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익산 왕궁리유적 납유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 Chemical Compositions and Lead Isotope Ratios of The Lead Glass from Wanggung-ni, Iksan, Chollabuk-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00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북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9점의 녹색 유리 편을 입수하였고 과학 분석을 통하여 이를 특성화하였다. 각 시료로부터 각 5종의 산화물을 분석한 결과 모두 납유리(PbO-SiO₂) 계통임을 알 수 있...

      전북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9점의 녹색 유리 편을 입수하였고 과학 분석을 통하여 이를 특성화하였다. 각 시료로부터 각 5종의 산화물을 분석한 결과 모두 납유리(PbO-SiO₂) 계통임을 알 수 있었는데 납의 함량은 71~74% 범위에, 실리카는 26~29% 범위이었다. 납유리의 비중은 대략 4.4~5.8 범위이며 용해온도는 670℃ 부근으로 추정되었다. 유리가 녹색을 띠는 것은 불순물로서 철과 구리 산화물에 의한 것이다. 납유리 제조에 사용한 납 원료의 산지추정을 위해 납동위원소비를 측정한 결과 경기도 부평지역 광산이 유력시된다.
      또한 왕궁리유적 납유리와 인근 미륵사지 납유리를 비교한 결과 유리의 색깔, 성분조성, 비중 및 납동위원소비 등이 모두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왕궁리와 미륵사는 납유리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 입수장소 및 제조공정 기술을 함께 공유하였음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racteristics of lead glass from Wanggung-ni : Nine glass pieces of Wanggung-ni were analyzed for five oxides and found that all was lead glass system(PbO-SiO2) with the range of 71~74% for PbO and 26~29% for SiO2. The concentrations of oxides such ...

      Characteristics of lead glass from Wanggung-ni : Nine glass pieces of Wanggung-ni were analyzed for five oxides and found that all was lead glass system(PbO-SiO2) with the range of 71~74% for PbO and 26~29% for SiO2. The concentrations of oxides such as A12O3, Fe203 and CuO were all below 0.4%. Most of lead glasses were greenish by the efficacy of iron and copper oxides and some showed yellowish-green. The gravity of lead glasses was about 4.4~5.8 and estimated melting point was near 670. Lead isotope ratios of glasses were analyzed and found quite close to a lead ore from the Bupyeong mine in Gyeonggi-do.
      Comparison with lead glasses of Mireuksa Temple : Lead glasses of Wanggung-ni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ireuksa Temple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physical data. Chemical compositions, density and melting temperature of lead glasses of Wanggung-ni were nearly similar with those of Mireuksa Temple. And lead isotope ratios of those were also according with each other. These results have shown that they hold the same raw materials and technology for glass making in common and so,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each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분석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맺음말
      • 요약
      • Ⅰ. 머리말
      • Ⅱ. 분석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경미, "황남대총 98호분 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국립중앙박물관 61-74, 1999

      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2001.12

      3 유혜선, "부여 능산리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陵寺" 국립부여박물관 8 : 241-248, 2000

      4 "백제 대형 건축물 흔적" 2002.11

      5 강형태, "考古資料의 自然科學 應用(II)-益山 彌勒寺址 납琉璃의 製造 및 流通-〉" 國立文化財硏究所 36 : 241-266, 2003.12

      6 "益山 王宮里遺蹟(2003년도) 發掘調査-指導委員會議資料-"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3

      7 "益山 王宮里』發掘調査報告 IV" 32 : 268-288, 2002.12

      8 "王宮里遺蹟 發掘調査-指導委員會議資料-"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2.11

      9 유혜선, "武寧王陵出土 琉璃의 科學的 分析, 百濟 斯麻王" 국립공주박물관 209-214, 2001.6

      10 平尾良光, "古代東アジア靑銅の流通" 鶴山堂 出版部 63-84, 2001

      1 조경미, "황남대총 98호분 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국립중앙박물관 61-74, 1999

      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2001.12

      3 유혜선, "부여 능산리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 陵寺" 국립부여박물관 8 : 241-248, 2000

      4 "백제 대형 건축물 흔적" 2002.11

      5 강형태, "考古資料의 自然科學 應用(II)-益山 彌勒寺址 납琉璃의 製造 및 流通-〉" 國立文化財硏究所 36 : 241-266, 2003.12

      6 "益山 王宮里遺蹟(2003년도) 發掘調査-指導委員會議資料-"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3

      7 "益山 王宮里』發掘調査報告 IV" 32 : 268-288, 2002.12

      8 "王宮里遺蹟 發掘調査-指導委員會議資料-"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2.11

      9 유혜선, "武寧王陵出土 琉璃의 科學的 分析, 百濟 斯麻王" 국립공주박물관 209-214, 2001.6

      10 平尾良光, "古代東アジア靑銅の流通" 鶴山堂 出版部 63-84, 2001

      11 "〈한국 고대유리의 국내제조에 대하여〉 《선사와 고대》 1" 1-7, 1991

      12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분석적 연구" 韓國大學博物館 協會 79-96, 1989

      13 No, "〈鉛同位體比法による漢式鏡の硏究" 16-26, 1983

      14 "〈東アジア鉛鑛石の鉛同位體比〉" -73, 1987

      15 김규호, "SEM-EDS를 이용한 임당유적 출토 유리질 구슬의 재질분석" 한국토지공사한국문화재보호재단 24 : 183-192, 1998

      16 김규호, "SEM-EDS를 이용한 경남 김해 양동리 출토 유리구슬의 분석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1 (1): 23-30, 1998

      17 Brill, "Recent Adv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Materials" 1974

      18 Brill, R.H., "PROCEEDING OF XVII INTERNATIOAL CONGRESS ON GLASS" CHINESE CERAMIC SOCIETY 491-496, 1995

      19 Barnes I, "Lead Isotope Determination and Elemental Analysis of Some Shang and Zhou Dynasty Bronze Vessels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MA" 21-26, 1986

      20 Brill R, "Lead Isotopes in Some Japanese and Chinese Glasses Freer Gallery of Art" 87-109, 1979

      21 Mirti, P, "Glass fragments from the Crypta Balbi in Rome The composition of eighth-century fragments" Archaeometry 43 (43): 491-502, 2001

      22 Koezuka T, Yamadsaki K,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A Historical Survey-," Chinese Ceramic Society 469-474, 1995

      23 Koezuka Takayasu,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Bulletin of the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86 : 233-249, 2001

      24 Brill, "Chemical Analyses of Some Early Chinese Glasses SCIENTIFIC RESEARCH IN EARLY CHINESE GLASS Proceedings of The Archaeometry of Glass Sessions of the 1984 International Symposium on Glass" 31-7 58, 1991

      25 C Lee, "Characterization of Korean Ancient Glass Pieces by Pattern Recogni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113-124, 1992

      26 I, "Analytical Data of Ancient Glasses from Southern Part of Korea Annual Bulleti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79-96, 1991

      27 Brill,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967

      28 肥塚隆保, ",〈古代珪酸塩ガラスの硏究, -彌生~奈良時代のガラス材質の變遷-〉" 奈良文化財硏究所 929-967,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