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육아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2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육아지원서비스의 효과를 결정하는 양육 요인이며,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육아지원서비스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영아 발달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제 3차 데이터인 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육아지원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95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육아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는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개인대리양육은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신체적 발달을 조절하였으며, 시설보육은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정서적 발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결론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육아지원서비스의 효과를 결정하는 양육 요인이며,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육아지원서비스의 효과를 결정하는 양육 요인이며,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육아지원서비스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영아 발달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제 3차 데이터인 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육아지원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95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육아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는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개인대리양육은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신체적 발달을 조절하였으며, 시설보육은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정서적 발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결론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services, and it also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Using the 2010 Panel of Korean Childr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whether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whether child care support services have a regulating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infants. 959 mothers who use child care support service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and regul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Second, individual alternative care significantly regulates parenting stress and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 care facilities significantly regulat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infants. Following the discussion of such conclusions, the proposal was derived.
      번역하기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services, and it also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Using the 2010 Panel of Korean Childr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whether mothers" ...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services, and it also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Using the 2010 Panel of Korean Childr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whether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whether child care support services have a regulating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infants. 959 mothers who use child care support service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and regul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Second, individual alternative care significantly regulates parenting stress and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 care facilities significantly regulat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infants. Following the discussion of such conclusions, the proposal was deri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설계
      • Ⅲ. 분석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설계
      • Ⅲ. 분석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0 사업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0

      2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0 기초분석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1

      3 최은영, "한국아동양육의 난맥상" 143 : 4-7, 2010

      4 이승윤,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95-232, 2013

      5 장경은, "한국 아동 복지의 형평성-보육정책과 저소득층 아동복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8 (38): 127-155, 2012

      6 유해미,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2

      7 서민정,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69-81, 2003

      8 김수정, "의사 전달적 기능으로서 영아기 신체접촉" 한국인간발달학회 10 (10): 51-73, 2003

      9 한유미,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45): 75-98, 2006

      10 김기헌,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의 장기 효과: 또래·교사관계 및 학업성취도" 한국사회학회 46 (46): 259-288, 2012

      1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0 사업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0

      2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0 기초분석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1

      3 최은영, "한국아동양육의 난맥상" 143 : 4-7, 2010

      4 이승윤,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95-232, 2013

      5 장경은, "한국 아동 복지의 형평성-보육정책과 저소득층 아동복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8 (38): 127-155, 2012

      6 유해미,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2

      7 서민정,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69-81, 2003

      8 김수정, "의사 전달적 기능으로서 영아기 신체접촉" 한국인간발달학회 10 (10): 51-73, 2003

      9 한유미,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45): 75-98, 2006

      10 김기헌,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의 장기 효과: 또래·교사관계 및 학업성취도" 한국사회학회 46 (46): 259-288, 2012

      11 임유경, "영유아 보육시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2 곽승주, "영아의 양육지원을 위한 정책비교 -한국․스웨덴․일본을 중심으로" 41 : 1-33, 2007

      13 서소정,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319-335, 2014

      14 백은주, "영아기 자녀 양육을 위한 육아지원서비스 이용 및 선호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09-232, 2011

      15 김수정, "영아기 발달에 따른 한국 엄마의 신체접촉 양상의 변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75-97, 2003

      16 김경은,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17, 2011

      17 이유진,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5 (5): 39-57, 2005

      18 이인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69-81, 2013

      19 이희정, "어머니의 산전 우울감이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35 (35): 99-126, 2011

      20 곽금주, "어머니의 내적 변인에 따른 영아와의 신체접촉 유형간 비교 :우울, 태도, 양욱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18, 2004

      21 이희정, "어머니 우울이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인문과학연구소 31 (31): 230-258, 2012

      22 신나리, "어린이집 이용만족도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6 (36): 231-259, 2011

      23 강민철,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149-168, 2012

      24 장혜림, "빈곤 한부모가정 영유아 통합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38 (38): 99-125, 2012

      25 류연규,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1 (21): 233-262, 2005

      26 황현숙,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아동간호학회 19 (19): 39-48, 2013

      27 김정은, "미국 보육서비스의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효과성 연구-부모의 보육서비스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1 (41): 125-160, 2013

      28 이미란,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4 (34): 143-162, 2013

      29 구명숙,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대에 따른 육아지원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531-546, 2005

      30 Riley, L. A.,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infant care preferences and use among employed mothers" 64 (64): 2-15, 2002

      31 Pungello, E. P., "Working women’s selection of care for their infants: A prospective study" 49 : 245-255, 2000

      32 Miller, S., "What do Parents Feel they Need? Implications of Parents’ Perspectives for the Facilitation of Parenting Programmes" 17 : 32-44, 2003

      33 Mitchell, M. B., "We care about care : advice by children in care for children in care, foster parents and child welfare workers about the transition into foster care" 15 : 176-185, 2010

      34 Laura, G. A.,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u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14 : 133-154, 2005

      35 Manlove, E. E., "The Quality of Caregiving in Child Care : Relations to Teacher Complexity of Thinking and Perceived Supportiveness of the Work Environment" 17 : 203-222, 2008

      36 Shlay, A. B., "Teasing apart the child care conundrum: A factorial survey analysis of perceptions of child care quality, fair market proce and willingness to pay by low-income, African American parents" 20 : 393-416, 2005

      37 Groeneveld, M. G., "Stress, cortisol and well-being of caregivers and children in home-based child care: a case for differential susceptibility" 38 (38): 251-260, 2010

      38 Pence, A. R., "Silent partners: Parents of children in three types of day care" 2 : 103-118, 1987

      39 Baker, B. L.,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behaviou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over time" 47 : 217-230, 2003

      40 Deater-Deckard, K,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5 : 314-332, 1998

      41 Singer, L. T.,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parenting stress after the birth of a very low-birth-weight infant" 281 (281): 799-805, 1999

      42 Webster-Stratton, C., "Maternal de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to life stress,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conduct problems" 16 (16): 299-315, 1988

      43 Oddi, K. B., "Maternal and Infant Temperament Characteristics as Contributors to Parenting Stress in the First Year Postpartum" 22 : 553-579, 2013

      44 Toth, S. L., "Maternal Depressio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Representational Development: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80 (80): 192-208, 2009

      45 Bradley, R. H., "Infant temperament, parent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first grade: a test of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hypothesis" 49 : 124-131, 2008

      46 Kremer, M., "How Welfare States Care" University Press 2007

      47 Pianta, R., "Features of pre-kindergarten programs, classrooms, and teachers: Do they predict observed classroom quality and child-teacher interactions?" 9 : 144-159, 2005

      48 Cummings, E. M.,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nd Family Process: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GuilfordPress 2000

      49 Crnic, K. A.,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14 (14): 117-132, 2005

      50 Day C., "Community child mental health services : a framework of the development of parenting initiatives" 4 : 475-482, 1999

      51 Downey, G.,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108 : 50-76, 1990

      52 Penelope, L., "Child Care Before 6 Months of Age: A Qualitative Study of Mothers’ Decisions and Feelings About Employment and Non-maternal Care" 15 : 471-502, 2006

      53 Misri, S.,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fect postpartum parenting stress: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55 (55): 222-228, 2010

      54 Reitman, D.,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in a head start population" 31 : 384-392, 2002

      55 Ostberg, M.,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ress" 29 (29): 615-62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