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종업원의 세대간 직무가치관 분석 =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Values: A Comparison of China and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4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종업원의 세대간 가치관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세대차이는 변화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의 개인직무가치관은 네 가지 가치관...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종업원의 세대간 가치관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세대차이는 변화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의 개인직무가치관은 네 가지 가치관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중국의 경우 권력거리 창원에서 개혁세대가 개방세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중국의 세대차가 큰 것은 한국의 경우 90년대 이후에는 안정적인 경제성장과 사회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90년대 개혁개방을 시작한 이래 2000년대에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사회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네 가지 문화차원중에서 단지 권력거리 차원에서만 한국과 중국의 X세대와 개방세대의 차이가 개혁세대와 베이비붐세대의 차이보다 작아 경제개발에 따른 세대차이가 줄어든다는 문화수렴현상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work value differences exist across four generations of working employees in China and Korea. No significant generation cohort differences were found for all four work value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work value differences exist across four generations of working employees in China and Korea. No significant generation cohort differences were found for all four work value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etween Social Reform and Open Generation in terms of power distance work value dimensions. We proposed that the most recent Chinese and Korean generation cohorts would have more similar work value than earlier generation cohorts. In other words, we expected Open Generation and Generation X to have more similar work values than Social Reform and Baby Boomer. However it turned out that Open Generation and Generation X did not have more similar work values than Social Reform and Baby Boom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봉, "한·중·일 3국의 가치변화 성향 분석- 신세대와 기성세대간 비교" 한국정부학회 20 (20): 501-532, 2008

      2 김명언, "청소년과 성인간의 새대차이와 유사성" 6 (6): 181-204, 2000

      3 조성남, "에이지붐 시대: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4 박재홍, "신세대의 특성" 29 : 651-683, 1995

      5 전인수, "쇼핑가치와 쇼핑정보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15 : 199-219, 1996

      6 오세조, "소매경영" 한올 2002

      7 이기복, "세분집단의 소비행동 및 의식을 대상으로한 광고표현의 활용에 관한 실증 연구 -X세대 및 ‘Missy'를 중심으로" 26 : 277-311, 1994

      8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9 함인희,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 나남출판 2002

      10 김우성,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31-53, 2007

      1 박희봉, "한·중·일 3국의 가치변화 성향 분석- 신세대와 기성세대간 비교" 한국정부학회 20 (20): 501-532, 2008

      2 김명언, "청소년과 성인간의 새대차이와 유사성" 6 (6): 181-204, 2000

      3 조성남, "에이지붐 시대: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4 박재홍, "신세대의 특성" 29 : 651-683, 1995

      5 전인수, "쇼핑가치와 쇼핑정보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15 : 199-219, 1996

      6 오세조, "소매경영" 한올 2002

      7 이기복, "세분집단의 소비행동 및 의식을 대상으로한 광고표현의 활용에 관한 실증 연구 -X세대 및 ‘Missy'를 중심으로" 26 : 277-311, 1994

      8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9 함인희,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 나남출판 2002

      10 김우성,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31-53, 2007

      11 허은정, "베이비붐세대 가계와 X세대 가계의 소비지출 및 저축" 한국소비문화학회 6 (6): 4-97, 2003

      12 은기수,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8 (18): 1-31, 2006

      13 Hung, K. H, "institutional approach to identifying generation cohorts in China with a comparison with American consumers" 38 (38): 1238-1241, 2007

      14 Egri, "cohorts and personal values" 15 (15): 210-220, 2004

      15 Shackleton, V, "Work Related Values of Managers: A Test of the Hofstede Model" 21 : 109-118, 1990

      16 Levy,M, "Weitz, Retailing Management" Richard D. Irwin 2002

      17 Schwartz, S. H, "Values and Culture. In Motivation and Culture" Routledge 69-84, 1997

      18 Schwartz, S. H, "Value consensus and Importance: A Cross-National Study" 31 : 465-497, 2000

      19 Pan,Z, "To See Ourselves: Comparing Traditional Chinese and American Cultural Values" Westview Press 1994

      20 Mannheim,M, "The Problem of Generations, Essays on Sociology of Knowledge" Oxford Univ. Press 1952

      21 Ralston, D. A, "The New Generation of Chinese Managers: Implications for Business in the 21st Century" 30 : 415-428, 1999

      22 Robertson,C, "The Global Dispersion of Chinese Values: A Three-country Study of Confucian Dynamism" 40 (40): 2000

      23 Ladany,L,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Marxism (1921-1985)"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98

      24 Jennings, M.K, "Partisan Orientations Over the Long Haul: Results From the Three-Wave Political Socialization Panel Study" 78 (78): 1000-1018, 1984

      25 Kupperschmidt, B. R, "Multigeneration Employees: Strategies for Effective Management" 19 : 65-76, 2000

      26 Inglehart,R, "Modernization and Post 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7 Triandis,H.C,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estview 1995

      28 Jurkiewicz, C. L, "Gen Xers vs. Boomers vs. Matures" 18 (18): 18-37, 1998

      29 Schmitt, B.H, "Experiemental Marketing: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Relate to Your Company and Brands" The Free Press 1999

      30 Hofstede.G, "Cultures, and OrganizationsL Software of the mind" MacGrawHill 2010

      31 Hofstede.G, "Culture's Consequences: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Sage 1980

      32 Newman, L, "Culture and Congruence: The Fit between Management Practices and National Culture" 199 : 753-779,

      33 Alwin,D.F, "Cohorts,and the stability of sociopolitical orientations over the life span" 97 (97): 169-195, 1991

      34 Vohra,R, "China's Path to Modernization: A Historical Review From 1800 to the Present" Prentice-Hall 2000

      35 Bailey,P.J, "China in the Twentieth Century, 2nd ed" Blackwell 2001

      36 Kertzer, D, "As a Sociological Problem" 9 : 125-149, 1983

      37 김기수, "2001 한국 대표세대들의 특징" 11 : 10-25,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Trade And Indurstry S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de and Industry Stud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7 1.20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