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Korean Adolescent Readers LESC Reading Process Mod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읽기 교육을 위한 온라인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도에 시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약 2,000명의 온라인 읽기 수행 및 온라인 읽기 태도에 대한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능숙한 온라인 독자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독해 처리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2014년도 시행된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 결과인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 특성 분석과 Leu et al.(2004)의 LESC 모형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LESC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실시하였다. LESC 단계별로 9개의 온라인 독해 기능을 추출하였고, 18개의 온라인 독해 전략을 추출하였다.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및 온라인 독해 기능 및 전략에 대한 개관 단원, 2개의 온라인 읽기 실제 단원 총 3개의 단원을 약 20차시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온라인 읽기 교수법인 인터넷 상보적 교수법(The Internet Reciprocal Teaching Model)을 적용하여 교사의 안내된 읽기 지도와 모델링, 동료들과 협력, 독립적 탐구의 3단계로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고, 온라인 읽기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 DocZoom creator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 웹 기반의 교재를 개발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읽기 교육을 위한 온라인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도에 시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읽기 교육을 위한 온라인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도에 시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약 2,000명의 온라인 읽기 수행 및 온라인 읽기 태도에 대한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능숙한 온라인 독자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독해 처리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2014년도 시행된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 결과인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 특성 분석과 Leu et al.(2004)의 LESC 모형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LESC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실시하였다. LESC 단계별로 9개의 온라인 독해 기능을 추출하였고, 18개의 온라인 독해 전략을 추출하였다.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및 온라인 독해 기능 및 전략에 대한 개관 단원, 2개의 온라인 읽기 실제 단원 총 3개의 단원을 약 20차시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온라인 읽기 교수법인 인터넷 상보적 교수법(The Internet Reciprocal Teaching Model)을 적용하여 교사의 안내된 읽기 지도와 모델링, 동료들과 협력, 독립적 탐구의 3단계로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고, 온라인 읽기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 DocZoom creator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 웹 기반의 교재를 개발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adolescent online reader. LESC online reading process entail the reading to locate, reading to evaluate, reading to synthesize, reading and writing to communicate. LESC online reading model was developed by Leu, Kinzer, Coiro, & Cammack(2004), this model was the initial basis of korean adolescent readers LESC reading process model.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Korean adolescent online reader is consist of 9 online reading sub skills and 18 online reading strategies related LESC reading process. This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consist of 3 units based internet reciprocal teaching(IRT). In First unit, teacher introduce LESC online reading process, phased online reading sub-skills and online reading strategies and students practice online reading task examples. In Second unit, teacher suggest authentic online reading task about Korean students sleep problems and students read online texts searching internet. In third units, teacher suggest authentic online reading task about the relating SNS and Students friendship and students read online texts searching internet.
      번역하기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adolescent online reader. LESC online reading process entail the reading to locate, reading to evaluate, reading to synthesize, reading...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adolescent online reader. LESC online reading process entail the reading to locate, reading to evaluate, reading to synthesize, reading and writing to communicate. LESC online reading model was developed by Leu, Kinzer, Coiro, & Cammack(2004), this model was the initial basis of korean adolescent readers LESC reading process model.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Korean adolescent online reader is consist of 9 online reading sub skills and 18 online reading strategies related LESC reading process. This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consist of 3 units based internet reciprocal teaching(IRT). In First unit, teacher introduce LESC online reading process, phased online reading sub-skills and online reading strategies and students practice online reading task examples. In Second unit, teacher suggest authentic online reading task about Korean students sleep problems and students read online texts searching internet. In third units, teacher suggest authentic online reading task about the relating SNS and Students friendship and students read online texts searching intern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 Ⅲ.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특성 분석에 따른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 도출
      • Ⅳ.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원리와 실제
      • Ⅴ. 결론
      • Ⅰ. 서 론
      • Ⅱ.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 Ⅲ.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특성 분석에 따른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 도출
      • Ⅳ.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원리와 실제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병영,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독서 전략에 관한 문헌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483-515, 2012

      2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3 최숙기,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읽기 태도 양상에 관한 연구 — 읽기 목적과 읽기 매체 변인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 49 (49): 733-765, 2014

      4 최숙기, "복합 양식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읽기 행동 분석에 기반한 디지털 시대의 읽기 교육 방안 탐색" 한국독서학회 (29) : 224-264, 2013

      5 옥현진,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83-108, 2013

      6 Sutherland-Smith, W., "Weaving the literacy Web : Changes in reading from page to screen" 55 (55): 662-669, 2002

      7 Burbules, N. C., "Watch IT: The risks and promis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education" Westview Press 2000

      8 Tierney, R. J., "Toward a composing model of reading" 60 (60): 568-580, 1983

      9 Leu, D. J. Jr.,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570-1613, 2004

      10 Castek, J., "The changing nature of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Examining effects of Internet reciprocal teaching on adolescents’ acquisition of new literacies and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2006

      1 조병영,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독서 전략에 관한 문헌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483-515, 2012

      2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3 최숙기,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읽기 태도 양상에 관한 연구 — 읽기 목적과 읽기 매체 변인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 49 (49): 733-765, 2014

      4 최숙기, "복합 양식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읽기 행동 분석에 기반한 디지털 시대의 읽기 교육 방안 탐색" 한국독서학회 (29) : 224-264, 2013

      5 옥현진,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83-108, 2013

      6 Sutherland-Smith, W., "Weaving the literacy Web : Changes in reading from page to screen" 55 (55): 662-669, 2002

      7 Burbules, N. C., "Watch IT: The risks and promis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education" Westview Press 2000

      8 Tierney, R. J., "Toward a composing model of reading" 60 (60): 568-580, 1983

      9 Leu, D. J. Jr.,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570-1613, 2004

      10 Castek, J., "The changing nature of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Examining effects of Internet reciprocal teaching on adolescents’ acquisition of new literacies and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2006

      11 Coiro, J., "Studying the new literacies of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among adolescents at risk to become dropouts" 2006

      12 Eagleton, M. B., "Strategies for supporting student Internet inquiry" 38 (38): 39-47, 2002

      13 Henry, L. A., "SEARCHing for an answer: The critical role of new literacies while reading on the Internet" 59 : 614-627, 2006

      14 Dobler, E., "Reading the Web: Strategies for Internet inquiry" Guilford 2015

      15 Schmar-Dobler, E., "Reading on the internet; the link between literacy and. technology" 47 (47): 80-85, 2003

      16 McKenna, M. C., "Read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of a US survey" 47 (47): 283-306, 2012

      17 Kress, G., "Multiliteracies: literacy learning and the design of social futures" MacMillan Publishers Australia Pty Ltd 2000

      18 Cope, B., "Multiliteracies" Routledge 2000

      19 Afflerbach, P., "Metacognition, strategy use, and instruction" Guilford 201-225, 2009

      20 최숙기,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모형에 따른 청소년 독자의 읽기 특성 분석" 한국독서학회 (30) : 169-224, 2013

      21 Castek, J. M., "How do 4 th and 5 th grade students acquire the new literacies of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Exploring the contexts that facilitate learning" University of Connecticut 2008

      22 Lawless, K. A., "Handbook of research on new literacies" Lawrence Erlbaum 267-296, 2008

      23 Afflerbach, P. A., "Handbook of reading comprehension research" Erlbaum 69-90, 2008

      24 Brown, A. L., "Guided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1986

      25 JULIE COIRO, "Exploring the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used by sixth-grade skilled readers to search for and locat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iley-Blackwell 42 (42): 214-257, 2007

      26 Leu, D. J.,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and new forms of reading comprehension during online learning"

      27 Leu, D. J., "Defining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Using think aloud verbal protocols to refine a preliminary model of Internet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2007

      28 Leu, J. D., "Comprehension instruction: Research-based best practices" Guilford Press 2008

      29 Block, C., "Best practices in literacy instruction" The Guildford Press 111-126, 2003

      30 Leu, D. J., "Assessing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The ORCA proje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