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과일바구니 사업에 참여한 서울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2,430명을 대상으로 과일에 대한 지식, 인식, 선호도와 사업 전후 섭취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23571
2018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051-1058(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과일바구니 사업에 참여한 서울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2,430명을 대상으로 과일에 대한 지식, 인식, 선호도와 사업 전후 섭취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과...
본 연구는 과일바구니 사업에 참여한 서울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2,430명을 대상으로 과일에 대한 지식, 인식, 선호도와 사업 전후 섭취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과일 권장 섭취 빈도에 맞게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16.5%, 중・고등학생은 14.8%였고, 학생들의 약 1/3 이상은 권장되는 과일 섭취 빈도를 주 1회 이상~일 1회 미만으로 응답하여 권장 섭취 빈도에 대한 지식이 미흡하였다. 과일 섭취의 1회 적정 분량에 대한 이해도는 중・고등학생들이 초등학생에 비해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1회 섭취 권장 분량은 권장량보다 많은 양으로 인식하는 경향이었다. 과일 섭취량에 대한 자가 인식에서는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보다 스스로 많이 먹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초등학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생과일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4점 이상의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나 생과일 섭취 빈도는 전반적으로 평균 일 1회 미만의 섭취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약 50%와 중・고등학생의 약 70%가 생과일을 주 1회 이상에서 일 1회 미만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초등학교 여학생의 경우에만 거의 일 1회에 근접해서 섭취하고 있었다. 남녀별 섭취 빈도에서는 초등학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섭취 빈도가 높았고 중・고등학생은 차이가 없었다. 과일 바구니 사업 이후에도 권장 섭취 빈도에 맞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여전히 낮은 편이었으나 중・고등학생의 경우에는 1일 평균 과일 섭취 빈도가 사업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업 이전 낮은 섭취빈도를 보였던 취약계층 중・고등학생의 섭취가 사업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과일바구니 사업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과일 권장 섭취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섭취 증가를 위한 과일 제공 빈도의 보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rogram to promote fruit intak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in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has been initiated; however, only a few studies of its effects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r...
A program to promote fruit intak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in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has been initiated; however, only a few studies of its effects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ruit intake and any changes to fruit consumption attributed to the fruit provision program, which provides fruit to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twice a week. The subjects were 2,430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Healthy Fruit Basket program at local children’s centers in Seoul from June 2015 to December 2015.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ir fruit knowledge, awareness, preferences, and eating frequencies. All subjects, regardless of school grade, were found to have an inadequate knowledge of recommended intake frequency and amount. Self-assessed fruit intake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reference for fruit was relatively higher than for other snacks, but intake was generally low, with the proportion meeting the recommended intake frequency being only 29.4%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4.8%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ince the program started, the mean daily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fruit provision program was effective, particularly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a low fruit intake frequency prior to the program. To increase fruit intake of low-income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rogram needs to be continued with an increase in fruit supply frequency in conjunction with provision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related to the recommended frequency and amount of fruit intak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현,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의 채소ㆍ과일 섭취 현황 및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양(교)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567-581, 2013
2 허은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간식 선호도, 간식구매행동, 간식섭취와의 관련성 -성별과 TV시청시간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8 (18): 429-441, 2013
3 김소현, "전곡류 및 채소, 과일 섭취의 증가가 청소년의 체내 항산화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5 (45): 452-461, 2012
4 오수민, "유아 대상 '채소와 과일, 유제품의 충분한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실시 및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517-529, 2012
5 심재은, "식사구성안을 이용한 저소득층 학령기 어린이의 식생활 평가: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한국영양학회 42 (42): 691-701, 2009
6 조은아, "시흥지역 초등학생의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관련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169-179, 2010
7 양승주, "서울지역 고등학생 대상 ‘아침밥 클럽’의 식생활 및 학교생활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000-1006, 2015
8 남경희, "서울시내 일부 저소득층 학동기 아동의 신체발달 및 식습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172-179, 2006
9 장한별,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 월수입, 부모 교육수준)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체중 및 식습관, 식사 질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4 (44): 416-427, 2011
10 안윤, "대학생의 채소 섭취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채소 섭취 관련인식, 자아효능감 및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1-13, 2012
1 김지현,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의 채소ㆍ과일 섭취 현황 및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양(교)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567-581, 2013
2 허은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간식 선호도, 간식구매행동, 간식섭취와의 관련성 -성별과 TV시청시간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8 (18): 429-441, 2013
3 김소현, "전곡류 및 채소, 과일 섭취의 증가가 청소년의 체내 항산화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5 (45): 452-461, 2012
4 오수민, "유아 대상 '채소와 과일, 유제품의 충분한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실시 및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517-529, 2012
5 심재은, "식사구성안을 이용한 저소득층 학령기 어린이의 식생활 평가: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한국영양학회 42 (42): 691-701, 2009
6 조은아, "시흥지역 초등학생의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관련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169-179, 2010
7 양승주, "서울지역 고등학생 대상 ‘아침밥 클럽’의 식생활 및 학교생활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000-1006, 2015
8 남경희, "서울시내 일부 저소득층 학동기 아동의 신체발달 및 식습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172-179, 2006
9 장한별,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 월수입, 부모 교육수준)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체중 및 식습관, 식사 질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4 (44): 416-427, 2011
10 안윤, "대학생의 채소 섭취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채소 섭취 관련인식, 자아효능감 및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1-13, 2012
11 서주영, "대구지역 유아들의 식사 및 식생활 형태 조사 -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섭취 수준 및 식태도 조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710-721, 2009
12 정혜경, "고등학생의 채소과일류 섭취습관과 식이섬유소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 대구 일부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2 (12): 43-64, 2011
13 나수영,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및 관련 인식, 자아효능감, 영양지식과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329-341, 2010
14 남경민, "건강매점 운영에 따른 청소년의 간식 섭취에 대한 인식 및 간식 구매 행태" 한국식품영양학회 27 (27): 1147-1155, 2014
15 김기랑, "The effect of a healthy school tuck shop program on the access of students to healthy foods" 한국영양학회 6 (6): 138-145, 2012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orth National Health Plan: 2016-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7 Oh MH, "Preferences, frequency and consumption of vegetables, fruits & milk, and practices of dietary guideli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16 (16): 43-54, 2012
18 National Cancer Center, "Obesity fact in Korea" 2014
19 김기랑, "Nutritional statu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overweight tendency and micronutrient deficiencies" 한국영양학회 9 (9): 547-553, 2015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21 Yoon SH, "Dietary habits of Korean adolescents: Results of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8 (8): 2015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3 Park EM, "Current status of students' eating habits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healthy tuck shops and suggestions to stimulate healthy eating" Kyunghee University 2011
24 Yang HY, "Children's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parental behavior" Wonkwang University 2011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3T3-L1 지방세포 및 제2형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건지황 열수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 연구
프로시아니딘의 항종양 효능 및 혈구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새싹보리 잎, 뿌리 및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비교
수박과 참외 과피 알코올불용성다당류 분획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장내세균 성장 활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