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양염 증가에 따른 부유생태계 반응 모의 = FVCOM을 이용한 중형폐쇄생태계(Mesocosm) 자료 재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8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FVCOM을 이용하여 시화호의 부영양화 메소코즘 내 부유생태계 변화 현장실험 결과를 재현하였다. 용존산소는 부영양화된 연안의 지화학생태 반응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나 FVCOM에...

      FVCOM을 이용하여 시화호의 부영양화 메소코즘 내 부유생태계 변화 현장실험 결과를 재현하였다. 용존산소는 부영양화된 연안의 지화학생태 반응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나 FVCOM에서는 이를 모의하지 않아 용존산소 모듈을 추가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수질생태 관련 상태변수를 영양염, 식물플랑크톤(극미소, 미소, 소형), 동물플랑크톤(원생동물 2군, 중형동물플랑크톤), 쇄설성 유기물, 용존성 유기물, 박테리아 그룹으로 설정하고 경기만과 시화호에서 측정된 생물군 간 먹이 상관관계 자료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성하였다. 영양염 증가에 따른 메소코즘 내 크기별 식물플랑크톤의 변화 특성과 실험 초기에 나타나는 < 20 μm 빈섬모충류 우점에서 scuticociliates로의 원생동물 천이 양상 등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박테리아와 저산소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ponses of plankton populations to nutrient enrichment in mesocosm experiments in Shihwa lake were simulated using FVCOM. Dissoloved oxygen module was added to the FVCOM to simulate impacts of its decreased levels. The ecological model included the ...

      Responses of plankton populations to nutrient enrichment in mesocosm experiments in Shihwa lake were simulated using FVCOM. Dissoloved oxygen module was added to the FVCOM to simulate impacts of its decreased levels. The ecological model included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elagic ecosystem including nutrients, phytoplankton (pico-, nano-, micro-), zooplankton (two groups of protozoa, mesozooplankton), particulate organic matter,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bacteria, and was calibrated using trophodynamic data collected from Gyeonggi Bay and Shihwa Lake. The model was able to reproduce major responses of plankton populations to nutrient enrichment, including phytoplankton of different size groups, change of dominance of protozoa from < 20 μm oligotrichs to scuticociliates, and reponses to bacteria and low levels of dissolved oxygen in water column of the mesocos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웅서, "해양생태계 연구를 위한 폐쇄생태계의 활용" 19 (19): 183-194, 2001

      2 양은진, "인천 연안의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 한국해양연구원 29 (29): 101-112, 2007

      3 양은진, "인천 연안 미소형 및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인하대학교 2001

      4 김종구, "시화호의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1 (11): 1205-1215, 2002

      5 최중기, "시화호와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생산력에 관한 연구" 2 (2): 78-86, 1997

      6 신재기,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 동태" 33 (33): 109-118, 2000

      7 해양수산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연구용역" 755-, 2006

      8 해양수산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사업" 617-, 2005

      9 해양수산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사업" 686-, 2007

      10 유정규, "시화호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연구원 32 (32): 187-201, 2010

      1 김웅서, "해양생태계 연구를 위한 폐쇄생태계의 활용" 19 (19): 183-194, 2001

      2 양은진, "인천 연안의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 한국해양연구원 29 (29): 101-112, 2007

      3 양은진, "인천 연안 미소형 및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인하대학교 2001

      4 김종구, "시화호의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1 (11): 1205-1215, 2002

      5 최중기, "시화호와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생산력에 관한 연구" 2 (2): 78-86, 1997

      6 신재기,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 동태" 33 (33): 109-118, 2000

      7 해양수산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연구용역" 755-, 2006

      8 해양수산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사업" 617-, 2005

      9 해양수산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 사업" 686-, 2007

      10 유정규, "시화호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연구원 32 (32): 187-201, 2010

      11 백승호, "시화호 주변 부영양화 기수유역의 미소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화" 한국하천호수학회 43 (43): 55-68, 2010

      12 김형철, "수질관리를 위한 시화호의 환경용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 16 (16): 571-581, 2007

      13 인하대학교 서해연안환경연구센터, "서해연안환경연구센터연구보고서" 426-, 2002

      14 송규민,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황해투기해역에서의 춘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29 (29): 217-231, 2007

      15 이인철,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동해 심층수 개발해역의 수질환경 변화예측" 한국해양공학회 22 (22): 34-41, 2008

      16 김종구,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1.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저질의 용출 부하량 산정" 한국수산과학회 35 (35): 348-355, 2002

      17 양은진,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II. 미소형 및 소형 동물 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 8 (8): 3-93, 2003

      18 양은진,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I. 박테리아와 종속영양 미소 편모류" 한국해양학회 8 (8): 5-57, 2003

      19 Cerco, C.F, "Three-dimensional eutrophicationmodel of Chesapeake Bay" Army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1994

      20 Cerco, C.F, "Three-dimensional eutrophicationmodel of Chesapeake Bay" 119 (119): 1006-1025, 1993

      21 Beaver, J.R, "The trophic response of ciliatedprotozoans in freshwater lakes" 27 (27): 246-253, 1982

      22 Hansen, B., "The size ratiobetween planktonic predators and their prey" 39 : 395-403, 1994

      23 Choi,J.K, "The grazing pressure of dominant copepods onphytoplankton and microbial food web in Gyeonggi Bay, theYellow Sea" 24-26, 2010

      24 Choi, J.K,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21 : 156-170, 1986

      25 Turley, C.M., "Survival strategiesof two small marine ciliates and their role in regulating bacterialcommunity structure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33 : 59-70, 1986

      26 Sherr, E.B., "Small,aloricate ciliates as a major component of the marine heterotrophicnanoplankton" 31 (31): 177-183, 1986

      27 Hydroscience Inc,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ing of waterquality" 127-, 1971

      28 Gaudy, R., "Short term variations in feeding andmetabolism of Acartia tonsa (pelagic copepod) in the Berre lagoon(France)" 19 : 635-644, 1996

      29 Yang, E.J., "Seasonal variation inthe community and size structure of nano- and microzooplanktonin Gyeonggi Bay, Yellow Sea" 77 (77): 320-330, 2008

      30 Urrutxurtu, I., "Seasonal dynamics ofciliated protozoa and their potential food in an eutrophic estuary(Bay of Biscay)" 57 (57): 1169-1182, 2003

      31 Lee, S.H, "Relationship between biovolumeand biomass of naturally derived marine bacterioplankton" 53 (53): 1298-1303, 1987

      32 Bowie, G.L., "Rates, constants and kinetics formulations in surface waterquality modeling (second edition)" 455-, 1985

      33 Thomann, R.V, "Principles of surfacewater quality modeling and control" Harper & Row 1987

      34 Shen,J, "Optimal estimation of parameters for a estuarineeutrophication model" 191 : 521-537, 2006

      35 Hamilton, R.D, "Observations on the continuousculture of a planktonic phagotrophic protozoan" 5 (5): 94-104, 1970

      36 Kim, T., "Modelling water qualityand hypoxia dynamics in upper Charlotte Harbor, Florida, U.S.A.during 2000" 90 (90): 250-263, 2010

      37 Bierman, V.J. Jr, "Modeling of phytoplankton-nutrient dynamics in Saginaw Bay, Lake Huron" 7 (7): 409-439, 1981

      38 Seo, J.H, "In situ grazing pressure of Acartiahongi female (Copepoda: Calanoida) on phytoplankton in GyeonggiBay, Korea" 9 (9): 32-39, 2008

      39 Ayo, B., "Grazing rates of diverse morphotypes of bacterivorousciliates feeding on four allochthonous bacteria" 33 (33): 455-460, 2001

      40 Gretchen, C., "Feeding dynamicsof Acartia spp. copepods in a large, temperate estuary (SanFrancisco Bay, CA)" 257 : 139-158, 2003

      41 Yang, E.J., "Feeding activity of the copepod Acartia hongi on phytoplankton and micro-zooplankton in Gyeonggi Bay, Yellow Sea" ACADEMIC PRESS LTD ELSEVIER SCIENCE LTD 88 (88): 292-301, 2010

      42 Li, J., "Effects of differentdiets on the reproduction and naupliar development of the copepodAcartia bifilosa" 355 (355): 95-102, 2008

      43 Banks, R.B, "Effect of wind and rain onsurface reaeration" 103 (103): 489-504, 1977

      44 Jørgensen,S.E, "Ecological Modeling. An Introduction" WITPress 188-, 2009

      45 Mellor, G.L, "Development of a turbulenceclosure model for geophysical fluid problem" 20 (20): 851-875, 1982

      46 Chen,C.W, "Concepts and utilities of ecological models" 1085-1097, 1970

      47 Dolan, J.R, "Changes in fine scale verticaldistributions of ciliate microzooplankton related to anoxia inChesapeake Bay waters" 5 (5): 81-93, 1991

      48 Oviatt,C.A, "Biological considerations in marine enclosureexperiments: challenges and revelations" 7 (7): 45-51, 1994

      49 Sherr, E.B, "Bacterivory and herbivory: keyroles of phagotrophic protists in pelagic food webs" 28 (28): 223-235, 1994

      50 Chen, C., "An unstructured grid,finite-volume coastal ocean model: FVCOM User Manual, SecondEdition" SMAST/UMASSD 315-, 2006

      51 Putt, M, "An experimentally determinedcarbon: volume ratio for marine “oligotrichous” ciliates from estuarineand coastal waters" 34 (34): 1097-1103, 1989

      52 Park, K, "A threedimensionalHydrodynamic-Eutrophication Model (HEM-3D):Descrip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process submodels"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College ofWilliam and Mary 1995

      53 Galperin, B., "A quasiequilibriumturbulent energy model for geophysical flows" 45 : 55-62,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7 0.60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