회적 구조 : 기업내 신뢰의 사회적 연결망과 개인의 조직내성과" 33 (33): 789-817, 1999

      10 안우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한 학부모의 교육열 탐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29-50, 2005

      11 Peterson, R. A., "Understanding Audience Segmentation : From Elite and Mass to Omnivore and Univore" 21 : 243-258, 1992

      12 O'Grady, S., "The Psychic Distance Paradox" 27 (27): 309-333, 1996

      13 Putnam, R. D., "The Prosperou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13 : 35-42, 1993

      14 Lee, D. J., "The Effect of Cultural Distance on the Relational Exchange between Exporters and Importers : The Case Austrailian Exporters" 11 (11): 7-22, 1998

      15 Ellison, N. B.,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 1143-1168, 2007

      16 Booth, K., "Strategy and Ethnocentrism" Croom-Helm 1979

      17 Lin, N.,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8 Coleman, J.,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95-120, 1988

      19 Tolor, A., "Popularity and Psychological Distance" 1 : 65-83, 1970

      20 DiMaggio, P., "Participation in the Arts by Black WhiteAmericans" 68 (68): 753-778, 1990

      21 Lamont, M., "Money, Morals and Mann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22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Research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1986

      23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Global Hallyu Issue"

      24 Valkenburg, P. M., "Friend Netwoeking Sites and Their Relatioship to Adolescents’ Well-Being and Social Self-Esteem" 9 : 584-590, 2006

      25 Klein, A., "Firm Performance and Board Committee Structure" 41 (41): 275-304, 1998

      26 Levin, R., "Ethnocentrism : Theories of Conflict" John Wiley and Sons 1972

      27 Holt, D., "Does Cultural Capital Structure American Consumption?" 25 (25): 1-25, 1998

      28 Beckerman, W., "Distance and the Pattern of Intra-European Trade" 28 : 31-40, 1956

      29 Klein, S., "Determinants of Export Channel Structure : The Effects of Experience and Psychic Distance Reconsidered" 7 (7): 27-38, 1990

      30 Erickson, B. H., "Culture, Class, and Connections" 102 (102): 217-251, 1996

      31 Lareau, A., "Cultural Capital in Educational Research : A Critical Assessment" 32 (32): 567-606, 2003

      32 DiMaggio, P.,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 The Impact of Status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 S. High School Student" 47 : 189-201, 1982

      33 Lamont, M., "Cultural Capital : Allusions, Gaps, and Glissandos in Recent Theoretical Developments" 6 (6): 153-168, 1988

      34 Witt, G., "Country-of-Origin and Brand Effects on Consumer Perceived Risk" 3 : 27-33, 1992

      35 Han, C. M., "Country Image : Halo or Summary Construct?" 26 (26): 222-229, 1989

      36 Hannerz, U., "Cosmopolitans and Locals in World Culture" 7 (7): 237-251, 1990

      37 Huddleston, P., "Consumer Ethnocentrism, Product Necessity and Polish Consumers’ Perceptions of Quality" 29 (29): 236-246, 2001

      38 Watson, J., "Consumer Ethnocentrism and Attitudes Toward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34 (34): 1149-1166, 2000

      39 Shimp, T. A., "Consumer Ethnocentrism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CETSCALE" 13 (13): 280-289, 1987

      40 Rawwas, M Y A., "Consumer Ethic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thical Beliefs of Austrian Consumers" 15 (15): 1009-1019, 1996

      41 Rogers, E. M., "Communication Technology" Simon and Schuster 1986

      42 DiMaggio, P., "Classification in Art" 52 (52): 440-455, 1987

      43 Coyner, S. J., "Class Consciousness and Consumption : The New Middle Class during the Weimar Republic" 10 (10): 310-331, 1977

      44 Putnam, R.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0

      45 Nash, R., "Bourdieu on Education and Social and Cultural Reproduction" 11 (11): 431-447, 1990

      46 Hallen, L., "Between Market and Hierarchy" University of Uppsala 1984

      47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3 한류백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