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碑를 통해 본 弓裔 행적의 재검토 = Re-examination of the Contents of Master Seon'gak's Stele in Muwisa and New Discoveries on the Activities of King Gungy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康津無爲寺에 있는 先覺大師碑의 내용을 새롭게 해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弓裔의 행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선각대사비에 전라도 지역을 원정한 후...

      이 논문에서는 康津無爲寺에 있는 先覺大師碑의 내용을 새롭게 해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弓裔의 행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선각대사비에 전라도 지역을 원정한 후 선각대사를 泰封으로 모셔간 인물로 나오고 있는 大王은 지금까지 고려태조 王建으로 생각되었지만 비문의 전후 맥락을 고려할 때 태봉의 국왕이었던 弓裔로 확인된다. 후에 선각대사를 처형하는 大王과 동일 인물로 봐야하기 때문이다. 선각대사비에 의하면 大王 즉 궁예는 912년 8월 직접 군대를 이끌고 羅州와 武府(광주) 등 전라도 남부지역을 공략하였으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궁예의 親征사실은 형미
      와 함께 雲居道膺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던 慶猷의 행적을 기록한 法鏡大師碑의 내용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당시 전라도 지역에서 수행하고 있던 경유 역시 이 지역에 원정 온 궁예를 따라 태봉의 수도로 이주하였던 것이다. 이들 자료로 볼 때 현재 『삼국사기』와 『고려사』등에서 왕건의 업적으로 묘사되고 있는 태봉의 전라도 남부지역 경략은 실제로는 궁예의 직접 지휘 하에 행해졌던 작전이었음을 알 수 있다. 후대에 태조 왕건의 업적을 선양하고 고려왕조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궁예의 역할이 지워졌던 것이다.
      선각대사비와 법경대사비에 보이는 궁예의 선종 승려에 대한 우대 조치는 궁예의 불교정책에 대해서도 재검토하게 한다. 지금까지 궁예의 불교정책은 주로 미륵신앙이나 토착신앙 등의 신비적 신앙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왔지만 두 비문의 내용으로 볼 때 궁예는 선종에 대하여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종교 정책의 특징이라고 생각된 선종 승려에 대한 적극적인 포섭 정책도 실제로는 전임자인 궁예의 정책을 계승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선각대사비는 나말여초 시기의 불교사는 물론 정치적 동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이미 많은 연구들에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해석상의 작은 착각으로 인해서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가 온전히 파악되지 못하였다. 이 자료는 후대의 사서에 말살되어 버린 궁예의 행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면밀히 새롭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ele of Master Seon'gak(864-917) located at Muwisa temple in Gangjin County have been regarded as a valuable material which tells much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s in late Shilla and Early Goryeo dynasty as well as about the Buddhist history. B...

      The stele of Master Seon'gak(864-917) located at Muwisa temple in Gangjin County have been regarded as a valuable material which tells much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s in late Shilla and Early Goryeo dynasty as well as about the Buddhist history. But some mis-understanding on one importantterm have prevented us from full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stele. In this article we tried to re-discover the unknown activities of King Gungye of Taebong dynasty through the re-understandings on the term.
      The “Great King(大王)” who was described in the Stele to have payed great reverence to Master Seon'gak in his military expedition to South 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r and escorted him to the Capital is Gungye, the king of Taebong, contrary to the general thought that the activities were done by Wang Geon, the founder of Goryeo Dynasty. In the stele Wang Geon appears as the “Present King(今上)" who rehabilitated the Master's honor and had the stele made and he cannot be the same person to the Great King who had a strong suspicion of the Master's loyalty and eventually executed him.
      As the Great King identifies with Gungye, we can get some new informations on his activities from the Stele. Firstly, it was not Wang Geon as the Goryeosa and Samgugsagi says but Gungye himself who led an expedition to the South Western region in 912 It can be also proved by a paragraph from Master Beopgyeong's stele where Gungye was described to have met and respected the Master on his expedition to the South (the year was unknown in the stel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role of Gungye in the expedition might have been erased and the achievement wholly belonged to Wang Geon. Secondly, Gungye had much interest in Seon (Zen) Buddhism and sponsored the Seon Masters. In the historical records he was described to have indulged in superstitious Buddhism and hald little interest in major Buddhist thoughts. Wang Geons's effort to make close relations with the famous Seon Masters might have modelled after the Gungye's religious policy. Gungye's religious policy should have been re-examined closely.
      Through this examination we came to know that the stele of Master Seon'gak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for King Gungye's activities and re-evaluation on his poli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無爲寺先覺大師碑文의 재해석
      • Ⅲ. 泰封의 전라도 남부지역 경략과 弓裔
      • Ⅳ. 弓裔의 불교정책에 대한 재검토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無爲寺先覺大師碑文의 재해석
      • Ⅲ. 泰封의 전라도 남부지역 경략과 弓裔
      • Ⅳ. 弓裔의 불교정책에 대한 재검토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