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愚齋 孫仲暾의 金宗直 門人說 考察 -『愚齋先生實記』 편찬과정을 통해서- = A Study on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for Ujae Son Jung-don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mpiling Ujaeseonsaengsil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ompiling Ujaeseonsaengsilgi and Ujaejip written by Ujae Son Jung-don (1463~1529) to define his relationship with Jeompiljae Kim Jong-jik. An attempt was made to find its traces in Ujaeseonsaengsilgi and to compare it with Jeompiljaejip so 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Jung-don and Kim Jong-jik.
      On the basis of the memorial to the Throne written by 222 persons, including Lee Sul-hyeon, a Confucian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on February 30, 1790, in addition to Ujaeseonsaengsilgi, it seems that Son Jung-don was already known as a writer along with Kim Jong-jik among Confucia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t the time of 1790. However, Silgijeungbobalmun in Ujaeseonsaengsilgi never addresses Kim Jong-jik but focuses on defining and informing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between Son Jung-don and Hoijae Lee Eon-jeok.
      Lee Byeong-ho's postscript to a part of Silgijeungbobalmun in 1905 and Son Hu-ik's Munjipsigmun in 1935 addressed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Kim Gwoing-pil and Jeong Yeo-chang, any of whom hadn't been addressed in Ujaeseonsaengsilgi, and tried to connect them with Son Jung-don. This is probably a social error committed during the process of compiling Silgi as part of the effort to enhance their ancestor's prestige by building a memorial hall and publishing a collection of works from the descendents' viewpoint. So this is one-sided insistence by Ujaejip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rresponding materials among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by Kim Jong-jik, Jeong Yeo-chang, and Kim Gwoing-pil, making it hard to define their relationship. While the chronological record in Ujaeseonsaengsilgi reveals that he was under Kim Jong-jik's instruction at the age of 22, this was simply written from the descendent's viewpoint in the 18th century, with no materials found to define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with Son Jung-don. Only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Son So, can be found. It seems, therefore, that Son Jung-don had a chance to study with his father, Son So, and Kim Jong-jik and was naturally connected with Kim Jong-jik via his father by future scholars' excessive revisions. This is probably because he intended to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Sarimpa, Kim Jong-jik, and his father to consolidate his position externally and to justify himself in consolidating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with his grandchild, Lee Eon-jeok, internally.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ompiling Ujaeseonsaengsilgi and Ujaejip written by Ujae Son Jung-don (1463~1529) to define his relationship with Jeompiljae Kim Jong-jik. An attempt was made to find its traces in Ujaeseonsaengsilgi and to compare...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compiling Ujaeseonsaengsilgi and Ujaejip written by Ujae Son Jung-don (1463~1529) to define his relationship with Jeompiljae Kim Jong-jik. An attempt was made to find its traces in Ujaeseonsaengsilgi and to compare it with Jeompiljaejip so 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Jung-don and Kim Jong-jik.
      On the basis of the memorial to the Throne written by 222 persons, including Lee Sul-hyeon, a Confucian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on February 30, 1790, in addition to Ujaeseonsaengsilgi, it seems that Son Jung-don was already known as a writer along with Kim Jong-jik among Confucia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t the time of 1790. However, Silgijeungbobalmun in Ujaeseonsaengsilgi never addresses Kim Jong-jik but focuses on defining and informing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between Son Jung-don and Hoijae Lee Eon-jeok.
      Lee Byeong-ho's postscript to a part of Silgijeungbobalmun in 1905 and Son Hu-ik's Munjipsigmun in 1935 addressed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Kim Gwoing-pil and Jeong Yeo-chang, any of whom hadn't been addressed in Ujaeseonsaengsilgi, and tried to connect them with Son Jung-don. This is probably a social error committed during the process of compiling Silgi as part of the effort to enhance their ancestor's prestige by building a memorial hall and publishing a collection of works from the descendents' viewpoint. So this is one-sided insistence by Ujaejip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rresponding materials among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by Kim Jong-jik, Jeong Yeo-chang, and Kim Gwoing-pil, making it hard to define their relationship. While the chronological record in Ujaeseonsaengsilgi reveals that he was under Kim Jong-jik's instruction at the age of 22, this was simply written from the descendent's viewpoint in the 18th century, with no materials found to define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with Son Jung-don. Only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Son So, can be found. It seems, therefore, that Son Jung-don had a chance to study with his father, Son So, and Kim Jong-jik and was naturally connected with Kim Jong-jik via his father by future scholars' excessive revisions. This is probably because he intended to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Sarimpa, Kim Jong-jik, and his father to consolidate his position externally and to justify himself in consolidating the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with his grandchild, Lee Eon-jeok, intern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고는 愚齋 孫仲暾(1463~1529)의 『愚齋先生實記』와 『愚齋集』에 대한 편찬과정에서 사승관계로 보이는 佔畢齋 金宗直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먼저 『愚齋先生實記』에서 그 흔적을 찾고, 그것을 다시 『佔畢齋集』과 비교를 하면서 손중돈과 김종직의 관계를 짚어보았다. 또 실록에 의거한 1790년 2월 30일. 경상도 儒生 이술현 등 223명이 올린 상소문을 중심으로 볼때, 당시 경상도 유생들간에 이미 손중돈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알려진 상태로 보인다. 하지만 『愚齋先生實記』의 「實記增補跋文」을 중심으로 보면, 김종직에 대해 언급이 전혀 없고, 다만 손중돈과 회재 이언적의 사승관계를 밝히고 알리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實記增補跋文」 가운데 1905년 李炳鎬의 발문과 1935년 孫厚翼의 「文集識文」에서는 그 동안 「愚齋先生實記」에서 다루지 않았던 김종직과 그의 제자 김굉필, 정여창을 언급하면서 손중돈과의 연결을 시도한 흔적이 보인다. 이것은 아마도 후손된 입장에서 서원 건립과 문집의 발간을 통해 선조를 선양하는 일환으로, 『實記』의 편찬과정에서 생긴 사회적 오류로 인식이 된다. 이것은 일방적인 『愚齋集』만의 주장인 것이다.
      그리고 『愚齋先生實記』 年譜에서 손중돈은 22세에 김종직의 문인으로 있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18세기경 후손의 입장에서 기술된 자료에 불과하며 김종직과 사승관계를 나타내는 어떤 자료도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부친인 손소와의 관계만 드러나 있을 뿐이다. 즉 손중돈을 부친 손소와 김종직의 동문수학 경우를 갖고, 후학들의 지나친 加添으로 자연스레 김종직과 연결 지었다. 그 외적이유로 초기 사림파의 거두 김종직과 손소(부친)의 관계를 이용해서 자신들의 입지를 굳히고, 내적이유로 외손인 이언적과의 사승관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명분을 세우고자한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愚齋 孫仲暾(1463~1529)의 『愚齋先生實記』와 『愚齋集』에 대한 편찬과정에서 사승관계로 보이는 佔畢齋 金宗直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먼저 『愚齋先生實記』에서 그 흔적을 찾...

      본고는 愚齋 孫仲暾(1463~1529)의 『愚齋先生實記』와 『愚齋集』에 대한 편찬과정에서 사승관계로 보이는 佔畢齋 金宗直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먼저 『愚齋先生實記』에서 그 흔적을 찾고, 그것을 다시 『佔畢齋集』과 비교를 하면서 손중돈과 김종직의 관계를 짚어보았다. 또 실록에 의거한 1790년 2월 30일. 경상도 儒生 이술현 등 223명이 올린 상소문을 중심으로 볼때, 당시 경상도 유생들간에 이미 손중돈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알려진 상태로 보인다. 하지만 『愚齋先生實記』의 「實記增補跋文」을 중심으로 보면, 김종직에 대해 언급이 전혀 없고, 다만 손중돈과 회재 이언적의 사승관계를 밝히고 알리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實記增補跋文」 가운데 1905년 李炳鎬의 발문과 1935년 孫厚翼의 「文集識文」에서는 그 동안 「愚齋先生實記」에서 다루지 않았던 김종직과 그의 제자 김굉필, 정여창을 언급하면서 손중돈과의 연결을 시도한 흔적이 보인다. 이것은 아마도 후손된 입장에서 서원 건립과 문집의 발간을 통해 선조를 선양하는 일환으로, 『實記』의 편찬과정에서 생긴 사회적 오류로 인식이 된다. 이것은 일방적인 『愚齋集』만의 주장인 것이다.
      그리고 『愚齋先生實記』 年譜에서 손중돈은 22세에 김종직의 문인으로 있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18세기경 후손의 입장에서 기술된 자료에 불과하며 김종직과 사승관계를 나타내는 어떤 자료도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부친인 손소와의 관계만 드러나 있을 뿐이다. 즉 손중돈을 부친 손소와 김종직의 동문수학 경우를 갖고, 후학들의 지나친 加添으로 자연스레 김종직과 연결 지었다. 그 외적이유로 초기 사림파의 거두 김종직과 손소(부친)의 관계를 이용해서 자신들의 입지를 굳히고, 내적이유로 외손인 이언적과의 사승관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명분을 세우고자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2 김보경,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267-311, 2014

      3 손혁, "조선조 영남학맥 경주고을 두 인물의 내력:전기 愚齋(孫仲暾)와 후기 近庵(崔鋈)에 대해서" 경주문화원 11 : 2005

      4 김남이, "조선 전기 지성사의 관점에서 본 佔畢齋와 그 門人들의 관계 − 초기 士林의 형성과 관련하여" 동양고전연구소 23 (23): 7-44, 2012

      5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젊은 제자들:조선의 인문정신을 열어간 사람들" 지식과교양 2011

      6 강석근, "우재 손중돈" 경주문화원 15 : 2006

      7 김희정,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과 '향단'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孫汝斗, "魯岑文集"

      9 권용옥, "韩国良佐洞(良洞村)儒学遗产的保存" 한국중국문화학회 33 (33): 267-284, 2011

      10 金宏弼, "景賢錄" 한훤당선생기념사업회 2004

      1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2 김보경,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267-311, 2014

      3 손혁, "조선조 영남학맥 경주고을 두 인물의 내력:전기 愚齋(孫仲暾)와 후기 近庵(崔鋈)에 대해서" 경주문화원 11 : 2005

      4 김남이, "조선 전기 지성사의 관점에서 본 佔畢齋와 그 門人들의 관계 − 초기 士林의 형성과 관련하여" 동양고전연구소 23 (23): 7-44, 2012

      5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젊은 제자들:조선의 인문정신을 열어간 사람들" 지식과교양 2011

      6 강석근, "우재 손중돈" 경주문화원 15 : 2006

      7 김희정,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과 '향단'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孫汝斗, "魯岑文集"

      9 권용옥, "韩国良佐洞(良洞村)儒学遗产的保存" 한국중국문화학회 33 (33): 267-284, 2011

      10 金宏弼, "景賢錄" 한훤당선생기념사업회 2004

      11 孫仲暾, "愚齋先生文集" 觀稼亭 1935

      12 孫昭, "國譯 襄敏公集" 동강서원 1987

      13 孫昭, "國譯 襄敏公集" 동강서원 2009

      14 孫仲暾, "國譯 愚齋集" 동강서원 1983

      15 孫仲暾, "國譯 愚齋集" 동강서원 2009

      16 鄭汝昌, "一蠹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17 허권수, "?畢齋 金宗直의 先導와 江右學派" 경남문화연구원 20 (20): 1-29, 2005

      18 심영환, "15세기말 孫仲暾 五品以下告身 復元" 문헌과해석사 56 :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