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2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dialogical aspects in Sijo by focusing on its reception aspects of Chinese poems and folk songs. The dialogical Chinese poems are translated or transformed into dialogical forms, or expanded into long dialogical styles. In the case...

      This paper examines dialogical aspects in Sijo by focusing on its reception aspects of Chinese poems and folk songs. The dialogical Chinese poems are translated or transformed into dialogical forms, or expanded into long dialogical styles. In the case of folk songs, the dialogical lyrics are directly accommodated, altered, summarized and refined into those of Sijo. Indeed, the Chinese poems and folk songs greatly influence the dialogical style of Sijo.
      As for the narratives, classical novels and historical episodes are also accommodated. Dialogical scenes of novels or its embellishment scenes are adopted. As in the historical episodes, some focused on persons or others on episodes themselves. This shows that the dialogical style of Sijo reflects the fusion of various literary genres, strong trends of prose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nd travel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advent of professional singers and storytellers.
      Finally, the appearance of dialogical style in Sijo enables the genre to lengthen its stanza and assimilate other genres' style into its own formal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t actively adopts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the period and expands its genre multipli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연구 초기부터 논의되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진 못 하였다. 다만 장시조의 형식적 특성이나 시적화자를 논의하면서 간헐적으로 언급될 뿐이며, 구체적인 ...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연구 초기부터 논의되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진 못 하였다. 다만 장시조의 형식적 특성이나 시적화자를 논의하면서 간헐적으로 언급될 뿐이며, 구체적인 장르 수용을 통한 실체를 밝힌 논의는 영성하다.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양상을 타 장르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와 주변장르의 관계는 총 100수 중 40수가 확인되는데 먼저 서정양식의 한시와 민요가 15수씩이며 서사양식으로 고소설이 6수이고 역사적 고사로 4수가 확인된다. 가장 많이 수용된 것은 서정양식인 한시와 민요이고 서사양식인 고소설과 역사적 고사도 적지 않은 작품이 수용되었다. 실명씨는 金壽長이 3수이고 申獻朝와 朴仁老가 1수씩 밝혀졌으며, 형태상으로는 장시조가 단시조보다 3배 가량 더 많았다.
      다음으로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서정양식으로 한시 중에서 중국의 문답시와 의문형으로 끝난 것을 수용하였으며, 수용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먼저 대화체 한시를 번역하여 수용한 경우와 한시를 대화 형식으로 변환한 경우, 그리고 한시를 확장하여 장형의 대화체로 수용한 경우 등이다. 한편 민요는 대화체 가사가 직접 수용된 경우와 가사를 변개하여 수용한 경우, 그리고 민요의 가사가 요약ㆍ정제된 경우가 있었다. 이를 통해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한시와 민요가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사양식은 고소설과 역사적 고사가 수용되었다. 먼저 고소설은 중국 소설인 『三國志演義』와 한국 소설인 『淑香傳』이 수용되었다. 수용양상은 소설의 대화 장면을 수용한 경우와 소설의 대화 장면을 윤색하여 수용한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역사적 고사는 인물과 관련된 고사가 수용된 경우와 사건을 중심으로 수용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시조의 대화체는 조선후기에 성행한 산문화와 연행문학의 발달, 그리고 전문 가객의 등장으로 장르간의 활발한 교섭을 통해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의미는 연행현장의 특성을 배가시켰다는 점과 타 장르의 대화체를 시조의 형식적 특성으로 정착시켰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조선후기 문학과 사회적 변동에 의하여 타 장르의 대화 형식을 적극 수용한 것으로 장르적 다층성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며 정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 수용 개관
      • Ⅲ. 서정양식의 수용양상
      • Ⅳ. 서사양식의 수용양상
      • 국문초록
      • Ⅰ. 序論
      • Ⅱ.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 수용 개관
      • Ⅲ. 서정양식의 수용양상
      • Ⅳ. 서사양식의 수용양상
      • Ⅴ.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의미
      • Ⅵ.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영, "한국 서사문학의 연행양상" 이회 1999

      2 김은희, "조선후기 가창문학의 존재양상" 보고사 2005

      3 朴基豪, "장시조의 시적화자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7

      4 변승구, "장시조의 개방성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8

      5 이노형, "장르교섭과 고전시가" 月印 1999

      6 박준규, "사설시조의 시적 화자와 미의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7 권정은, "문답형 자연시조의 유형과 존재 의의" 국어국문학회 (144) : 177-208, 2006

      8 변승구, "대화체 시조의 유형과 의미" 어문연구학회 67 : 29-61, 2011

      9 최동안, "대화체 사설시조의 화자에 대하여, In 성심어문논집 20‧21집" 성심어문학회 1999

      10 임동권, "韓國民謠集Ⅰ-Ⅶ" 집문당 1961

      1 김진영, "한국 서사문학의 연행양상" 이회 1999

      2 김은희, "조선후기 가창문학의 존재양상" 보고사 2005

      3 朴基豪, "장시조의 시적화자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87

      4 변승구, "장시조의 개방성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8

      5 이노형, "장르교섭과 고전시가" 月印 1999

      6 박준규, "사설시조의 시적 화자와 미의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7 권정은, "문답형 자연시조의 유형과 존재 의의" 국어국문학회 (144) : 177-208, 2006

      8 변승구, "대화체 시조의 유형과 의미" 어문연구학회 67 : 29-61, 2011

      9 최동안, "대화체 사설시조의 화자에 대하여, In 성심어문논집 20‧21집" 성심어문학회 1999

      10 임동권, "韓國民謠集Ⅰ-Ⅶ" 집문당 1961

      11 "韓國時調大事典(別刷補遺)" 아세아문화사

      12 박을수, "韓國時調大事典(上․下)" 아세아문화사 1992

      13 이경선, "韓國文學 作品에 끼친 <三國志演義>의 影響, In 論文集 5輯" 한양대학교 1971

      14 임종찬, "長時調의 文藝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3

      15 신은경, "辭說時調의 詩學的 硏究" 개문사 1995

      16 김중렬, "辭說時調의 形成에 미친 唐詩의 影響, In 語文論集 第19輯" 安岩語文學會 1977

      17 김용찬, "朝鮮後期 時調에 나타난 小說 受容의 樣相, In 語文論集 32輯" 안암어문학회 1993

      18 주강식, "時調와 民謠와의 關係, In 論文集 第21輯" 부산교육대학교 1985

      19 심재완, "時調作品의 漢詩文 受容에 대한 考察, In 韓國學報 5輯" 일지사 1979

      20 趙明德, "對話體時調의 陳述構造에 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21 고정옥, "古長時調選註" 정음사 1949

      22 朴宰沅, "Hemingway의 文體와 技法연구"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23 김석희, "19세기의 時調 漢譯과 漢詩의 時調化" 월인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3-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onchunhyang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The Institute of Humanities at Soonchunhyang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7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