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ducation-job mismatch of university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5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6년 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교육-직무 불일치 중, 수직적 불일치 양상에 주목하여 적정 수준, 과소교육, 과다교육의 세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불일치 양상의 임금 효과,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보다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표본 선택편의(selection bias)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직무 불일치는 약 35%정도였으며, 특히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과소교육불일치의 경우, 임금효과가 부적이었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경우, 과소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과다교육 불일치와 과소교육 불일치 모두에서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직무 불일치 중, 과소교육 불일치의 경우 성과와 적응 측면에서 모두 부적인 효과가,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교육-직무 수준 불일치의 생산성 제고와 적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대책으로 교육-직무 수준의 수평적 일치, 즉 전공일치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에 반응하여, 전공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 수준 및 역량 제고와 진로적성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전공 일치도가 높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에 특화된 직무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구성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진입 인력의 생산성 증대로 이어지고, 적응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ducation-job mismatch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6 survey data from the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ducation-job mismatch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6 survey data from the Graduate School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classified education-job inconsistencies into the three groups which are appropriate levels, under-education, and over-education. Among these mismatches, this study focused on vertical inconsistency and its effects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get a more precise estimation, we tr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problem by using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by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job mismatch was about 35%. Especially, the case of over-education mismatch has been increasing. Second, in the case of under-education mismatch, the wage effect was negative, and over-education mismatch did not have any effect on wages. Third,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und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intention, and ov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Fourth, as the degre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higher, more productive effect was shown in both over- and in-education discrepanc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abor market, and consider the students choice of careers with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In addition, the company-level job-oriented training program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 김세움, "학력별 노동시장 미스매치 분석과 교육제도 개선 과제 -교육기관 및 전문계고를 중심으로" KLI 2011

      3 조동훈,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103-128, 2008

      4 김성남, "특성화고졸 취업자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와 노동시장 성과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93-111, 2013

      5 김주섭,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5 (5): 1-29, 2005

      6 김형만, "청년층 인적자원 개발 : 거시적 전망과 인적자본투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7 김안국, "청년층 미취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23-52, 2003

      8 임언, "청년근로자의 스킬 및 학력 불일치 전환 유형에 따른 임금 및 직무만족도 변화 차이"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77-197, 2012

      9 박유진, "직종 특성별 과잉학력 임금효과 격차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10 노일경,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18, 2009

      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 김세움, "학력별 노동시장 미스매치 분석과 교육제도 개선 과제 -교육기관 및 전문계고를 중심으로" KLI 2011

      3 조동훈,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1 (31): 103-128, 2008

      4 김성남, "특성화고졸 취업자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와 노동시장 성과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93-111, 2013

      5 김주섭, "청년층의 고학력화에 따른 학력과잉 실태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5 (5): 1-29, 2005

      6 김형만, "청년층 인적자원 개발 : 거시적 전망과 인적자본투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7 김안국, "청년층 미취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23-52, 2003

      8 임언, "청년근로자의 스킬 및 학력 불일치 전환 유형에 따른 임금 및 직무만족도 변화 차이"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77-197, 2012

      9 박유진, "직종 특성별 과잉학력 임금효과 격차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10 노일경,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18, 2009

      11 오장원,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기업인력 교육 프로그램" 4 : 207-226, 2004

      12 김충현, "일자리 불일치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32, 2017

      13 정윤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의 차이에 관한 연구" 6 (6): 95-121, 2004

      14 김종인,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 채용과정의 정보의 현실성을 중심으로" 27 (27): 77-104, 2002

      15 매일경제, "스펙1등 인재도 실무는 깜깜…신입교육에만 8600만원 들어"

      16 이준호, "맞벌이의 교육적 기회비용: 방과 후 자기보호(self-care)가 초등학생의 자기학습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3 (13): 27-59, 2012

      17 백일우, "도구변수를 이용한 여성고등교육의 투자수익률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75-94, 2008

      18 이경희, "대학순위와 전공의 임금효과 - 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5 (45): 167-197, 2007

      19 남진열, "대학생의 개인적 직업 관련요인들과 취업준비실태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53-375, 2010

      20 박천수, "대학 졸업 임금근로자의 희망임금 충족과 고용" 한국노동연구원 15 (15): 83-110, 2015

      21 김홍균, "대학 전공 불일치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 한국응용경제학회 11 (11): 49-73, 2009

      22 장서영, "대졸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직고려사유와 이에 대한 대응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105-138, 2008

      23 류기락, "노동시장 제도와 미스매치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제 성인역량조사(PIAAC)를 통한 주요 국가의 비교"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103-136, 2014

      24 황호영, "기업의 전략과 인적자원전략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30) : 119-137, 2001

      25 황의철, "기업의 인재육성 프로그램에 걸 맞는 맞춤형 대학교육 프로그램" 393-394, 2014

      26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에서 본 한국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2002

      27 채창균, "국가 인력수급 전망 연구(Ⅰ)-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1

      28 김기헌,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한․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51-77, 2005

      29 김홍균, "교육-직업 사이의 수직적 불일치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6 (6): 81-107, 2013

      30 차성현,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177-215, 2010

      31 김홍균, "과잉교육의 임금 손실 효과 분석 :PSM 및 OLS 중심으로" 한국응용경제학회 16 (16): 171-203, 2014

      32 김홍균, "과잉 교육의 투자수익률 추정" 한국재정학회 1 (1): 45-68, 2008

      33 Imbens, G. W., "The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estimating dose-response functions" 87 (87): 706-710, 2000

      34 Austin, P. C., "The performance of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and full matching on the propensity score in the presence of model misspecification when estimating the effect of treatment on survival outcomes" 26 (26): 1654-1670, 2017

      35 Borghans, L., "The overeducated worker? The economics of underutilization of skills" Eward Elgar 2000

      36 Sugihara, M., "Survival analysis using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ed methods based on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9 (9): 21-34, 2010

      37 Hartog, J., "Overeducation and earnings : Where are we, where should we go?" 19 : 131-147, 2000

      38 장명희, "NCS를 활용한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53-178, 2016

      39 Alba-Ramirez, A., "Mismatch in the Spanish labor market : Overeducation?" 27 (27): 259-278, 1993

      40 Wolbers, M.,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ur-market effects among school-leavers in Europe" 19 : 249-266, 2003

      41 Spence, M., "Job market signaling" 87 (87): 355-374, 1973

      42 Schultz, T. W., "Investment in human capital" 51 (51): 1-17, 1961

      43 Turner, A. N., "Industrial jobs and the worker: An investigation of response to task attributes" Harvard University, Division of Research,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1965

      44 Robst, J., "Education and job match : The relatedness of college major and work" 26 : 397-407, 2007

      45 길혜지, "EBS 수능강의 수강 방식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867-896, 2014

      46 Hirano, K., "Applied Bayesian modeling and causal inference from incomplete-data perspectives" 73-84, 2004

      47 한국경영자총협회, "2016년 신입사원 채용 실태 조사 결과" 2016

      48 고용노동부, "2013~2023 중장기 인력 수급 전망"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 1.11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