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육과정, 전남련, 양서원, , 2008
2. 보육통계, 여성가족부, , 2007
3. 적응심리, 김인지, , 1983
4. Prime times. St, Greenman, Stonehouse, Schweikert, , 2008
5. 사랑의 발견, the science of affection.임지원, Blum, , 2005
6. 영아교육과정, 장영희, 양서원, , 2000
7. Attachment and loss, Bowlby, John, Penguin Books, Attachment and Loss, , 1978
8. Attachment over time, Lewis, Rosenthal, Feiring, , 2000
9. Infants and children, Berk, Laura E, Pearson/Allyn and Bacon, , 2004
10. Patterns of attachment, Ainsworth, M. D, Patterns of attachment, , 1978
11. 평가인증 지침서, 보건복지부, , 2010
12. 영아 발달과 보육, 이영, 한국아동학회, , 2000
13. Manual for new enrollment, Blue skies for children, , 2010
14. Temperament and development, Chess, Tomas, Temperament and development, , 1977
15. 역서, 인간발달생태학, Bronfenbrenner, "역서, , 1995
16.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 이숙재, 창지사, , 1999
17. Infant, toddlers, and caregivers, Eyer, Gonzalez-Mena, "Infant, , 2007
18. Patterns of adjustment (3rd ed.), Lazarus,R.S, Patterns of adjustment (3rd ed.), , 1976
19. 3살까지는 엄마가 키워라, Biddulph, Steve, 북섬, , 2007
20. Infant /toddler care and education, Weiser, Infant/toddler care and education, , 1991
21. 0세아의 어린이집 적응하기, 중앙청사어린이집, 정민사, , 2006
22. 2010 연차별 자체점검보고서, 한국보육진흥원, , 2010
23. Manual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Gerber, , 1979
24.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Lorton, John W, Van Nostrand, , 1979
25.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Bowlby, , 1958
26. Narrative processes and attachment representations: Issues of development and assessment. In E. Waters, B. E., Vaughn, G., Posada, K., Kondo-Ikemura(Eds.), Caregiving, cultural, and cogintive perspective on secure-base behavior and working models: New growing points o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Oppenheim, Water, "Narrative processes and attachment representations: Issues of development and assessment. In E. Waters, , 1995
27. 영유아 발달을 지원하는 보육과정, 이완희, 이은상, 김현주, , 2008
28. Predictors of children's adjustment to daycare, Zajdeman, Minnes, , 1991
29.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박찬옥, 정민사, , 2010
30.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세계 구성 과정, 이용주,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4
31. The concept of adjustment and the problem of norms, Hinshaw, , 1942
32. 영아의 새로운 환경의 적응 과정 탐색, 심현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33. Establishing a balance home and child care settings, Lamb, Ahnert, , 2003
34. Infant day care faciliatespreschool social behavior, Field, Masi, Perry, Infant day care faciliates preschool social behavior, , 1988
35. Teachers’ dussions of emtion in chld care centers, Ahn, , 2005
36. Child 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carr, McCartney, Pillips, , 1987
37.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구수연, , 2004
38.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toddler's compliance, Olenick, Howes,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 1986
39.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정은혜, 정은혜, 숙명여자대학교, , 2001
40. Infant-Toddler Education: Principles, practices,and promises, Honig, "Infant-Toddler Education: Principles, , 1990
41. Temperament and attachment security in the strange situation, Belsky, Rovine, , 1987
42.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성영혜, 신현정,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센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43. 영아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김영애, 김희진, , 2008
44. 영아의 초기 적응을 위한 교사의 보육활동 연구, 강유미, , 2007
45.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도의 관계, 박건미,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 2009
46. Challenging our assumptions: Helping a baby adjust to center care, Elliot, Elliot, E., , 2003
47. Second home - A day in the life of a model early childhood program, Bainer, Hale, , 2007
48. 어머니와 자녀가 유치원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희영(Lee Hee-Yeong), , 2001
49. 유아의 또래수용도, 정서지능, 적응행동과의 관계, 장정희, "유아의 또래수용도, , 2005
50.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김경란,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6
51.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5월 24일(월) 조간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5월24일(월) 조간 보도자료, , 2010
52.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오종은, 박경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세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53. Infant and toddler program-A guide to very early childhood education, Caraldo, , 1983
54. 보육시설의 영유아를 위한 적응 프로그램 실시현황,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 2010
55.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김난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56. 보육시설 입소 영유아의 초기적응 지도에 관한 연구, 김태자,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2008
57. 어린이집에서의 영아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시 현황:, 이은경, 이은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6
58.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attachmentfrominfancythroughadolescence, Hamilton, Hamilton, C. 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attachment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 2000
59. 역서, 애착-인간행동에 대한 과학적 탐구. 서울: 나남, 김창대, "역서, , 2009
60. And so to school. A study of continuity from preschool to infant school, Cleave, Bate, Jowett, , 1982
61. The adjustment of infants and toddlers to group care: the first 6 months, Fein, Gariboldi, Boni, , 1993
62. A community assessment of preschool provide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Eiserman, Shisler, Healey, , 1995
63. 애착증진을 위한 영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주영은(Joo Young Eun), 한국보육학회, "한국 보육학회지, , 2007
64. 유아의 유치원 적응 관련변인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최순덕, , 2007
65.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and infant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Nabors, Bryant, Burchinal, Roberts, , 1996
66. 보육시설의 영아 초기 적응지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이혜숙, , 2007
67. Effect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language development, McCartney, , 1984
68. 만 1세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 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지수, 만1세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2008
6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유치원 초기 적응과의 관계, 장혜정, 장혜정,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70. Educating and caring for very young children : The infant/toddler curriculum, Torelli, Reid, Bergen, , 2009
71. Factors to be considered in integrated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review, Brophy, Hancock, Tari, , 1989
72.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보육프로그램 특성 및 방향, 이희선, , 2001
73.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선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74. Social and emotional adjustment of infants and toddlers to a day care setting, McCutcheon, Calhoun, , 1976
75.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을 위한 교사의 지도 방법 연구, 소재진,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76.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한국보육진흥원, , 2010
77.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우현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997
78. 영아 초기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도 조사, 김소희,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79.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허정숙, , 2008
80. 영아의 초기 적응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 조사, 박유리,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07
81.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Factorscontributing to positive caregiving, Research Network,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Factors contributing to positive caregiving, , 1996
82. Here, we call it "drop off and pickup": Transition to child care, American-style, New, "Here, , 1999
83. Parent's beliefs about their children's cognitive, social, and motor functioning, Stoiber, "Parent's beliefs about their children's cognitive, , 1992
84.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원영미, 원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 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 1990
85. 1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 프로그램 및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채영란(Chae Young-Ran), 김희정(Kim Hi Jung), 박희숙(Park Hee-Suk),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2008
86. Day care quality, family and child characteristic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Hagekull, Bohlin, "Day care quality, , 1995
87. Effects of transitions to new childclasses on infant/toddler distress and behavior, Cryer, Effects of transitions to new child classes on infant/toddler distress and behavior, , 2005
88. Early child care and self-control compliance,and problem behavior at 24 and 36 months, Research Network, "Early child care and self-control, , 1998
89. 어린이집 영아의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지도방법, 이동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어린이집 영아의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지도 방법, , 2009
90.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이희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영유아보육학회지, , 1995
91. M어린이집 만2세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정은숙, 아주대학교 대학원, , 2010
92.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및 애착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영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93. Attachmentexplorationandseparationillustratedbythebehaviorofone-year-oldsinastrangesituation, Ainsworth, "Attachment, , 1970
94. Transition to school : Looking Forward. originally published at: www.aeca.org.au/darconfmarg, Margetts, , 1999
95. Relationship duration in infant care:Time with ahighabilityteacherandinfant-teacherattachment, Raikes, Relationship duration in infant care: Time with a high ability teacher and infant-teacher attachment, , 1993
96. 보육시설 영아 적응프로그램이 애착안정성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영애,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학과, 진주산업대 벤처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97. Caregiver stability and toddlers’' attachment-related behavior towards caregivers in daycare, Cummings, Barnas, , 1994
98.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취업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99. Mother-child discourseattachment security, shared positive affect, and earlyconsciencedevelopment, Laible, Thompson, "Mother-child discourse, , 2000
100.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성이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 대학원, 박병옥, , 2009
101. Biology and Knowledge: An Essay on the Relations between Organic Regulations and Cognitive Process, Piaget, , 1971
102. Caregiverperceptions and child-caregiver interactions in a newlyinclusive infant child care center, Recchia, Hsiung, Berr, Caregiver perceptions and child-caregiver interactions in a newly inclusive infant child care center, , 1998
103. 영아의 기질에 따른 기관 적응 및 또래와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임은혜, 덕성여자대학교, 영아의 기질에 따른 기관적응 및 또래와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2005
104.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child careteachers: Stability and concordance with parental attachments, Howes, Hamilton, , 1992
105.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에서의 행동 및 적응과의 관계, 김혜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5
106.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Ladd, Troop-Gordon, , 2003
107. 유치원의 신입 원아 오리엔테이션 및 초기적응 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박민혜, 박민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치원의 신입 원아 오리엔테이션 및 초기 적응 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 2007
108.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Ladd, Price, , 1987
109. 직장보육시설 영아교사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 영아발달을 고려한 일상생활지도, 근로복지공단, , 2010
110. Toddlers’ emotional reactions to separation from their primary caregivers: successful home-school transition, Xu, , 2006
111. 어머니의 격리불안 및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과 그들의 종일반 탁아기관에서의 적응, 김민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112. Attachment from infancy to early adulthood in a high-risk sample: Continuity, discontinuity, and their correlates, Weinfield, Egeland, Sroufe, "Attachment from infancy to early adulthood in a high-risk sample: continuity, , 2000
113. 보육시설 초기적응과정의 영아 행동특징과 변화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류 경, , 2000
114.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유아교육학술대회. 성숙한 감성교육의 방향 모색: 유아교육, 문용린, , 1996
115. Enhancing infant-toddler adjustment during transitions to child care: A screening and intervention tool for practioners, Fernandez, Marfo, , 2005
116. 보육프로그램. 유희정, 김은영, 박진재, 오경숙, 최혜선. 육아 정책연구소 보육프로그램 2권, 보건복지부, "보육프로그램. 유희정, , 2010
117. Quality of infants' attachments to professional caregivers: Relation to infant-parent attachment and daycare characteristics, Ijzendoom, Goossens, , 1990
118. Can the age of entry into child car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edict adjustment in kindergarten? Developmental Psychology, Howes, , 1990
119. 부모-자녀의 애착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및 보육기관에서의 적응과의 관계.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심용자, , 2007
120.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Howes, Hamilton, , 1993
121.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Howes, Hamilton, , 1993
122. The impact of out-of-home care on child-mother attachment quality : Another look at some enduring questions, In 1. Bretherton & E. Walters(Eds, Walters, Vaughn, Dean, "The impact of out-of-home care on child-mother attachment quality : Another look at some enduring questions, , 1985
123. 유아의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성별, 기질, 취원기간,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심으로, 이영숙, 세종대학교 대학원, "유아의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성별, , 2005
124. Infant-caregiver attachment and patterns of adaptation in preschool: The roots of maladaptation and competence. In M. Perlmutter (Ed.), Minnesota symposium in child psychology, 16, 41-81, Sroufe, "Infant-caregiver attachment and patterns of adaptation in preschool: The roots of maladaptation and competence. In M. Perlmutter (Ed.), ,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