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형도 시의 몸 상상력 연구 = A study on the Body Imagination in Gi, Hyeong-Do'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8569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101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종철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인의 시적 상상력은 ‘몸’에서부터 비롯된다는 관점에서부터 출발하고자 한다. ‘몸’은 우리가 세계에 속하여 실존의 상태를 느끼는 직접적인 물질이자 매개체이며, 세계의 다...

      본고는 시인의 시적 상상력은 ‘몸’에서부터 비롯된다는 관점에서부터 출발하고자 한다.
      ‘몸’은 우리가 세계에 속하여 실존의 상태를 느끼는 직접적인 물질이자 매개체이며, 세계의 다른 존재물질과 소통하는데 있어 매개체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시인이 세계에 형태 및 의미를 부여 하는데 있어서도 ‘몸’은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몸’은 신체-주관으로서, 의식의 지향성 곧 정신을 내재한 몸이다. 정신과 몸은 하나로, 정신은 몸을 통해서 몸은 정신을 통해서 그 실체를 드러낸다. 그리고 의식의 지향성이 변하면 현상도 다양해진다. 하지만, 현상이 다양해진다고 해서 실체의 항구적인 속성을 변모시키는 것은 아니다. 실체는 항상 ‘있다’. 다만 우리 세계 내에서 의식의 지향방향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뿐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몸’의 특성을 전제하고, 기형도 시를 몸의 상상력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상상력은 시인이 세계를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상상력은 정신과 자연을 연결시켜 ‘무한한 존재의 영원한 창조 행위를 유한한 정신 속에서 반복’하는 것으로 그 창조적인 힘이 시인이 지향하는 세계와 세계가 담긴 시작품의 의미를 발산시키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제 2장에서는 자연에 속하는 나무와 구름 이미지를 통해서 시인이 지향한 몸의 실체(본질)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형도 시인에게 있어서 ‘자연’은 고통이자 위대한 잠언이었다. 고통은 삶의 필연적인 한 부분이요 삶의 뿌리에 놓여있는 것으로, 사람의 삶을 괴롭게 하나 동시에 더욱 풍부하게 하고 짐승이나 기계와는 다른 인간으로 만든다. 즉 어떤 면에서 고통은 생명을 지탱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에게 있어 ‘자연’이란 이와 같은 양가적 의미를 가진다. 이 양가성이 생명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그의 시에서 등장하는 중요한 두 가지 이미지는 나무와 구름 이미지이다. 나무와 구름은 각각 대지와 하늘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런데 이 ‘사이’에는 인간이 있고, 인간은 ‘몸’으로 존재한다. 자연의 큰 범주에 들어가는 대지와 하늘에 나무와 구름, 인간이 내재해 있는 것이다. 필자는 기형도 시인이 지향하는 순수한 ‘몸’이 나무?구름이미지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시인이 지향한 몸을 형상화한 나무와 구름 이미지를 찾고, 그 이미지를 통해 몸의 ‘실체성’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것이다. 몸의 생명력을 지탱하게 하는 실체성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것이 여기서의 핵심이다.
      그러나 시인의 순수 몸 지향성은 생활세계 공간의 차단과 분절성으로 인해 변형된다. 우리가 존재하는 세계는 많이 분화되어 다양해졌고, 특히 도시생활로의 급격한 이탈은 세계를 받아들이는 몸의 양상도 혼란을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제 3장에서는 세계의 분절과 단절로 인해 시인이 지향하는 몸의 실체가 변형되는 것에 주목하여, 몸의 소통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시공간 이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소통 불능의 시공간에 의해 변형된 몸의 이미지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변형된 몸 이미지들을 찾는 목적은 겨울의 도시공간이 시적화자에게 부정적인 의식지향성을 갖게 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또한 변형이미지 표현은 시인이 신체에 의해 인식한 자발적?능동적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제 4장에서는 위와 같은 인식을 통하여 순수 몸으로의 회복을 위한 시인의 몸부림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외투는 세계의 실존 상황에서 몸을 방어하기 위한 이미지로, 말(言)과 침묵의 은유는 자연과 몸이 차단된 공간상황에서 저항과 방어의 은유로 어떻게 형상화되고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또한 자연의 물질 이미지에 속하는 불과 바람은 시인이 지향하는 몸의 실체로 회귀, 접근하는데 어떠한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제 5 장 통합을 위한 해체의 방식은 시인이 궁극적으로 몸의 실체(본질)로 향하고자 하는 환원의 한 방식이다. 해체는 해체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시 통합을 이끌어내는 하나의 과정이다. 즉, 자연의 순환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여 생명력을 지속하듯이, 시인 또한 나무와 구름 이미지로 형상화된 자신의 몸을 어떠한 기투의 몸짓을 통해 해체, 소멸하여 생성을 준비하고자 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기형도 시를 평가할 때 이제까지 ‘죽음’으로 편향된 시각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본고가 고찰하고자 하는 기형도 시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벗어난다. 즉, 죽음이 사전적으로 의미하는 ‘끊어짐’이 아닌 자연의 순환론적 ‘몸’으로써 생성과 소멸이 불가능한 도시의 고착된 생활세계를 부딪쳐 살아내고, 생명력을 지키고자 한다. 기형도 시의 의의는 현실의 갈등과 고뇌에도 불구하고 생명력을 포기하지 않고 자연의 ‘몸’을 통해 생명의 지향성을 표현한 데에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begin with the view that a poet’s poetic imagination originates from the ‘body.’ The ‘body’is an immediate material and medium with which we feel the state of existence as we belong to the world, and is a medium for our ...

      This study tries to begin with the view that a poet’s poetic imagination originates from the ‘body.’
      The ‘body’is an immediate material and medium with which we feel the state of existence as we belong to the world, and is a medium for our communication with other existential materials in the world. As such, the ‘body’ is an important medium in the poet assigning forms and meanings to the world. Having these properties, the ‘body.’ as a bodily-subject, is a body possessing the spiritual orientation, i.e. possessing the mind. As the mind and the body are one, the former reveals its substance through the latter while the latter through the former. And, phenomena vary when the spiritual orientation is changed. However, it is not the case that the substance’s permanent properties are changed even if phenomena vary. The substance always ‘exists’. Rather, the form varies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spiritual orientation within our world.
      Presupposing these properties of the ‘body,’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Gi Hyeong-do’s poems with the imagination of the ‘body.’ Imagination is important in how a poet understand the world. This is because the creative power of imagination spreads the meanings of the world toward which the poet is oriented and of the poetic works containing the world as it ‘repeats endless action of creation by the infinite existence in the finite minds’ by connecting the minds with nature.
      Thus, chapter 2 trie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the essence) of the body toward which the poet is oriented through the images of trees and clouds, which belong to nature. For the poet Gi Hyeong-do, ‘nature’ is pain as well as a great aphorism. As it is a necessary part of life and is placed in the root of life, pain enriches humans’life and makes them different from animals an machines while it troubles humans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pain operates as a force supporting life in some sense. For him, ‘nature’ has such an ambivalent meaning. This ambivalence plays the role of maintaining vitality.
      The two important images appearing in his poems are those of trees and clouds. Trees and clouds are rooted in the great earth and the sky respectively. However, there is the human in this ‘between,’ and the human exists as ‘body.’ In the space between the great earth and the sky, both of which enter into the great category of nature, trees, clouds, and the human exist. The present author judges that the pure ‘body’ toward which the poet Gi Hyeong-do is oriented appears through trees and clouds, both of which coexist with the human in the same space. Thus chapter 2 looks for the images of the trees and clouds that the poet figure the body toward which he is oriented, and investigates through the images what is the ‘substantiality’ of the body. The gist of chapter 2 is to examine what is the substantiality that supports the body’s vitality.
      However, the poet’s pure orientedness toward the body is transformed due to the blockage and segmentation of the spaces of the living world. This is because the world in which we exist is much divided and diversified, and especially the rapid escape toward city lif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spects of the body that accepts the world have imposed much on the confusion.
      Subsequently, chapter 3,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ubstance of the body toward which the poet is oriented is transformed due to the segmentation and blockage of the world, takes a look at the spatio-temporal images that make the body’s communication impossible, and concretely investigates the images of the body transformed by such a time-space where th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 expression of the transformed images is a volitional-active outcome recognized by the body due to the change of spiritual orientation that the poet has undergone in the time-space.
      Chapter 4 trie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poet’s writhe for restoration back to the pure body with the recognition as mentioned above. It investigates how the overcoat is figured and used as the image for the protection of the body, and the metaphor of language and silence as that of resistance of defense in such a spatial situation where nature and the body are blocked. Also it investigates in what images the fire and wind, both of which belong to the material images of nature, are expressed for returning and approaching to the body’s substance.
      The method of deconstruction for the integration, which is examined in chapter 5, is that of reduction in which the poet ultimately tries to orient himself toward the substance (the essence) of the body. The deconstruction does not end with deconstruction, but is a process that elicits integration again. That is to say, chapter 5 investigates through what gestures of ‘Entwurf’(企投) the poet prepares his body figured in the images of trees and clouds to extinguish and generate as the cycle of nature continues its vitality by repeating generation and extinction.
      So far, the majority of the evaluations of Gi’s poems have been much biased to in favor of ‘death.’ However, his poems that this study tries to examine escape from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That is to say, the death is not ‘to be cut,’ as the meaning in the dictionary, but does makes efforts to live out the adhered living world in the city where nature’s cyclic ‘body’ cannot be generated and extinguish by running into the living world of the city, and protect the vitality. The significance of Gi Hyeong-do’s poems lies in the fact that they don’t give up the vitality and express life’s orientation through nature’s ‘body’despite the conflicts and agonies in the re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1
      • 1.2 연구 방법 및 목적 = 8
      • 제2장 자연 이미지로 형상화된 몸의 실체 = 20
      • 2.1 계절의 순환-나무 이미지 = 21
      • 제1장 서론 =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 1
      • 1.2 연구 방법 및 목적 = 8
      • 제2장 자연 이미지로 형상화된 몸의 실체 = 20
      • 2.1 계절의 순환-나무 이미지 = 21
      • 2.2 물의 순환-구름 이미지 = 32
      • 제3장 소통불능의 시공간 이미지와 몸의 변형 = 40
      • 3.1 자연과 몸의 순환을 차단하는 겨울도시 = 40
      • 3.2 몸의 변형-사물(死物) 이미지 = 56
      • 제4장 생명력을 찾기 위한 몸부림 = 65
      • 4.1 방어의 이미지-외투 = 65
      • 4.2 저항과 방어의 은유-말(言), 침묵 = 69
      • 4.3 희망 찾기의 이미지- 불, 바람 = 77
      • 제5장 통합을 위한 해체 = 85
      • 5.1 나무로 회귀하기 위한 해체 = 85
      • 5.2 구름으로 회귀하기 위한 해체 = 90
      • 제6장 결론 = 94
      • 參考文獻 =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