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영아자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양육지원을 중심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52693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영아자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양육지원을 중심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영아자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양육지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연구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1,283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교차검증(chi-square test), 차이 검증(t-test)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영아자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양육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영아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 연령, 영아 양육 지출과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하위변인 중 도구적 가치, 이상 자녀수, 양육 지원 하위변인 중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on additional birth plan.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283 mothers of infants using data of the 2008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on additional birth plan.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283 mothers of infants using data of the 2008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Mothers were subjected to mother-report and interview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on topics on additional birth pla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In the asp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ants’ birth order, mothers’ age, and expenditure for a new baby showed difference in child birth plan significantly. Also, the more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were higher, the more probability for additional birth plan was increased.
Seco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dditional birth plan. In terms of relative relevance, infants’ birth order and mothers’ age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hird,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on additional birth plan was examined in several phas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e most powerful as well as independent affecting additional birth plan.
In conclu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upport would be also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additional birth plan besid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us, for encouraging child birth, it would be wiser to investigate more about mothers’ recognition and acknowledgment about child birth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 of both mothers’ micro and macro environment simultaneously.
목차 (Table of Contents)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햇빛유치원 교사들의 수업목표 설정과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