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가정과교사의 소비생활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 :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ntent needs of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in Consumer Lif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exec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8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A, B대학교 가정과교육과 1,2,3,4학년 총 85명을 대상으로 소비생활교육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와 실행도의 수준 차이를 통해 요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 보리치(Borich...

      이 연구는 A, B대학교 가정과교육과 1,2,3,4학년 총 85명을 대상으로 소비생활교육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와 실행도의 수준 차이를 통해 요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 보리치(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 가정과교사들은 소비생활교육을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 가정과교사들은 소비생활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실행도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 셋째, 보리치 요구 조사 결과, 요구도가 가장 높은 하위 요소는 고객여정, 소비자 신용, 가계 자산관리, 소비자 관련 법규와 제도, 소비정체성 순이었으며, Locus for Focus Model 분석 결과 집중 영역에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소비생활 영역은 가정경제의 이해와 재무관리, 소비자문제해결, 소비자운동과 소비자주의이다. 모든 학년에서 최우선 순위는 가계 자산관리이며, 3개 학년에서 최우선 순위는 가계소득 및 지출, 행복한 소비절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response sample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understanding needs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and importance and execution of consumer life education and the subj...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response sample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understanding needs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and importance and execution of consumer life education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85 students in the 1st, 2nd, 3rd and 4th grades of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and B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that Consumer Life Education was necessary. Second,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think that Consumer Life Education is important,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has not been reached.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Borich Needs Analysis, the sub-factors with the highest demand were in the order of customer journey, consumer credit, household asset management, consumer-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consumption identity. As a resul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Consumer Life Area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irst in the focus area ar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economy and financial management, consumer problem solving, consumer movement and consumerism. The top priority in all grades is household asset management, and the top priority in the three grades is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and happy consumption restrai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07-129, 2008

      2 이현정, "초임기 가정과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1급 정교사 가정 자격연수 대상자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15-28, 2018

      3 백광희,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가정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119-133, 2003

      4 김효심, "초등교사의 실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289-302, 2014

      5 주수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79-93, 2016

      6 이정윤,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121-140, 2015

      7 주수언,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37-50, 2015

      8 문영훈, "중등 가정과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비판적 관점의 학교소비자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9 정상희, "중등 「가정」 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 평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정주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소비생활 변화와 소비자교육"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89-104, 2017

      1 이수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07-129, 2008

      2 이현정, "초임기 가정과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1급 정교사 가정 자격연수 대상자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15-28, 2018

      3 백광희,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가정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119-133, 2003

      4 김효심, "초등교사의 실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289-302, 2014

      5 주수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79-93, 2016

      6 이정윤,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121-140, 2015

      7 주수언,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37-50, 2015

      8 문영훈, "중등 가정과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비판적 관점의 학교소비자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9 정상희, "중등 「가정」 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 평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정주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소비생활 변화와 소비자교육"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89-104, 2017

      11 김남은, "윤리적 소비실천을 위한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 교육과정 제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57-81, 2018

      12 차명화, "식생활 단원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변화 요구도 및 관련변인 분석 대구 경북 지역 중학교 기술가정교사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41-53, 2005

      13 이득연, "소비자 교육 관련 교과서 내용 집필 방향" 한국소비자원 1993

      14 윤태영, "소비수업" 문예출판사 2020

      15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6 이가인, "기술・가정 교과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의 내용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7 오승국, "교육요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 보완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27 (27): 77-98, 2014

      18 유지연, "가정과학의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125-134, 2006

      19 이연숙, "가정과 교사의 중․고등학교 가정관리 교육내용에 대한 수업요구도와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7 (7): 81-95, 1995

      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기준"

      21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22 Witkin, B. R.,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Sage Publications 1995

      23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79

      24 Borich, G. D.,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31): 39-42, 1980

      25 유미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ㆍ가정1 교과서 분석 -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4 (14): 51-8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