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59093
서울 :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 상담심리치료학과 , 2016. 2
2016
한국어
361.06 판사항(22)
서울
vii, 77 p. : 삽도, 표 ; 26 cm.
지도교수 : 민경화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
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 382명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생활스트레스,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직무스트레스,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낮아지며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직무스트레스, 충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정서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아졌으며 소망적 사고를 사용할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고 생활 스트레스는 높아졌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직장인은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스트레스, 충동성이 높아지고 정서적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장인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충동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즉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역할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은 직무스트레스/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은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직장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스트레스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생활스트레스도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office workers and smart phone addiction as well as the regulation effect of stress manag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2 office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office workers and smart phone addiction as well as the regulation effect of stress manag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2 office workers who work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also used smart phon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job stress, life stress, impulsivity, and smart phone addiction. It indicated that the levels of job stress, impulsivity and smart phone addiction were lowered as solution-focused coping skills were utilized; the levels of job stress and impulsivity were reduced when using social support as coping strategies. In addition, attempting to manage stress in emotional ways increased the levels of impulsiven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stress management with positive/hopeful thinking lowered the levels of job stress but increased the levels of life stres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office workers with higher level of smart phone addiction experienced high levels of job stress, life stress and impulsiveness, trying to manage their stress in emotional ways rather than using solu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ss of office workers directly affected them to be more addictive to smart phone and impulsivity indirectly led to smart phone addiction. Thus, the impulsivity seemed to play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office workers and smart phone addiction.
Third, having social support as coping strategies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life str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reviewing the role of stress management styles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office workers and smart phone addiction. It also showed that coping skills with positive/hopeful thinking controlled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This indicated that positive/hopeful thinking was more effective in lowering the addictive tendency to smart phone when experiencing higher level of life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 on smart phone addiction particularly focused on office workers. In addition, as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 subjects into job stress and life stres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life stress was also influential to smart phone addiction. Finally, the regul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examined as one of the coping strateg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