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뇌파 검사를 통해 뇌파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3168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4-38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뇌파 검사를 통해 뇌파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뇌파 검사를 통해 뇌파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A고등학생 19명(남학생 8명, 여학생 11명)이 참여 하였으며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2주 동안 매일 2회씩(아침, 저녁) 5분간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해 피험자의 각성상태 및 안정상태에서의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스트루프 과제중의 뇌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후 배꼽힐링을 약 5분간 실시하고 1분간의 휴식을 취한 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연구 결과,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루프 과제 중 각성상태 대비 M-Beta파, H-Beta파, 그리고 Gamma파의 감소량이 줄어들었으며 안정상태 대비 Alpha파, SMR파의 감소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꼽힐링을 통해 피험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집중력, 몰입력 등이 향상되었으며 심리적 안정상태도 유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학생들의 연구 후 인터뷰 내용과도 일치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꼽힐링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배꼽힐링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집중력과 몰입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복잡하거나 어려운 특정 과제를 해결하기 전에 배꼽힐링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elly button healing by measuring the EEG activity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belly button healing to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 high school students (8 boys and 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elly button healing by measuring the EEG activity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belly button healing to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 high school students (8 boys and 11 girl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underwent belly button healing for about 5 minutes twice per daily (morning and evening) for 2 weeks. In this experiment, an electroencephalogram (EEG) of the subject was measured in a state of arousal and steady state and the change in EEG was observed during the stroop task. Subsequently, belly button healing was performed for about 5 minutes with a one minute break and the same procedure was then repe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duction of the M-Beta wave, H-Beta wave and Gamma wave was lower compared to the arousal state due to the navel healing program. The reduction of the Alpha wave and SMR wave also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steady state by the navel healing program. This suggests that belly button healing has improved the concentration, immers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subjects in stress situation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articipants" interviews after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belly button healing is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such a program will be needed for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cademic stress. Second, because belly button healing can help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i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belly button healing before addressing certain complex or difficult task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선,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 친구, 교사관계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61-88, 2016
2 심영미, "청소년의 스트레스, 내적자원과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 분석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36 (36): 1-22, 2010
3 김경호, "청소년의 사회관계, 스트레스 및 일탈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복합적 요인들에 의한 설명을 제안하며" 한국인구학회 39 (39): 83-105, 2016
4 신은숙,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45-56, 2016
5 이삼순, "일 지역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관련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 12 (12): 47-58, 2008
6 우민정, "스트레스 유발 처치에 따른 시공간과제 수행력과 뇌 활성화 변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31-42, 2009
7 정미영, "복부경락마사지와 아로마복부마사지가 여대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0 (10): 709-715, 2012
8 김충식, "뇌파정보에 의한 성격유형의 분류 및 성격유형과 뇌기능 지수와의 관계 : 2 Channel System 뇌파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9 이정희, "뇌파변화 분석을 통한 약손요법 복부마사지가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6 (6): 77-90, 2008
10 강준수, "뇌파 신호 기반 스트레스 상태 분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6 (16): 103-108, 2016
1 박병선,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 친구, 교사관계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61-88, 2016
2 심영미, "청소년의 스트레스, 내적자원과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 분석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36 (36): 1-22, 2010
3 김경호, "청소년의 사회관계, 스트레스 및 일탈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복합적 요인들에 의한 설명을 제안하며" 한국인구학회 39 (39): 83-105, 2016
4 신은숙,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45-56, 2016
5 이삼순, "일 지역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관련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 12 (12): 47-58, 2008
6 우민정, "스트레스 유발 처치에 따른 시공간과제 수행력과 뇌 활성화 변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31-42, 2009
7 정미영, "복부경락마사지와 아로마복부마사지가 여대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0 (10): 709-715, 2012
8 김충식, "뇌파정보에 의한 성격유형의 분류 및 성격유형과 뇌기능 지수와의 관계 : 2 Channel System 뇌파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9 이정희, "뇌파변화 분석을 통한 약손요법 복부마사지가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6 (6): 77-90, 2008
10 강준수, "뇌파 신호 기반 스트레스 상태 분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6 (16): 103-108, 2016
11 Sergueï O. Fetissov, "The new link between gut–brain axis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14 (14): 477-482, 2011
12 Giada De Palma, "The microbiota-gut-brain axis in gastrointestinal disorders: stressed bugs, stressed brain or both?" Wiley-Blackwell 592 (592): 2989-2997, 2014
13 Stephen M. Collins, "The interplay between the intestinal microbiota and the brain" Springer Nature 10 (10): 735-742, 2012
14 Rob Booth, "Stress reduces attention to irrelevant information: Evidence from the Stroop task" Springer Nature 33 (33): 412-418, 2009
15 ROBERT H. ROTH, "Stress and the Mesocorticolimbic Dopamine Systems" Wiley-Blackwell 537 (537): 138-147, 1988
16 D Kim, "Serotonin: a mediator of the brain–gut connection" Springer Nature 95 (95): 2698-2709, 2000
17 K. E. Habib, "Oral administration of a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receptor antagonist significantly attenuates behavioral, neuroendocrine, and autonomic responses to stress in primat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7 (97): 6079-6084, 2000
18 Korea Institution of Brain Science, "International Brain Education Association, Unlocking your second brain" 59 : 8-11, 2016
19 Emeran A. Mayer, "Gut feelings: the emerging biology of gut–brain communication" Springer Nature 12 (12): 453-466, 2011
20 María Isabel Queipo-Ortuño, "Gut Microbiota Composition in Male Rat Models under Different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and Its Association with Serum Leptin and Ghrelin Levels"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8 (8): e65465-, 2013
21 A. Kato-Kataoka, "Fermented milk containing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prevents the onset of physical symptoms in medical students under academic examination stress"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7 (7): 153-156, 2016
22 E. Lee, "Effects of Stress Related to School, Self-Esteem,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Parent's Internal Support of Adolescent Depression" 12 (12): 69-84, 2000
23 Y. H. Lee,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Brain Function through Brain-Waves Measurement Between Disorder Child and common Child in the Stable Status" 8 (8): 239-255, 2008
24 S. H. Lee, "5 minute navel healing to save my body and mind" HanMunWha 2016
콘크리트 손상 소성모델을 이용한 FRP-콘크리트 합성보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에서 여러 변수들의 영향
은 나노입자가 분산된 Honeycomb-patterned 수지 합성에 대한 연구
혼합냉매(R-290/R-32)를 사용하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