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론송』의 팔불연기는 연속적인가, 불연속적인가 = Is the Eight Negations in Mūlamadhyamakakārikā Continuous? or Discontinuo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2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there are double-sided perspectiv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vādaśāṅgaparīkṣānāmaṣ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there are double-sided perspectiv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vādaśāṅgaparīkṣānāmaṣaḍvimśatitamam prakaraṇam of his book Mūlamadhyamakakārikā, Nāgārjuna described anuloma and paṭiloma of the traditional pratītyasamutpāda theor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a simple manner without expressing any of his personal interpretations. Unlike in the previous 25 chapters where the eight negations were explained, Nāgārjuna never used the word emptiness or śūnyatā-artha in the 26th chapter. The traditional pratītyasamutpāda theory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its appearance, contradicts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Scholars have always had vastly different views on how Nāgārjuna interprete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Mūlamadhyamakakārikā. Why? It is because mādhyamika basically denies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of dharma, and Nāgārjuna did not add any of his own interpretations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This study wants to prove that the reason why there are multiple perspectives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because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denies the intrinsic nature as a substance whil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support the intrinsic nature as being absent with subst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기설은 불교 사상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그중 팔불연기는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중론송』(Mūlamadhyamakakārikā)의 귀경게에서 不生ㆍ不滅, 不常ㆍ不斷, 不一ㆍ不異, 不來ㆍ不�...

      연기설은 불교 사상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그중 팔불연기는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중론송』(Mūlamadhyamakakārikā)의 귀경게에서 不生ㆍ不滅, 不常ㆍ不斷, 不一ㆍ不異, 不來ㆍ不去의 팔불로써 연기를 수식하여 설명한데서 팔불연기로 불리게 된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팔불연기가 십이연기와의 관계에서 연속ㆍ불연속의 이중적 시각으로 관찰되는 이유를 살피는 것이다. 용수는 『중론송』 제25장까지는 계속하여 결과는 조건이 만드는 것도 아니고, 조건 아닌 것이 만드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 부정어법으로 팔불연기를 말한다. 이는 용수가 인과의 공성을 주장한 것으로, 십이연기에서 각 지분이 조건과 결과가 되는 동시에 결과와 조건이 되는 관계를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중론송』 제26장 「십이연기의 고찰」에 가면 자신의 견해를 전혀 첨부하지 않은 채 기존의 십이연기를 그대로 기술한다. 용수가 무자성의 팔불연기를 설하는 『중론송』에서 초기불교에서 등장하는 십이연기를 별도의 장으로 주석 없이 그대로 첨부 한 것에 대해 학자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린다. 본고에서는 십이연기와 팔불연기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시각으로 관찰되는 이유가 自性(svabhāva)에 대한 개념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자성은 팔불연기에서 실체로서는 부정되지만, 십이연기에서 실체적 함의가 없는 자성은 施設(prajñapti)로서 긍정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五島淸隆, "「龍樹の緣起說(3)」- 中論頌 第26章 「十二支の考察」 について(1)" (95) : 2011

      2 長尾雅人, "중관과 유식"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5

      3 中村元, "용수의 삶과 사상" 불교시대사 1993

      4 Kalupahana, David J, "불교철학의 역사" 운주사 2008

      5 윤희조, "불교의 언어관" 씨아이알 2012

      6 Kalupahana, David J, "나가르주나" 장경각 1994

      7 Kuhn, T. S,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 2009

      8 梶山雄一, "공의 논리" 민족사 1989

      9 五島淸隆, "龍樹の緣起說(3)」- 中論頌 第26章 「十二支の考察」 について(2)" (16) : 2011

      10 眞野龍海, "龍樹 敎學の硏究" 大藏出版社 1983

      1 五島淸隆, "「龍樹の緣起說(3)」- 中論頌 第26章 「十二支の考察」 について(1)" (95) : 2011

      2 長尾雅人, "중관과 유식"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5

      3 中村元, "용수의 삶과 사상" 불교시대사 1993

      4 Kalupahana, David J, "불교철학의 역사" 운주사 2008

      5 윤희조, "불교의 언어관" 씨아이알 2012

      6 Kalupahana, David J, "나가르주나" 장경각 1994

      7 Kuhn, T. S,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 2009

      8 梶山雄一, "공의 논리" 민족사 1989

      9 五島淸隆, "龍樹の緣起說(3)」- 中論頌 第26章 「十二支の考察」 について(2)" (16) : 2011

      10 眞野龍海, "龍樹 敎學の硏究" 大藏出版社 1983

      11 "順正理論(T29)"

      12 "阿毘達磨俱舍論(T29)"

      13 "阿毘曇心論(T28)"

      14 "阿毗達磨大毘婆沙論(T 27)"

      15 "般若燈論釋(T30)"

      16 中村元, "般若心經 金剛般若經" 岩波書店 1978

      17 松本史朗, "緣起와 空: 여래장사상은 불교가 아니다" 운주사 1994

      18 平川彰, "法と緣起" 春秋使 1988

      19 "尊婆須蜜菩薩所集經(T 28)"

      20 "大般若波羅蜜多經(T6)"

      21 "大般涅槃經(T12)"

      22 "大智度論(T25)"

      23 "因緣心論釋(T32)"

      24 加藤純章, "佛敎思想の諸問題" 春秋社 1985

      25 奧住毅, "中論註釋書の硏究: チャンドラキ-ルティ‘プラサンパダ-’和譯" 1988

      26 "中論(T30)"

      27 김성철, "中論" 경서원 1993

      28 "中觀論疏(T42)"

      29 安丼廣濟, "中觀思想の 硏究" 法藏館 1970

      30 長尾雅人, "中觀から 唯識へ" (31) : 1992

      31 那須眞裕美, "中期中觀派における自性(svabhāva)解釋" 108 : 2006

      32 Mūlamadhyamakakāriㅇkās, "electronic texts provided by Bibliot heca Polyglotta"

      33 Kalunadasa, Y, "The Dhamma Theory-Philosophical Cornerstone of the Abhidhamm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96

      34 Funderburk, Jim,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