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적 모델링에서 집단창의성 발현사례 = Manifestation examples of group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4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nifestation examples and effects of group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and to discu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group creativity. The following two points were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nifestation examples and effects of group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and to discu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group creativity. The following two points were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group ac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Second, we examin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roup creativity. Six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wo groups of three each. Mathematical modeling task was “What are your own strategies to prevent or cope with blackouts?”. Unit of analysis was the observed types of interaction at each stage of mathematical modeling.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group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occurrences of mutually complementary, conflict-based, metacognitive interaction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examples of mutually complementary interaction, conflict-based interaction, and metacognitive interaction were observed in the real-world inquiry and the factor-finding stage, the simplification stage, and the mathematical model derivation stage, respectively. And the positive effect of group creativity on mathematical modeling were confirmed. Second, example of non interaction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on students' interaction object and interaction participation, and teacher's failure on appropriate intervention. Third, as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group creativity, we proposed students' role play and teachers' questioning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inter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의 재음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관점에서"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47-62, 2016

      2 유경훈,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201-222, 2015

      3 조무정,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35-59, 2016

      4 김영채, "집단창의의 가능성과 한계"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1-26, 2007

      5 김선연, "집단 협력학습에서 시너지의 심층적 개념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75-104, 2017

      6 Creswell, J. W., "연구방법 : 질적, 양적 혼합적연구의 설계" 시그마프레스 2014

      7 황혜정, "수학적 모델링의 이해 - 국내 연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65-97, 2007

      8 박진형,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69-88, 2017

      9 김민경,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상황 개발 및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 49 (49): 313-328, 2010

      10 김민경,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에서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8 (48): 365-385, 2009

      1 이경화,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의 재음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관점에서"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47-62, 2016

      2 유경훈,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201-222, 2015

      3 조무정,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35-59, 2016

      4 김영채, "집단창의의 가능성과 한계"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1-26, 2007

      5 김선연, "집단 협력학습에서 시너지의 심층적 개념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75-104, 2017

      6 Creswell, J. W., "연구방법 : 질적, 양적 혼합적연구의 설계" 시그마프레스 2014

      7 황혜정, "수학적 모델링의 이해 - 국내 연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65-97, 2007

      8 박진형,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69-88, 2017

      9 김민경,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상황 개발 및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 49 (49): 313-328, 2010

      10 김민경,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에서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8 (48): 365-385, 2009

      11 정혜윤,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 의한 <수학과제 탐구> 과목용 과제의 설계"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149-169, 2018

      12 김선희,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83-299, 2004

      13 성지현,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에서 나타나는 산출 및 과정 손실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1 (21): 505-530, 2017

      14 성지현,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 모델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557-580, 2017

      15 우정호,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경문사 2014

      16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17 이신영, "소집단 상호작용에 따른 심장 내 혈액 흐름에 대한 소집단 모델 발달 유형과 추론 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805-822, 2012

      18 조미경,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의 해결에서교사의 스캐폴딩 제공에 따른 학생 간 상호작용"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227-255, 2016

      19 김부미,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수학 학습에서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과제 특성" 52 : 159-161, 2018

      20 박진형, "모델링 활동을 통한 메타수준 학습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409-444, 2014

      21 신은주, "모델링 과정에서 지각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활동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153-179, 2004

      22 김현진,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의 관계에서 통합능력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한국지식경영학회 15 (15): 223-247, 2014

      23 BlmhØj, M.,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modelling" Springer 343-347, 2011

      24 Woodman, R. W.,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18 (18): 293-321, 1993

      25 English, L. D.,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263-301, 2010

      26 Mercer, N., "The guided construction of knowledge talk amongst teachers and learners"

      27 Verschaffel, L.,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257-276, 2002

      28 Gravemeijer, K.,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7-22, 2002

      29 Chan, C. M. E., "Promoting creativity for all stud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University of Rousse 207-216, 2008

      30 Vorhölter, K., "Proceedings of the tenth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DCU Institute of Education and ERME 2017

      31 Doerr, H. M., "Model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69-78, 2007

      32 Chamberlin, S. A., "Model-eliciting activities as a tool develop and identify creatively gifted mathematicians" 17 (17): 37-47, 2005

      33 Núñez-Oveido, M. C.,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173-193, 2008

      34 Blum, W., "Mathematical modelling: Can it be taught and learnt?" 1 (1): 45-58, 2009

      35 Kaiser, G., "Mathematical modelling (ICTMA 12): Education, engineering and economics" Horwood Publishing 110-119, 2007

      36 English, L. D.,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primary school" 63 (63): 303-323, 2006

      37 James, M. A., "Managing the classroom for creativity" 6 (6): 1032-1043, 2015

      38 Bliss, K., "Guidelines for Assessment & Instruction in Mathematical Modeling Education(GAIMME)" 7-21, 2016

      39 Paulus, P. B., "Groups, teams, and creativity : The creative potential of idea-generating groups" 49 (49): 237-262, 2000

      40 Nijstad, B. A.,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37-159, 2003

      41 Nemeth, C. J.,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3-84, 2003

      42 Milliken, F. J.,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2-62, 2003

      43 Paulus, P. B.,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0-136, 2003

      44 Paulus, P. B.,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11, 2003

      45 Zhou, C., "Group creativity in learning context : Understanding in a social-cultural framework and methodology" 3 (3): 392-399, 2012

      46 Kurtzberg, T. R., "From Guilford to creative synergy: Opening the black box of team-level creativity" 13 (13): 285-294, 2001

      47 Sawyer, R. K.,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account" Oxford University Press 231-248, 2012

      48 Suh, J. M., "Engaging elementary students in the creative process of mathematizing their worl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7 (7): 62-, 2017

      49 Nemeth, C. J., "Devil’s advocate versus authentic dissent : Stimulating quantity and quality" 31 : 707-720, 2001

      50 Artzt, A. F., "Development of a cognitive-metacognitive framework for protocol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small group" 9 (9): 137-175, 1992

      51 Sheffield, L. J.,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and creativity" 10 (10): 1-11, 2006

      52 Palsdottir, G., "Creativity and giftedness" Springer 47-55, 2017

      53 Pakeltienė, R., "Creative synergy as a potential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innovations" 2 : 174-181, 2017

      54 Vorhölter, K., "Conceptualization and measuring of metacognitive modelling competencies: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 50 (50): 343-354, 2017

      55 Lesh, R., "Beyond constructivism: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aching,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Lawrence Erlbaum 35-58, 2003

      56 Sriraman, B., "Are mathematical giftedness and mathematical creativity synonyms? A theoretical analysis of constructs" 17 (17): 20-36, 2005

      57 Guest, G., "Applied theomatic analysis" Sage 2011

      58 Galbraith, P., "A framework for identifying student blockages during transitions in the modelling process" 38 (38): 143-162,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191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